![]() |
권선택 전 대전시장 |
광역의원을 지낸 인사는 “(권 전 시장은) 민주와 국힘 전신은 물론 과거 국민중심당, 자유선진당 등 지역 정당까지 고른 지지세를 받았던 분”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런 이유보다 더 부담스러운 건 복당을 막을 명분이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복당 안건을 부결하지 않고 보류한 것도 이 때문이다.
권 전 시장은 26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법에 따라 당직을 잃었을 뿐이지, (내가) 탈당한 건 아니다. 사면복권 됐으니 당적 또한 자동으로 회복되는 게 맞지 않느냐”며 복당 절차 자체가 문제라는 입장이다.
강하게 반대하는 이들도 있지만, 조승래 민주당 사무총장과 장종태 국회의원(대전 서구갑)이 “복당은 당연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다른 국회의원들 역시 ‘복당 불허는 과하다’는 반응을 보이는 건 이런 이유 때문이다. 충남의 모 국회의원도 “힘든 시간을 이겨내고 돌아오겠다고 하는데, 막는 건 도리가 아니지 않느냐”고 했다.
이뿐만 아니다. ‘과연 민주당이 지금 당에 보탬이 되겠다고 하는 인사들의 복당을 막을 때인가’라는 의아한 반응도 상당하다. 이재명 정부 출범과 정청래 지도 체제 등으로 한참 분위기가 좋은 건 사실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여전히 ‘내란의 늪’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다.
하지만 민심은 언제든 달라질 수 있다. 민주당은 행정 권력과 입법 권력을 모두 쥐고 있다. 민주당이 국회에서 국힘 없이 단독 처리하는 법안은 그대로 국무회의 의결로 이어진다. 이제 사법부까지 정치적 논쟁의 중심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행정과 입법, 사법 등 삼권을 장악한다는 비판 여론이 높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지방 권력까지 쟁취하려는 2026년 6월 지방선거에선 민주당 일극 체제에 대한 견제 여론이 판을 흔들 수도 있다는 시각이 적지 않다.
민심에 가장 민감한 경제 상황도 불안하다. 핵심은 한미관세 협상이다.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모두 사인을 하지 않고 있다. 이 문제가 틀어지면 국내 경제는 대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전직 국회의원은 “지금은 이 대통령이 일을 잘한다는 평가를 받지만, 중요한 건 실제 성과”라며 “민주당으로의 권력 집중과 불안한 경제에 대한 민심의 평가가 지방선거를 좌우할 수 있다”고 했다.
권 전 시장의 선출직 출마 가능성을 걱정하며 복당을 막을 시기가 아니라는 얘기다. 전직 구청장은 “한 사람 한 사람이 중요한데, 오겠다고, 그것도 오랫동안 당에 기여하고 올해 대선에서도 당직을 맡아 헌신했는데, 오히려 모시고 와야 한다”고 했다.
권 전 시장은 “정치 공백기가 길어서 그런지, 지금은 심리적으로 갓 정상을 찾은 상태다. 복당은 정상 회복을 실감하는 것”이라며 “복당과 공직 출마는 별개의 문제”라고 했다.
출마 여부와 관련해선, “출마한다고 얘기할 수는 없다. 여러 고민이 필요하고 주변 상황도 봐야 하기에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며 “다만, 복당하면 (내가) 도움이 되지, 방해되는 건 아니지 않느냐. 복당한다면 당과 소통하면서 어떤 역할을 맡을지 정해지지 않겠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정당은 진입 장벽을 낮춰 많은 사람이 모여 경쟁하고 도울 수 있는 구도를 만들어야 지지기반이 넓어지고 외연도 확대되는 것”이라며 “당은 항상 넓고 멀리 보면서 플러스 정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대전시당 관계자는 “(권 전 시장의 복당 여부는) 10월 추석 연휴 전에 민주당 대전시당 당원자격심사위원회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했다. <끝>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