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촛불이 비추는 꽃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촛불이 비추는 꽃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5-10-13 10:38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인재 강희안(仁齋 姜希?, 1417~1464)은 시서화에 능한 삼절이었을 뿐만 아니라, 문장과 학문에도 뛰어났다. 물리에 통달했지만 작품이나 저술은 많이 남기지 않았다. 청렴·소박한데다 영달을 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가 쓴 『양화소록』에 "한 세상에 나서 오직 명성과 이익에 골몰하여 늙도록 헤매고 지치다가 쓸쓸히 죽어 가니 이것이 과연 무엇을 하는 것인가"라 적었다. 도가사상에 심취해 자연과 동화된 진정한 자유와 평화, 평정심으로 살아간 도연명의 삶을 꿈꾸었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펴낸 『실용서로 읽는 조선』의 '양화소록'편에 보면, 화훼를 키우는 법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꽃을 감상하고 즐기는 법이 소개되어있다. 강희안이 "초봄이 되어 꽃이 피면 등불을 밝히고 책상 위에 올려놓으면 잎 그림자가 벽에 도장처럼 찍힌다. 아름다워 즐길 만하다"고 그림자 완상법을 적어 놓았다. 김안로는 "매화를 등불에 비춰 비스듬한 가지의 성긴 그림자가 또렷이 벽에 어리는 것을 함께 즐겼고, 그림에 뛰어난 아들 김희(金禧)로 하여금 이를 그리게 했다" 한다. 정약용은 국화로 그림자놀이를 한다. 빈방에 국화를 놓고, 벽 사이 적절한 곳에 촛불을 밝힌다. 국화의 꽃과 잎, 줄기가 거리에 따라 농담의 차이를 보이면서 한 편의 수묵화로 보이게 연출한다. 선비들은 매화음이란 술자리를 마련, 한겨울 매화가 피면 매화 넣어둔 감실에 구멍을 내고 운모로 막은 다음 이를 통해 그 안에 핀 매화를 보았다. 큰 백자 사발에 맑은 물을 담아 문밖에 내놓고 얼린 다음, 그 가운데에 구멍을 내고 촛불을 넣어 불 밝혀 품위를 높이기도 하였다. 환상적인 매화 감상이다. 유리잔에 촛불을 켜, 연꽃 사이에 띄워, 불빛이 유리잔에 비치게 하고, 술잔이 꽃을 비춰, 꽃빛과 물빛이 다시 잎에 비추었다. 바깥은 푸르고 안은 은빛이며 밝고 환했다. 강희안은 운치와 절조가 없는 것은 굳이 완상할 필요조차 없다고 말한다. 당시엔 달리 조명기구가 없어 촛불이나 등불이 등장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촛불에 주목하게 된다.

학창시절 문학회 지도교수가 이가림(李嘉林, 1943~2015, 인하대 불문과 교수 역임) 시인이었다. 필독서로 가스통 바슐라르 저 『촛불의 미학(La flamme d'une chandelle, 1961)』을 권장해 주었다. "태양은 세상을 비추지만, 촛불은 영혼을 비춘다." 감성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매력적인 글이었다. 상상력을 생각하다 떠올리면서 이성적으로만 대하고 전혀 음미하거나 응용해보지 않은 것에 반성하게 된다.

"시인은 촛불의 불꽃을 통해 언어를 새롭게 점화한다." 촛불은 우리를 사색으로 이끄는 마력이 있다. 즉 촛불은 시의 불꽃인 것이다. 언어가 새로운 생명을 얻는다. 조선의 선비가 찾았던 운치가 게 있지 않은가?



바슐라르는 불, 물, 공기, 대지, 4원소의 물질적 상상력을 4부작으로 탐구한 바 있다. 여기에서 다루었던 '욕망의 불'에서 벗어나 내면의 고요한 '사유의 불', 즉 영혼의 불을 다룬다. "촛불은 단순한 불이 아니다. 그것은 생각하는 불이며, 영혼의 불이다." 작지만 집중으로 이끌고, 명료하게 가다듬어 준다. "촛불은 가장 겸손한 빛이지만, 그 안에는 가장 순수한 사유가 깃들어 있다."

자신의 내면을 비추는 '명상의 등불'이다. 태양의 빛이 외부 세계 이성적 인식의 상징이라면 촛불은 내면세계의 감성적 통찰의 상징이다. 은은한 빛이 은밀한 고독의 친구가 된다. "촛불 앞에서 인간은 자신과 대화한다." 비로소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대화하게 되는 것이다.

촛불은 지속과 소멸의 은유이기도 하다. 살아간다는 것은 우리 몸을 태우는 것이요, 사유한다는 것은 아름답게 불을 지피는 일이다. 소멸이 단순한 끝을 의미하진 않는다. 타오르고, 흔들리고, 사라지지만 빛을 낳아 다른 모습으로 남는다. 시적 변주로 옮겨가는 것이다.

감각적 체험과 시적 상상의 만남 속에서 진정한 미학이 완성된다. 작은 빛이라도 인간의 영혼을 밝힌다면 그것이 진정한 미학 아니랴? 시적 상상력은 철학보다 더 깊은 진리를 드러낸다. 내면세계로의 여행, 사유로 창조의 불을 지피자.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시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마사회, 미리보는 챔피언 결정 ‘대통령배·그랑프리’ 빅매치
  2. 고양시 일산서구, 2025년 교통유발부담금 40억 원 부과
  3. 자전거로 '세종 국회·대통령실' 부지 찍고 경품 타자
  4. 걷거나 달리거나 '국회·대통령실' 한바퀴...상품은 덤
  5. 18일 나성동 차 없는 거리 '환경교육한마당' GO...경품도 풍성
  1. 경부고속도 '상서 하이패스IC' 10월 내 개통된다
  2. 항우연 노조, 이상철 원장 사퇴 촉구 "무능과 불성실"… 항우연 입장은?
  3. 아산시 곡교천, 백일홍·코스모스 등 가을꽃 만개
  4. 김범수 아산시 부시장 취임 100일…“현장 중심·실천 행정으로 시민 체감 성과”
  5. 명실상부 중부권 최대 캠핑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 활짝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李정부 첫 국정감사… 충청 현안 골든타임 돌입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가 13일 막이 오르는 가운데 산적한 충청 현안 관철을 위한 골든 타임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전 충남 행정통합 및 공공기관 2차 이전 등 560만 충청인 염원이 본궤도에 오르도록 동력을 공급해야 하는 것이다. 국감 증인대에 서는 이장우 대전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김태흠 충남지사 뿐만 아니라 충청 여야 28명 의원의 초당적인 협력과 이슈파이팅이 시급해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국감은 내년 6월 지방선거 앞 더불어민주당의 윤석열 정부 내란청산, 국민의힘의 이재명 정..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지역 정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선에 나설 후보 자격 심사 규정 준비부터 컷오프(공천 배제)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 적용 여부 등 공천룰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은 일찍이 지방선거기획단을 꾸린 뒤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후보 자격 심사 규정을 정비 중인데, 인위적인 컷오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정청래 대표는 8·2 전당대회 과정에서 억울한 공천 배제를 막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때문에 애초 범죄 경력자 등 부..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빵의 도시 대전' 제과점 수 확장... 최근 5년 새 125곳 늘었다

대전 제과점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대전 대표 제과점인 성심당이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빵의 도시로 급부상한 데 따른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국세통계포털 사업자현황에 따르면 8월 기준 대전의 제과점 수는 663곳으로, 1년 전(632곳)보다 31곳 늘어났다. 대전 제과점 수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2020년 8월 538곳에서 2021년 8월 594곳, 2022년 8월 637곳, 2023년 8월 642곳, 2024년 8월 632곳으로 매년 단 한 차례도 빠지지 않고 늘고 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