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촛불이 비추는 꽃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촛불이 비추는 꽃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5-10-13 10:38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인재 강희안(仁齋 姜希?, 1417~1464)은 시서화에 능한 삼절이었을 뿐만 아니라, 문장과 학문에도 뛰어났다. 물리에 통달했지만 작품이나 저술은 많이 남기지 않았다. 청렴·소박한데다 영달을 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가 쓴 『양화소록』에 "한 세상에 나서 오직 명성과 이익에 골몰하여 늙도록 헤매고 지치다가 쓸쓸히 죽어 가니 이것이 과연 무엇을 하는 것인가"라 적었다. 도가사상에 심취해 자연과 동화된 진정한 자유와 평화, 평정심으로 살아간 도연명의 삶을 꿈꾸었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이 펴낸 『실용서로 읽는 조선』의 '양화소록'편에 보면, 화훼를 키우는 법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꽃을 감상하고 즐기는 법이 소개되어있다. 강희안이 "초봄이 되어 꽃이 피면 등불을 밝히고 책상 위에 올려놓으면 잎 그림자가 벽에 도장처럼 찍힌다. 아름다워 즐길 만하다"고 그림자 완상법을 적어 놓았다. 김안로는 "매화를 등불에 비춰 비스듬한 가지의 성긴 그림자가 또렷이 벽에 어리는 것을 함께 즐겼고, 그림에 뛰어난 아들 김희(金禧)로 하여금 이를 그리게 했다" 한다. 정약용은 국화로 그림자놀이를 한다. 빈방에 국화를 놓고, 벽 사이 적절한 곳에 촛불을 밝힌다. 국화의 꽃과 잎, 줄기가 거리에 따라 농담의 차이를 보이면서 한 편의 수묵화로 보이게 연출한다. 선비들은 매화음이란 술자리를 마련, 한겨울 매화가 피면 매화 넣어둔 감실에 구멍을 내고 운모로 막은 다음 이를 통해 그 안에 핀 매화를 보았다. 큰 백자 사발에 맑은 물을 담아 문밖에 내놓고 얼린 다음, 그 가운데에 구멍을 내고 촛불을 넣어 불 밝혀 품위를 높이기도 하였다. 환상적인 매화 감상이다. 유리잔에 촛불을 켜, 연꽃 사이에 띄워, 불빛이 유리잔에 비치게 하고, 술잔이 꽃을 비춰, 꽃빛과 물빛이 다시 잎에 비추었다. 바깥은 푸르고 안은 은빛이며 밝고 환했다. 강희안은 운치와 절조가 없는 것은 굳이 완상할 필요조차 없다고 말한다. 당시엔 달리 조명기구가 없어 촛불이나 등불이 등장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촛불에 주목하게 된다.



학창시절 문학회 지도교수가 이가림(李嘉林, 1943~2015, 인하대 불문과 교수 역임) 시인이었다. 필독서로 가스통 바슐라르 저 『촛불의 미학(La flamme d'une chandelle, 1961)』을 권장해 주었다. "태양은 세상을 비추지만, 촛불은 영혼을 비춘다." 감성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매력적인 글이었다. 상상력을 생각하다 떠올리면서 이성적으로만 대하고 전혀 음미하거나 응용해보지 않은 것에 반성하게 된다.

"시인은 촛불의 불꽃을 통해 언어를 새롭게 점화한다." 촛불은 우리를 사색으로 이끄는 마력이 있다. 즉 촛불은 시의 불꽃인 것이다. 언어가 새로운 생명을 얻는다. 조선의 선비가 찾았던 운치가 게 있지 않은가?



바슐라르는 불, 물, 공기, 대지, 4원소의 물질적 상상력을 4부작으로 탐구한 바 있다. 여기에서 다루었던 '욕망의 불'에서 벗어나 내면의 고요한 '사유의 불', 즉 영혼의 불을 다룬다. "촛불은 단순한 불이 아니다. 그것은 생각하는 불이며, 영혼의 불이다." 작지만 집중으로 이끌고, 명료하게 가다듬어 준다. "촛불은 가장 겸손한 빛이지만, 그 안에는 가장 순수한 사유가 깃들어 있다."

자신의 내면을 비추는 '명상의 등불'이다. 태양의 빛이 외부 세계 이성적 인식의 상징이라면 촛불은 내면세계의 감성적 통찰의 상징이다. 은은한 빛이 은밀한 고독의 친구가 된다. "촛불 앞에서 인간은 자신과 대화한다." 비로소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대화하게 되는 것이다.

촛불은 지속과 소멸의 은유이기도 하다. 살아간다는 것은 우리 몸을 태우는 것이요, 사유한다는 것은 아름답게 불을 지피는 일이다. 소멸이 단순한 끝을 의미하진 않는다. 타오르고, 흔들리고, 사라지지만 빛을 낳아 다른 모습으로 남는다. 시적 변주로 옮겨가는 것이다.

감각적 체험과 시적 상상의 만남 속에서 진정한 미학이 완성된다. 작은 빛이라도 인간의 영혼을 밝힌다면 그것이 진정한 미학 아니랴? 시적 상상력은 철학보다 더 깊은 진리를 드러낸다. 내면세계로의 여행, 사유로 창조의 불을 지피자.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시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2.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3.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4.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5. <인사>대전시
  1.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2.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3.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4.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5.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