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상명대학교 식물과학관 전경 |
상명대는 3년간 총 15억 원의 국고를 지원받아 학제 간 융합 연구, 현장 밀착형 교육,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선도할 '그린인프라 산업 녹색복원분야' 인재 육성의 산실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번 사업은 주관학과인 융합기술대학 그린스마트시티학과를 중심으로 공과대학 소속의 경영공학과, 그린화학공학과, 건설시스템공학과, 정보보안공학과가 참여하는 다학제적 융합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며, 친환경 미래사회를 선도할 '녹색복원분야'는 탄소중립도시, 도시생태복원, 산업단지복원, 도시재생, 도시녹화, ESG 경영 등의 전문 영역을 포괄한다.
특히 생성형 AI 기반 신속 문제해결 역량, CC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기반 데이터 중심 계획 및 설계 역량, ESG 정보공시 연계 KPI 가치설계 역량을 갖춘 녹색복원분야의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데 집중할 계획을 세웠다.
사업책임자인 그린스마트시티학과 김태한 교수는 "AGI(범용 인공지능) 시대 도래로 기후 정책 및 대응 전문성 역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며 "우리 사업단의 교육 목표는 단순 지식 전달을 넘어선 '대체 불가능한 다학제적 T자형 인재' 양성에 있다"고 강조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하재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