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민의힘 부산시당과의 예산정책협의회./부산시 제공 | 
부산시는 31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국민의힘 부산시당과의 예산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국비 확보의 최종 관문인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이하 예결위) 심사를 앞두고,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부산의 핵심 현안을 반영하고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마련됐다.
회의에는 박형준 시장과 정동만 국민의힘 부산시당위원장을 비롯해 지역 국회의원 12명이 참석했다.
시와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지난 9월 예산정책협의회 이후에도 부산형 급행철도(BuTX) 민자적격성 통과 등 오랜 지역 현안 해결의 실질적 성과를 거뒀다.
시는 이번 협의회에서 2026년도 주요 국비사업 27건과 현안과제 17건을 국민의힘 부산시당에 건의했다.
건의사업에는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 자율주행 기반 스마트항만 모빌리티 허브 구축 등 21개 주요 사업의 국비 확보 방안이 포함됐다.
또한, 반송터널 건설, 황령3터널 건설, 사직야구장 재건축 등 5개 현안사업의 혼잡도로 지정, 타당성 재조사 대응 방안도 함께 논의됐다.
시는 이 중 예결위에서 반영 가능성이 높은 주요사업을 중심으로 의원들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실질적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아울러, 부산 도약을 위한 당면한 핵심 현안의 해결방안도 함께 모색했다. 침례병원 공공병원화 추진이 예정대로 연내 심의에 상정·통과될 수 있도록 힘을 모으는 한편,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 사업이 연내 착공될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또한, 가덕도신공항 조속건설 및 적기개항, 해수부 및 해양공공기관 부산 통합이전, 해사전문법원 부산 설립 등 부산의 핵심 현안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조속한 해결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박형준 시장은 "AI 대전환을 선도할 '제조 AI'와 '버티컬 AI' 산업 관련 예산과 관련 공공기관 이전, 혁신플랫폼 구축사업이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박 시장은 "부산이 글로벌해양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이 반드시 통과돼야 한다"며 "정기국회에 통과될 수 있도록 국민의힘 의원님들의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김성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