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겨울철 제설작업 사진.(충주시 제공) |
시는 본격적인 겨울철 자연재난에 대비해 '2025년 겨울철 자연재난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11월부터 내년 3월까지 4개월간 전 행정력을 집중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폭설·결빙·한파 등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민 불편을 줄이기 위한 선제적 대응에 초점을 맞췄다.
시는 예비특보 단계부터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적설량이 5㎝를 넘으면 전 직원을 긴급 소집해 제설작업에 투입한다.
총 33개 제설노선(1275㎞)에 제설장비 36대와 염화칼슘·소금 등 6602t의 제설 자재를 확보했으며, 읍면동별 마을제설반을 운영해 이면도로·응달지 등 취약구간을 집중 관리한다.
또 시는 각종 공공시설의 안전점검을 강화해 강풍이나 폭설로 인한 시설물 파손과 낙하물 사고 사전 차단에 나선다.
'하나의 작은 실수가 전체를 위험하게 할 수 있다'는 원칙 아래, 각 부서별로 사례 중심의 위험 요인을 점검하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사안을 미리 발견해 행정 전반의 안전 수준을 끌어올릴 방침이다.
복지 분야에서는 한파에 취약한 저소득층, 독거노인, 장애인 등 5395명에게 난방비와 방한용품을 지원하고, 재난도우미를 통한 방문·전화 건강 확인을 강화한다.
또 빅데이터 기반 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을 가동해 단전·단수 등 위기 상황에 놓인 가구를 조기에 지원한다.
농업 분야에서는 농작물·축산시설 피해 예방을 위해 재해보험 가입을 확대하고, 축사 보온덮개 점검과 방역 활동을 강화한다.
환경 분야는 수도계량기 및 관로 결빙 방지를 위한 보온 조치와 긴급복구반을 운영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다.
공원·산림 분야에서는 산불예방 상황실을 운영하고, 공원 내 제설장비 점검 및 위험목 제거, 임도 결빙 예방 등 사전 점검을 실시한다.
도로 및 교통 분야에서는 버스승강장, 스마트 정류장 등 시민 이용이 많은 시설의 안전관리 실태를 전면 점검하고, 충전시설 및 전기배선 결함 여부를 집중 확인한다.
내부 난방기기와 조명시설도 수시로 점검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예정이다.
조길형 시장은 "재난 대응은 거창한 대책보다 작은 위험을 먼저 찾아내는 세밀함에서 시작된다"며 "모든 부서가 유기적으로 협력해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홍주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