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젠승 황 대표는 10월 31일 경주에서 열린 APEC CEO 서밋 기조연설을 통해 "엔비디아의 목표는 한국에 단순히 하드웨어를 공급하는 것을 넘어 지속가능한 AI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라며 "KAIST와 같은 우수한 대학, 스타트업, 정부, 연구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한국의 AI 생태계를 활성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대학 중 KAIST를 직접 언급한 것이다.
젠슨 황 대표는 또 "AI의 발전은 필연적으로 로보틱스와의 결합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인간과 함께 작동하는 자율 로봇과 로봇 공장의 구현이 AI 기술의 다음 단계이자 궁극적 목표"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광형 KAIST 총장은 "AI는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며 이번 젠슨 황 대표의 방한은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생태계의 중심으로 도약하는 상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또 "젠슨 황 대표가 말한 AI와 로보틱스의 결합은 KAIST가 집중해 온 연구 방향과 일치한다. 앞으로 엔비디아와 긴밀히 협력해 인류가 체감할 수 있는 AI 혁신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젠슨 황 대표는 같은 날 이재명 대통령과의 접견을 통해서 대한민국 AI 생태계 혁신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최신 GPU 26만 장 이상을 포함해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고 공공·민간의 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협업을 병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AI 인프라 구축과 피지컬 AI 기술 협력, AI 인재양성과 스타트업 지원 분야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머리를 맞댔다.
KAIST는 이러한 엔비디아의 계획에 대해 "국내 AI 기술 발전과 글로벌 협력 강화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앞으로 KAIST는 젠슨 황 대표의 제안에 따라 엔비디아의 협력을 구체화하고 글로벌 기업과 국내 산업체들과의 연계를 통해 차세대 AI 반도체·HBM(고대역폭 메모리) 기술 연구, AI 기반 자율주행·로보틱스(피지컬AI) 실증 협력, AI 연구 클러스터 고도화, 차세대 AI 컴퓨팅 플랫폼 구축, AI 전문인력 양성,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등 국가 AI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임효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