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노선 구상도. 제공은 대전시 | 
더욱이 대전시는 광역급행철도(CTX)와 대전도시철도 1호선 환승체계 구축을 위한 대전청사 복합환승센터를 사업에 추가 반영도 절실하다. 상황이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 세종시에 따르면 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CTX는 정부대전청사와 정부세종청사, 조치원, 청주국제공항까지 연결되는 64.4㎞ 구간의 광역철도 노선이다. 이 노선은 경부선과 연결해 정부대전청사에서 정부세종청사를 거쳐 서울로 가는 철도 노선으로도 활용된다.
먼저 민간 기업에서 적극 나설지 주목된다. CTX 건설은 민자사업으로 추진되며, 총사업비는 5조1135억원으로 추산된다. 민자적격성 조사가 끝남에 따라 제3자 제안공고와 실시협약 등을 거쳐 2028년 착공하게 되면 2034년에 CTX가 개통한다. 민간의 사업 제안으로 추진됐지만, 건설 경기와 인구 감소 등에 따른 사업성 검토 등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여기에 공공성 강화도 필요하다.
사업 시기도 해결과제다. 조국혁신당 소속 황운하 의원은 지난 21일 국가 철도공단 국정감사에서 "CTX 사업이 2036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것은 행정수도 완성과 연계한 국토 교통망 구축 시기와 맞지 않는다"면서 CTX사업의 빠른 추진을 주문했다.
황 의원은 "2025년 하반기 적격성 조사 발표 후 2027년 사업자 선정, 2030년 착공으로 계획돼 착공까지 5년이 남았다"며 "세종 집무실이 2029년 완공 목표인데 교통망은 그 이후에 착공되는 건 너무 늦다"고 강조했다.
CTX 정차역 설치에 대한 대전과 세종, 충북 간 조정도 주목된다. 최초 제안서를 보면 속도는 최고 180km/h, 평균(표정) 80km/h 운행을 목표로 한다. 광역급행 운행은 하루 96회, 지역 간 일반 운행은 일 36회로 예정돼 있다.
정차역 숫자와 위치를 두고 지자체 간 이해 관계가 얽힐 수 있다. 기본구상은 도시 간 고속 이동을 위해 도시 내 주요 거점 위주로 설치하는 안이 핵심이다. 하지만, 지자체 여건에 따라 구상하는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세종은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제2집무실이 설치될 예정으로 이를 반영할지가 주목된다. 특히 CTX 청주 도심 통과 실현 가능성이 최대 변수다.
정차역이 늘어날수록 속도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와함께 대전도시철도 1호선을 비롯해 충청권 광역철도를 비롯한 타 광역교통망과의 연계나 조정 등도 필요하다.
대전시는 광역급행철도(CTX)와 대전도시철도 1호선 환승체계 구축을 위한 대전청사 복합환승센터가 사업계획에 추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방침이다. 대전청사 복합환승센터는 대중교통간 연계는 물론이고, 대전 중심권에 위치해 있어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역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CTX 사업은 정부가 추진하는 지방권 광역철도 중 처음으로 민간투자사업 방식으로 추진되는 사업이다. 사업이 어떻게 흘러갈지 앞으로 가 더 중요한 이유"라면서 "민간과 공공의 이익 조정은 물론 지자체 간 이해 관계 해결, 다른 광역교통망과의 연계 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상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