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가공 후 남은 감귤 부산물. /농진청 제공 |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감귤즙을 짠 뒤 남은 부산물을 악취 저감제, 해충 유인제, 토양 개량제로 재활용할 수 있는 '감귤 부산물 자원 순환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전체 감귤 생산량의 약 10%(2024년 기준 4만 t)가량의 부산물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폐기되거나 축산 농가용 사료로만 활용돼 왔다.
이에 연구진은 산업체와 대학과 협력해 감귤 부산물 활용을 다각화했다. 부산물의 약 30%를 차지하는 침출수(탈리액)는 악취 저감제와 해충 유인제로, 70%를 차지하는 고체 상태의 껍질과 펄프(과육)는 토양 개량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악취 저감 미생물제는 감귤 부산물 침출수를 살균하고 유용 미생물을 배양해 제조한다. 이 저감제를 양돈 분뇨 저장조에 투입한 결과, 암모니아와 황화수소가 각 91%, 9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분뇨 악취를 제거한 액비는 분뇨 처리업체에서 저렴하게 수거해 양돈 농가의 연 소득을 증가시켰다.
![]() |
| 감귤박으로 만든 토양개량제. /농진청 제공 |
토양 개량 자재는 고체 형태의 껍질과 펄프를 원료로 만들어졌다. 이 자재는 질소·탄소 비율과 영양분 함량을 조절해 작물 맞춤형으로 만들 수 있으며, 기존 토양 자재보다 물을 머금는 능력이 50% 이상 향상돼 식물의 수분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앞으로 감귤 부산물 제품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환경성 평가를 추진해 감귤 폐기물 활용 법령 개정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대현 국립원예특작과학원장 직무대리는 "감귤 부산물을 활용한 자원순환 기술은 농가소득 향상과 농업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 우리나라 농산업 부산물 자원화의 혁신 모델로 확산할 수 있도록 기술 보급과 산업체 연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은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