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윤진호 전남도 기획조정실장이 11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2026년 예산안에 대한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이정진 기자 |
윤진호 전남도 기획조정실장은 이와 관련해 11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2026년 예산안에 대한 브리핑을 진행했다.
내년 예산안은 올해 본예산 12조 5,436억 원보다 1,587억원(1.3%)이 증가한 규모로, 일반회계는 4,965억원(5.0%)이 증가한 10조 4,587억원, 특별회계는 969억원(8.5%)이 증가한 1조 2,355억 원, 기금은 4,347억 원(8.5%) 감소한 1조 81억 원이다.
도는 정부의 적극적 재정운영과 지방세수 부진에 대응하기 위해 예산안 편성시 모든 재정사업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성과 없이 관행적으로 지원되던 사업, 유사·중복이나 집행부진 사업 등에 강력한 세출 구조조정을 추진했다.
구조조정을 통해 확보된 재원은 'OK! 지금은 전남시대'를 열어가기 위한 ▲AI·에너지·첨단산업 수도 전남 ▲민생 회복과 성장 ▲인구감소 및 저출산 극복 ▲전남 행복공동체 강화 등 4대 중점 분야에 집중 투자했다.
내년도 예산에 반영된 중점 사업으로는 'AI·에너지·첨단산업 수도 전남' 분야로 먼저, 차세대 AI 산업의 변화를 이끌어갈 ▲AI 기반 인력양성·스타트업 성장 지원 10억원 ▲첨단로봇 AI 활용 중소기업 제조혁신 사업 8억원 ▲대불국가산단 및 여수국가산단 AX실증 인프라 구축 7억 원 등을 신규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지속가능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미래에너지·첨단 전략 산업으로 ▲에너지 분야 청년에너지 플러스 사업 13억원 ▲에너지기술공유 대학 3억원 ▲해상풍력 기자재 공급망 구축 지원 2억원 ▲천연물소재 전 주기 표준화 허브 구축 14억 원 ▲친환경 연료 화재폭발 안정성 평가 및 대응설비 개발 8억 원 등이 반영되었다.
더불어 대한민국 우주항공 산업의 메카로 발돋음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업 기술자립 연계형 지역 성장 지원 10억원 ▲국방 우주 반도체 전문인력양성 및 기술사업화 10억원 ▲전남도 초소형위성(전남샛) 개발사업 3억 원 등을 지원한다.
'민생회복과 성장' 분야로는 먼저, 도내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경영안정 을 위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이자 지원 등 155억원 ▲소상공인 경영패키지 지원 2억원 등을 반영하고,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54억원 ▲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50억원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 17억 원 등을 통해 상권 활성화의 촉매제로 활용한다.
다음으로 농수축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농산물 안정생산 공급지원 57억원 ▲전복산업 위기 극복 16억원 ▲축사시설 현대화 33억 원을 반영하고 시군 간 균형발전과 자립적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전남형 균형발전 300 프로젝트 133억 원을 지원한다.
'인구감소·저출산 극복' 분야로는 인구감소와 고령화 등 지역의 고질적인 문 제를 해소하기 위한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416억 원을 반영하고, 청년 역외 유출 방지와 더불어 살기좋은 전남을 만들기 위해 ▲청년 공공임대주택 건립160억원 ▲전남형 만원주택 건립 100억 원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 44억 원 등 청년들의 가장 큰 부담 요인인 주거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저출산 대응 및 육아 여건 개선을 위해 ▲전남 출생기 본수당 지급 142억원 ▲난임 출산 시술 등 지원 21억 원 ▲공공산후조리원 운영 9억 원을 지원한다.
또한, 지역 청년 창업과 성장 지원을 위해 ▲전남 청년문화복지카드 114억 원 ▲전남 청년 희망기금 조성 10억원 ▲청년사관학교 운영 27억 원도 반영했다.
'전남 행복공동체 강화' 분야로는 먼저 '저출산 고령화 시대' 복지 시책으로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서비스 확충 94억원 ▲경로당 운영비 확대 32억원 ▲ 어린이집 운영비 확대 20억 원을 지원한다.
다음으로 지역맞춤형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글로컬대학 운영 및 RISE 사업 1,340억원 ▲고등학교 무상교육 지원 15억원 ▲지역인재 육성지원 사업 6억 원을 반영했다.
다음으로 K-관광·문화 산업을 선도하고 전남도의 위상을 제고하고 위해 ▲2026 전남 섬 방문의 해 8억원 ▲K-문학 페스티벌 5억 원을 지원한다. 특히 국제행사인 여수세계섬박람회의 차질 없는 준비를 위해 ▲기본사업 32억 원, 확대사업 10개 사업 67억원 이외 연계사업 27개 사업 53억 원을 추가 반영했다.
마지막으로 도민 안전·편의 증진을 위해 ▲지방도 정비사업 1,100억원 ▲지방 하천 정비사업 991억원 ▲전남형 탄소중립포인트제 운영 8억 원 등을 반영했다.
윤진호 기획조정실장은 "지방세 감소 등 어려운 여건속에서도 도민에게 필요한 예산을 적재적소에 담기 위해 노력했다."라며, "내년도 예산이 도민의 삶에 잘 스며들 수 있도록 관리 감독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전남도가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은 제395회 전남도의회 각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12월 16일 본회의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무안=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정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