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대 전임 학장단 소속 교수 19명은 최근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이번 통합은 단순한 조직의 합병이 아니라, 양 대학이 가진 학문적 역량과 지역 자원을 결합해 '충청권 혁신형 글로컬대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과정"이라며 "통합의 성패는 행정적 추진력보다 구성원의 공감과 참여, 그리고 투명한 절차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특히 "현재 구성 중인 통합추진위원회가 대학본부 보직자 중심으로 꾸려지고 있다"며 "이 같은 방식으로는 통합 논의의 정당성과 대표성, 투명성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전임 학장단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단과대학 또는 교수회에서 직접 선출하는 '교수 대표 선출제' 도입 ▲위원 중 보직자 비율 50% 미만 제한 ▲학문 분야별·직능 단체별 대표 1인 이상 참여 의무화 ▲통합추진위원회 및 분과위원회 회의록 전면 공개 등을 제안했다.
또한 이들은 과거 충북대학교와 한국교통대학교 통합 추진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언급하며 "한쪽 대학이 중심이 되는 불균형 구조, 본부 중심의 의사결정, 정보 비공개로 인한 불신과 갈등, 학과 조정 지연, 지역사회 참여 부족 등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임 학장단은 "두 대학은 대등한 관계에서 흡수형이 아닌 상생형 통합을 추진해야 하며, 교수·직원·학생·동문·지역사회 등 모든 구성원이 논의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행정 통합보다 교육·연구·산학 혁신 중심의 통합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대학 구조를 마련해 충청권 전체의 혁신과 발전을 이끄는 글로컬 선도대학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공주대와 충남대의 통합은 대학의 생존 전략이 아니라 지역의 미래 전략"이라며 "그 성공의 핵심은 구성원 모두의 신뢰와 참여, 그리고 투명한 의사결정 구조에 있다"고 덧붙였다.
공주=고중선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고중선 기자![[2026 수능 현장] "푸는대로 다 맞으리다" 교사·후배들의 따뜻한 응원](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1m/13d/002.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