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세종충남지역 금융기관 여수신.(자료=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제공) |
23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의 '2025년 9월 중 대전·세종·충남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에 따르면, 대전·세종·충남지역의 가계대출은 한 달 사이 2030억 원(8월)에서 -454억 원(9월)으로 감소 전환했다. 반면, 같은 시기 기업대출은 1636억 원 감소에서 5813억 원 증가로 돌아서며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금융기관의 전체 여신도 증가 폭이 확대되고 있다. 8월 1052억 원에 불과했던 여신 증가 폭이 9월 6916억 원으로 크게 오르면서다.
기관별로 보면 예금은행의 여신은 8월 -1440억 원에서 9월 8206억 원으로 증가 전환했다. 이와 반대로 같은 시기 비은행금융기관 여신은 2492억 원에서 -1290억 원으로 감소 전환했다.
지역별로는 대전의 여신 규모 확대 현상이 두드러졌다. 대전의 8월 여신 잔액증감은 -708억 원 수준이었지만, 9월에는 6621억 원으로 증가 전환하면서다. 특히 대전지역의 기업대출은 한 달 동안 -1499억 원에서 6160억 원으로 증가 전환했다.
이 시기 세종의 여신은 -555억 원에서 -818억 원으로 감소 폭이 확대했으며, 충남의 여신은 2315억 원에서 1113억 원으로 증가 폭이 축소했다.
주택담보대출은 증가 폭이 축소했다. 9월 대전·세종·충남지역의 주택담보대출은 827억 원으로 전월(2978억 원)보다 규모가 더 감소됐다.
구체적으로 보면 대전의 주담대는 8월 -75억 원에서 9월 534억 원으로 증가 전환했지만, 세종은 -7억 원에서 -175억 원으로 감소 폭이 확대했다. 같은 시기 충남의 주담대는 1146억 원에서 -274억 원으로 감소 전환했다.
9월 중 대전·세종·충남지역의 금융기관 수신은 예금은행의 규모가 크게 축소하며 감소 전환했다. 8월 1조 892억 원에 달했던 대전·세종·충남지역의 수신 증가 폭은 9월 -8635억 원으로 감소 전환했다.
기관별로는 예금은행이 1조 81억 원에서 -9558억 원으로 감소 전환했고, 비은행금융기관의 증가 폭은 815억 원에서 923억 원으로 확대했다.
지역별로는 대전이 -1697억 원에서 -1조 2199억 원으로 감소 전환했고, 세종은 -5029억 원에서 -130억 원으로 감소 폭이 축소했다. 충남은 1조 4229억 원에서 3694억 원으로 증가폭이 축소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심효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