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 고분군 발굴 2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개최 홍보물 |
![]() |
| 서산 부장리 고분군 전경 |
이번 '서산 부장리 고분군 발굴 2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는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서산문화원, 호서고고학회와 공동으로 개최되며, '서산 부장리 고분군의 역사적 가치 확장'을 주제로 3개국 학자 7명이 참여한다.
2006년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서산 부장리 고분군은 제3차 발굴 조사 성과를 토대로 백제 한성기 왕실과 서산 지역 지방 세력 간의 정치·사회·문화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이러한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정비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한국에서는 류미나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나용재 단국대학교 강사, 강종원 한밭대학교 교수, 김낙중 전북대학교 교수, 이순자 국토연구원 본부장이 참여해 ▲서산지역 분구묘 조사 현황과 성과 ▲출토 위세품의 성격과 의미 ▲백제 지방 통치 체제 속 부장리 세력의 변화 ▲충남의 뱃길과 부장리 고분군 ▲사적 지정범위 확장과 정비·활용 정책 등을 발표한다.
중국에서는 장단위 남경사범대학교 교수가 '중국에서 본 부장리 고분군의 의미'를 통해 중국 돈식 봉토묘와의 비교를, 일본에서는 야마모토 다카후미 일본대학교 교수가 '일본 분구묘의 사회적 의의'를 주제로 한·일 분구묘 비교를 제시한다.
류미나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 고분군은 단순한 무덤군이 아니라 백제 한성기 왕실과 서해안 지역 세력 간 관계를 해석할 수 있는 핵심 자료"라며 "특히 이번 3차 발굴 조사에서는 분구묘 구조와 조영 과정이 더 명확히 드러나 학술적 의미가 더욱 커졌다"고 설명했다.
서산시 문화예술과 한 관계자는 "20년 동안 축적된 연구 성과를 국내외 학자와 함께 공유하는 것은 부장리 고분군의 가치를 국제적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향후 정비·복원 과정에도 학술 성과를 적극 반영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역사문화자원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서산시는 이번 학술대회가 중국·일본 등지의 분구묘와 비교 연구를 통해 부장리 고분군의 역사적 위상을 더욱 명확히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서산 부장리 고분군에서는 청동기시대와 백제 시대 주거지, 수혈 유구, 분구묘 등 260여 기 유구가 확인되고 있으며, 금동관모와 철제초두 등 위세품은 당시 중앙과 지방의 권력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이번 서산시 음암면 부장리 고분군 발굴 조사는 2004~2005년 1·2차 조사를 시작으로 현재 3차 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완섭 서산시장은 "이번 국제학술대회가 서산의 고대 문화정체성을 국내외에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속적인 발굴·정비를 통해 역사문화도시 서산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임붕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