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도입된 규제자유특구 제도는 중소벤처기업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추진하는 제도로, 지역 혁신과 균형발전을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신기술 실증을 지원하고 있다.
충남은 제도 도입 이후 2020년 수소에너지 전환 특구, 2021년 탄소저감 건설소재 특구, 2024년 그린암모니아 활용 수소발전 특구를 연이어 지정받으며 수소 중심의 친환경 산업 전환 거점으로 자리매김해왔다.
김태흠 도지사는 취임 이후 충남도를 '탄소중립경제특별도'로 선포하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청정수소 산업 육성을 추진 중이다.
이번 후보과제 선정은 이 같은 정책 기조를 구체화하는 중요한 발판으로 평가된다.
특히 이번 사업은 활용되지 않는 목재·우분·음식물쓰레기 등 유기성 폐자원으로부터 청정수소와 고부가가치 탄소소재(그린탄소)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실증하는 데 있다.
실증될 경우 폐기물로부터 생산한 수소는 발전용 연료전지, 수소엔진, 보일러 등에 활용되고, 탄소는 제철·이차전지 산업의 핵심 소재로 재활용될 예정이다
후보특구가 최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면 천안·당진 일원 1만여㎡ 규모 부지에서 2027년부터 2030년까지 국비 146억원, 지방비 62억5000만원, 민간 41억5000원 등 모두 250억원 규모로 추진될 전망이다
아울러 사업이 본격화되면 연간 청정수소 500t, 그린탄소 5000t을 생산할 것으로 추산된다
충남도는 후보특구 선정에 따라 12월까지 특구사업자를 모집하고 세부 실증계획을 고도화 및 중소벤처기업부 심의·평가를 거쳐 내년 5월 최종 지정을 목표로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서규석 충남테크노파크 원장은 "충남은 그동안 석탄화력발전소로 인한 탄소 다배출 지역이었지만, 이번 사업을 통해 청정수소와 고부가가치 탄소를 동시에 생산하는 탈탄소 산업 전환의 거점으로 재도약할 것"이라며"실증성과를 통해 지역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겠다"고 했다.
천안=김한준 기자 hjkim707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한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