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강철호 시의원./부산시의회 제공 |
부산시의회 교육위원회 강철호 의원(동구1)은 아이들의 안전하고 평등한 등굣길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부산형 통합 스쿨버스' 도입이 마침내 가시적인 첫발을 내딛게 됐다고 밝혔다.
강 의원은 지난 6일 진행된 행정사무감사와 25일 이어진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학교 자율에 맡겨진 통학 환경을 '공공이 책임지는 통합 시스템'으로 대전환해야 한다고 강력히 호소해 교육청의 전향적인 변화를 이끌어냈다.
그는 행정사무감사에서 부산의 지리적 특성과 열악한 통학 현실을 지적하며, "가파른 산복도로와 도시 외곽의 험한 길을 오가는 우리 아이들에게 등굣길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는 고단한 여정일 뿐"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학교별로 예산과 인력을 쪼개어 운영하는 현행 방식의 비효율성을 지적하며, "지역 기반의 통합 플랫폼을 도입한 '부산형 통합 스쿨버스' 시스템이 도입되면 비용 절감은 물론 아이들의 이동권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정책 제안은 이번 예산 심의에서 '학생 배치 계획 지원 세부 사업' 내 정책 연구 용역비 3100만 원이 반영되는 값진 성과로 이어졌다.
강 의원은 이에 대해 "비록 시작 단계의 예산이지만, 부산교육청이 드디어 '학교 밖 통학 환경'에 대해서도 공공의 책임을 통감했다는 증거"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특히 강 의원은 예산 심의 발언을 통해 "3100만 원이라는 예산이 부산 전역을 아우르는 거대한 시스템을 설계하기에는 빠듯할 수 있다"면서도 "필요하다면 추경을 통해서라도 예산을 증액해, 단 한 명의 아이도 소외되지 않는 완벽한 공공 통학 로드맵을 그려달라"고 당부했다.
강철호 의원은 "통학 격차가 곧 교육 격차"라는 화두를 던지며, "통학 차량 지원은 단순한 교통 편의 제공이 아니라, 아이들에게 공정한 교육 기회를 보장하는 '보편적 교육복지'의 핵심"이라고 역설했다.
끝으로 강 의원은 "부산시와 교육청이 협력해, 안전하고 쾌적하게 학교에 갈 수 있는 '부산형 공공 통학 서비스 시대'를 반드시 열어가겠다"고 다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