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 등 굽은 소나무

  • 오피니언
  • 세상읽기

[세상읽기] 등 굽은 소나무

윤희진 경제사회부장

  • 승인 2019-08-14 10:57
  • 신문게재 2019-08-15 15면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1윤희진(온라인용)
윤희진 부장
소나무(Pine Tree)의 이름은 다양하다.

백과사전에는 ‘솔’과 ‘솔나무’, ‘소오리 나무’를 모두 소나무로 쓴다. 한반도를 비롯해 중국 북동부와 일본 등에 주로 많다. 3국의 질기고 질긴 인연으로 뿌리를 내린 나무가 아닐까 한다.



하늘로 시원하게 뻗으면 높이 35m에 달하고 지름도 2m에 육박한다. 바늘처럼 생긴 잎은 2개씩 있으며 줄기는 단단하다. 송진이 들어 있어 잘 썩지 않으며 깊은 향이 배어 있다.

5월에 꽃이 피는데, 노란색인 수꽃이 먼저 핀 후에 자주색의 암꽃이 자태를 드러낸다. 꽃이 만발하면 온 세상은 노란 꽃가루(송화)로 뒤덮인다. 열매는 알다시피, 솔방울이다. 겨울에도 가지에 매달려 있을 정도지만, 색깔은 붉은 갈색에서 검은 갈색으로 바뀐다.



쓰임새도 다양하다.

당뇨를 비롯해 산후풍, 신경통, 소화불량, 골다공증, 종기, 고혈압, 두통 등을 완화하는 데 좋다고 해서 약용으로도 많이 쓰인다. 물론, 차(茶)나 술, 그리고 식초, 다식 등에도 빠질 수 없다. 송진은 고약의 원료이기도 하다.

생김새에 따라 다른 생(生)을 살기도 한다.

보면서 즐기는 위한 관상용을 비롯해 정자목(亭子木), 신목(神木), 당산목(堂山木)처럼 보호받는 특별한 ‘숙명’을 가진 소나무가 있다. 하늘로 곧게 뻗은 소나무는 가구나 건축, 선박, 차량, 악기 등 인간의 도구로 이용되기도 한다.

소나무 중에 가장 볼품없고 인기가 없는 건 ‘등 굽은 소나무’다.

말 그대로, 잘 생기도 못하고 곧게 뻗지도 못해 인간에게 외면받는 소나무다. 산(山)에서 태어나 산에서 생을 접는 소나무 대부분은 등이 굽은 야산의 소나무다.

비록 볼품없고 흔하지만, 오랫동안 한반도의 산을 지켜온 건, 등 굽은 소나무들이다. 능력 있고, 잘난 수많은 소나무가 떠났지만, 묵묵히 땅을 지탱해왔다. 숱한 고난과 풍파에도 등 굽은 소나무들은 서로를 의지하며 어려움을 극복해왔다.

인류가 태동한 이후 한겨레가 한반도를 지켜오고 지탱해온 것과 마찬가지다. 지금은 중국땅이 된 요동과 요하, 간도는 물론 러시아 연해주까지 잃을 정도로 시련의 역사였지만, 그 땅에 발을 딛고 사는 사람은 한(韓)민족이다.

고구려와 신라, 백제 혹은 그 이전부터 고려,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 등 이름은 달라졌지만, 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이들은 한민족이다. 바로, 내세울 것 없는 민초(民草)이다.

잃을 게 많은 숱한 귀족과 인텔리들은 명분과 대세를 내세우면서 무릎을 꿇었지만, 내세울 것 없는 민초는 꿋꿋이 땅을 지켜왔다. 그래서 민들레와 같은 잡초가 무섭다. 밟고 밟아도 살아나고 뽑고 뽑아도 이듬해 새싹이 돋기 때문이다.

‘경제왜란’이라고 한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일제강점기에 이어 네 번째다. 일본이 한반도를 짓밟던 혼돈의 시기, 그때마다 사익을 얻기 위해 '백성', '국민'을 남발하며 항일을 막아선 세력들이 있었다.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로 촉발된 지금도, 화살을 내부로 겨누고 있는 이들이 있다. 국난 때마다 맞서 싸우지 않고 항상 무릎을 꿇어왔던 과거의 그들과 달라 보이지 않는다.

그래도 문제는 없다. 언제나 그랬듯이 민초가 나라를 지켜왔기 때문이다. 등 굽은 소나무처럼 말이다.

윤희진 경제사회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