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스나이퍼 sniper] 89. 배워야 이긴다

  • 문화
  • 뉴스 스나이퍼

[뉴스 스나이퍼 sniper] 89. 배워야 이긴다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19-09-10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2회 대전광역시 문해 한마당]이 9월 3일 10시부터 15시 30분까지 한밭체육관에서 열렸다. 필자처럼 베이비부머 세대, 혹은 그보다 훨씬 연장자인 어르신들께서 만학(晩學)으로 공부한 결과물을 이날 모두 공개하는 실로 뜻 깊은 자리였다.

11시부터 시작된 '제2회 문해 골든벨'은 100명의 패기 넘치는 청소년들이 50문제에 도전하는 퀴즈 프로그램인 KBS 1TV의 <도전! 골든벨>을 벤치마킹했다. 필자는 예전 <퀴즈 대한민국>과 <우리말 겨루기>에도 출전한 전력이 있다.

그래서 잘 아는데 우리말은 정말 어렵다! 그날 역시 '햅쌀'을 '햇쌀'로 오기하여 낙방한 분들이 많았음은 이런 주장의 방증이다. 또한 '해돋이'를 발음 그대로 '해도지'로 쓰신 분도 보였다. '세숫대야' 역시 어렵긴 매한가지였다.

'식혜'와 신발 '한 켤레' 또한 알쏭하다로 몰고 가는 단초로 작용했다. <제2회 문해 골든벨>에서 대상(大賞)인 '세종대왕상'은 대전늘푸른학교 중학교 과정 3학년으로 공부하시는 김00 님이 수상하셨다. 수상 후에 50대 후반의 주부인 김00 님을 인터뷰했다.



인터뷰 도중, 지난 시절 너무나 가난했기에 중학교를 갈 수 없었다는 말씀이 나왔다. 순간, 동병상련(同病相憐)으로 그만 필자 역시 뭉클하면서 눈물을 감출 수 없었다. 아, 그 시절엔 왜 그렇게 찢어지게 가난했을까... 그랬기에 추석과 설날이 되어야만 비로소 배터지게 송편과 떡국까지 맘 놓고 먹을 수 있었던 것이다.

누차 강조했듯 본(本) 필자 또한 가난이 원수로 작용한 까닭에 중학교라곤 문턱도 밟아보지 못했다. 뒤늦게 깨닫고 치열한 독서와 독학 끝에 지천명의 나이에 3년 과정의 사이버대학에 들어갔지만. 덕분에 배운다는 게 얼마나 황홀하고 행복한지 비로소 절감했다.

[권분한 할머니 "나이 구십에 글자 배우니 분한 마음 몽땅 사라져요"] 8월 24일자 한국일보에 실린 뉴스다. 구순을 바라보는 나이에 한글을 깨친 만학도 할머니가 전국 시화전에서 최우수상을 받는다는 보도였다.

= "교육부 산하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개최한 '제8회 전국성인문해교육 시화전'에서 '내 이름은 분한이'를 제출한 권분한(88) 할머니가 최우수상에 선정됐다.(중략) 20일 경북 안동시 일직면 자택에서 만난 권 할머니는 "나이 구십이 다 되도록 상은 처음"이라며 얼떨떨해했다.

"어머니께서 딸만 셋을 낳아 분하다고 해서 막내인 내 이름을 분한으로 지어줬다"는 권 할머니는 "평생 내가 가장 분했던 것은 글을 모르고 살아온 것"이라고 말했다. (중략)

권분한 할머니는 열 살이 조금 넘어 학교에 갔는데 나이가 많다고 받아주지 않았다. "또래들보다 나이가 몇 살 많다고 받아주지 않는 바람에 집에 돌아와 엉엉 울었다"는 할머니는 그 후 80년에 가까운 세월을 자신의 이름 석 자도 쓰지 못하고 살아온 것이다.(중략)

권 할머니가 한글을 배우기 시작한 것은 2년여 전인 2017년 4월 마을 경로당에서 열린 안동시 한글배달교실에서다. 그는 "처음 책을 받아 들고 폈을 때 날아갈 듯 좋았다"며 "글자를 배우면 모르는 것도 없어질 것이라는 기대로 설렜다"고 말했다. 그는 그 후로 지금까지 2년여 동안 결석 한 번 하지 않았다.(후략)" =

[제2회 대전광역시 문해 한마당]을 취재하면서 문해(文解), 즉 '글을 읽고 이해함'을 몰랐다면 과연 나의 삶은 어땠을까를 새삼 곱씹어봤다. 그랬더라면 지금의 기자 활동과 두 권의 저서를 발간한 작가의 꿈 또한 뜬구름이자 포말(泡沫)로 사라졌을 게 분명하다.

우리나라에는 아직도 글을 모르는 비문해자(非文解者)들이 무려 300만 명에 이른다. 대전에도 12만 여 명의 비문해자들이 있다고 한다. 실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 사회에 숨어있는 비문해 학습자들이 세상과 소통하고, 내일을 열어가며, 새로운 삶을 만날 수 있도록 해주는 [대전광역시 문해 한마당] 같은 어떤 잔치는 적극 장려하고 지원해야 마땅한 다다익선(多多益善)의 총합(總合)이 아닐까 싶었다.

앞으로도 적지 않은 비문해자들이 뜨거운 열정과 희망을 잃지 않고 배움(學)을 통해 소중한 꿈을 꼭 이루시길 응원한다. 당연한 결론이겠지만 배워야 이긴다. 그래야 온당한 내 목소리까지 마음대로 낼 수 있다.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홍경석-작가-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3.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4.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5.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1.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4.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헤드라인 뉴스


등록금은 카드 납부 되는데… 기숙사비 `현금 일시불` 여전

등록금은 카드 납부 되는데… 기숙사비 '현금 일시불' 여전

대학 기숙사비 결제 방식으로 대다수 대학이 카드 결제가 불가능해 학생과 학부모들의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이어졌으나, 여전히 대전권 대학들은 현금 일시불 납부만 고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교육부가 지난 10월 31일 공시한 '2025년 대학별 기숙사비 납부제도 현황'에 따르면, 올해 전국 대학 기숙사 249곳 (직영·민자 등) 가운데 카드 납부가 가능한 기숙사는 55곳(22.1%)에 불과했다. 현금 분할 납부가 가능한 기숙사는 79곳(31.7%)으로 절반도 안 됐다. 계좌이체 등 현금으로 일시 납부를 해야 하는 기숙사는 149곳..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예지중고` 2026년 2월 운영 종료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예지중고' 2026년 2월 운영 종료

대전 첫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로 지정돼 중·고등학교 과정 6000여명을 배출한 대전예지중고가 2026년 2월 끝내 문을 닫는다. 중학교 졸업생들은 대전시립중고에서 남은 배움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된다. 3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2024년 7월 예지중고를 운영하는 재단법인 예지재단의 파산 선고에 따라 2026년 2월 마지막 졸업생 250여명을 끝으로 시설 운영을 종료한다. 예지재단 파산은 2024년 7월 결정됐지만 재학생 피해 최소화를 위해 추가 신입생을 받지 않고 재학생의 졸업을 기다린 시점이다. 1997년 학령인정 시설로 설립인가를..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