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스나이퍼 sniper] 89. 배워야 이긴다

  • 문화
  • 뉴스 스나이퍼

[뉴스 스나이퍼 sniper] 89. 배워야 이긴다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 승인 2019-09-10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2회 대전광역시 문해 한마당]이 9월 3일 10시부터 15시 30분까지 한밭체육관에서 열렸다. 필자처럼 베이비부머 세대, 혹은 그보다 훨씬 연장자인 어르신들께서 만학(晩學)으로 공부한 결과물을 이날 모두 공개하는 실로 뜻 깊은 자리였다.

11시부터 시작된 '제2회 문해 골든벨'은 100명의 패기 넘치는 청소년들이 50문제에 도전하는 퀴즈 프로그램인 KBS 1TV의 <도전! 골든벨>을 벤치마킹했다. 필자는 예전 <퀴즈 대한민국>과 <우리말 겨루기>에도 출전한 전력이 있다.



그래서 잘 아는데 우리말은 정말 어렵다! 그날 역시 '햅쌀'을 '햇쌀'로 오기하여 낙방한 분들이 많았음은 이런 주장의 방증이다. 또한 '해돋이'를 발음 그대로 '해도지'로 쓰신 분도 보였다. '세숫대야' 역시 어렵긴 매한가지였다.

'식혜'와 신발 '한 켤레' 또한 알쏭하다로 몰고 가는 단초로 작용했다. <제2회 문해 골든벨>에서 대상(大賞)인 '세종대왕상'은 대전늘푸른학교 중학교 과정 3학년으로 공부하시는 김00 님이 수상하셨다. 수상 후에 50대 후반의 주부인 김00 님을 인터뷰했다.



인터뷰 도중, 지난 시절 너무나 가난했기에 중학교를 갈 수 없었다는 말씀이 나왔다. 순간, 동병상련(同病相憐)으로 그만 필자 역시 뭉클하면서 눈물을 감출 수 없었다. 아, 그 시절엔 왜 그렇게 찢어지게 가난했을까... 그랬기에 추석과 설날이 되어야만 비로소 배터지게 송편과 떡국까지 맘 놓고 먹을 수 있었던 것이다.

누차 강조했듯 본(本) 필자 또한 가난이 원수로 작용한 까닭에 중학교라곤 문턱도 밟아보지 못했다. 뒤늦게 깨닫고 치열한 독서와 독학 끝에 지천명의 나이에 3년 과정의 사이버대학에 들어갔지만. 덕분에 배운다는 게 얼마나 황홀하고 행복한지 비로소 절감했다.

[권분한 할머니 "나이 구십에 글자 배우니 분한 마음 몽땅 사라져요"] 8월 24일자 한국일보에 실린 뉴스다. 구순을 바라보는 나이에 한글을 깨친 만학도 할머니가 전국 시화전에서 최우수상을 받는다는 보도였다.

= "교육부 산하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개최한 '제8회 전국성인문해교육 시화전'에서 '내 이름은 분한이'를 제출한 권분한(88) 할머니가 최우수상에 선정됐다.(중략) 20일 경북 안동시 일직면 자택에서 만난 권 할머니는 "나이 구십이 다 되도록 상은 처음"이라며 얼떨떨해했다.

"어머니께서 딸만 셋을 낳아 분하다고 해서 막내인 내 이름을 분한으로 지어줬다"는 권 할머니는 "평생 내가 가장 분했던 것은 글을 모르고 살아온 것"이라고 말했다. (중략)

권분한 할머니는 열 살이 조금 넘어 학교에 갔는데 나이가 많다고 받아주지 않았다. "또래들보다 나이가 몇 살 많다고 받아주지 않는 바람에 집에 돌아와 엉엉 울었다"는 할머니는 그 후 80년에 가까운 세월을 자신의 이름 석 자도 쓰지 못하고 살아온 것이다.(중략)

권 할머니가 한글을 배우기 시작한 것은 2년여 전인 2017년 4월 마을 경로당에서 열린 안동시 한글배달교실에서다. 그는 "처음 책을 받아 들고 폈을 때 날아갈 듯 좋았다"며 "글자를 배우면 모르는 것도 없어질 것이라는 기대로 설렜다"고 말했다. 그는 그 후로 지금까지 2년여 동안 결석 한 번 하지 않았다.(후략)" =

[제2회 대전광역시 문해 한마당]을 취재하면서 문해(文解), 즉 '글을 읽고 이해함'을 몰랐다면 과연 나의 삶은 어땠을까를 새삼 곱씹어봤다. 그랬더라면 지금의 기자 활동과 두 권의 저서를 발간한 작가의 꿈 또한 뜬구름이자 포말(泡沫)로 사라졌을 게 분명하다.

우리나라에는 아직도 글을 모르는 비문해자(非文解者)들이 무려 300만 명에 이른다. 대전에도 12만 여 명의 비문해자들이 있다고 한다. 실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 사회에 숨어있는 비문해 학습자들이 세상과 소통하고, 내일을 열어가며, 새로운 삶을 만날 수 있도록 해주는 [대전광역시 문해 한마당] 같은 어떤 잔치는 적극 장려하고 지원해야 마땅한 다다익선(多多益善)의 총합(總合)이 아닐까 싶었다.

앞으로도 적지 않은 비문해자들이 뜨거운 열정과 희망을 잃지 않고 배움(學)을 통해 소중한 꿈을 꼭 이루시길 응원한다. 당연한 결론이겠지만 배워야 이긴다. 그래야 온당한 내 목소리까지 마음대로 낼 수 있다.

홍경석 / 수필가 & '사자성어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저자

홍경석-작가-최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2.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3.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4. 위기 미혼한부모 가정에 3000만 원 후원금 전달
  5. 자립준비청년 자기계발비 300만원 후원
  1. 장애인 보조견 환영합니다
  2. 천안시, '담헌달빛관' 개관
  3.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2025년 활동지원사 힐링나들이'
  4. “웃으며 배우는 가족 소통법”
  5. 대전시사회복지협의회-유한킴벌리 대전공장 사랑의 김장 나눔

헤드라인 뉴스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최소분담률, 재정여건 따라 차등해야"

"지역사랑상품권 지방비 최소분담률, 재정여건 따라 차등해야"

국가 예산을 지원하는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발행 시 자치단체가 부담하는 ‘지방비 최소 분담률’은 재정 여건에 따라 차등해야 한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또 이미 보편화 됐지만, 운영자금이나 이자 수입 등 자치단체의 자금 관리가 여전히 미흡하다는 문제점도 제기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해 11월 14일 공개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및 관리체계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고 있는 자치단체는 모두 190곳(광역 17곳 중 11곳, 기초 226곳 중 179곳)으로 집계됐다. 상품권 발행액은..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올해 대전 아파트 청약시장에서는 특정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입지와 분양가 등 경쟁력을 갖춘 인기 단지가 선별되면서 '옥석 가리기'가 한층 심화되는 분위기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양에 나선 '도룡자이 라피크'가 침체된 분양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GS건설이 공급한 도룡자이 라피크는 1~2순위 청약에서 214세대 모집에 3636건이 접수되며 평균 16.9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84㎡B형은 59.16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대부분 1..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공천을 위해 모든 당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에 착수한다. 그동안 대표나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20:1 미만으로 했던 규정을 개정해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을 동등하게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내년 6·3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룩하겠다"며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 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