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보기] 도시의 중심부에 영혼을 머물게 하는 신성함이 있는가?

  • 오피니언
  • 세상보기

[세상보기] 도시의 중심부에 영혼을 머물게 하는 신성함이 있는가?

대한성공회 유낙준 의장주교

  • 승인 2019-11-21 10:56
  • 김성현 기자김성현 기자
2019101001000944300037151
대한성공회 유낙준 의장주교
고대의 도시는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신성함을 중심으로 세워졌다고 한다.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는 뭔가 기대고 싶고 머물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은 그런 까닭일 것이다. 신성함은 인간의 죽음을 넘어서고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지점에서 나온다.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능력을 다 발휘해도 이룰 수 없는 그 자리에 신성함이 나타난다. 그 신성함을 중심으로 사람들이 모여서 도시가 된 것이다. 신성함으로 자신의 살 방향을 정하고, 신성함을 통하여 자신이 살 이유를 찾게 되니 함부로 대할 수 없는 신성함을 중심부에 모시게 된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사는 도시의 중심부의 신성함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나?

인간의 욕망을 채우려는 인간의 가치를 소유의 잣대로만 재는 현대의 도시는 대성당의 십자가보다도 더 높은 빌딩을 세우면서 신성함을 발견하기 어렵게 됐다. 인간의 삶에서 드러나는 외로움을 달래주고 위로해 주고 용기를 북돋아주는 신성한 곳을 수많은 사람의 영혼들이 요청하는 듯 하다. 더 많은 사람과 연락하며 사는 현대인들은 정작 속내를 드러낼 깊은 신비가 일어나는 영혼이 쉬는 신성한 곳을 지니지 못한 채 살고 있다. 1884년 미국 워싱턴시에는 초대 대통령 워싱턴을 기념하기 위한 168m의 탑이 세워졌는데, 그 탑보다 더 높은 건물을 짓지 못하도록 정해졌다고 한다. 어쩌면 워싱턴시의 신성함이 이 탑으로 인하여 존재하는 것 같다.

신성한 곳에 있으면 뭔가 선한 힘들이 채워짐을 느끼게 된다. 슬픈 마음이 사라지는 느낌을 받기도 하고 아픈 상처가 치유되어 위로를 받기도 한다. 그곳은 넓은 잔디밭이나 광장일 수도 있고 작지만 고요하게 기도하기 좋은 곳 그런 곳일 것이다. 사랑하는 연인 둘만의 애정이 인류애를 기반으로 하는 것과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게 해 주는 그런 신성한 곳이 우리 도시에 존재하기를 기대해본다. 자신을 함부로 대한 경험이 많은 현대인들에게는 더욱 이런 신성한 장소가 필요하다. 인간은 자신을 소중하고 귀하게 여기게 만드는 신성한 곳을 향해 살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를 사는 지친 사람들에게 어쩌면 위안부 소녀상도 신성함을 느끼게 하는 자리가 될 것 같다. 식당가가 즐비한 건물의 위층에 자리잡은 개척교회 역시 신성함을 주기도 한다.

다시 한번 우리 자신을 향해 물어본다. 우리가 사는 도시의 중심부에 신성한 장소가 있을까? 있다면 어디일까? 우리는 그곳에서 땅에 사는 자신이 하늘과 연결되었다는 평화를 느끼게 될 것이다. 너무나 갈등이 심한 극단적인 우리나라에서 평화가 내려오는 그 신성함의 자리가 세워져 균형잡힌 인간의 삶이 존중되는 나라가 오기를 마음을 다해 기도한다./대한성공회 유낙준 의장주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산림아카데미재단 울진군 임업사관학교 입학식
  2. 대전시노인복지관협회. 한국주택금융공사 대전지사, 어르신 복지 증진 맞손
  3. 천안법원, 허위 보조금 신청한 60대 남성 '벌금 500만원'
  4. "함께하는 한 끼, 이어지는 우리"
  5. 음악의 감동과 배움의 열정으로, 어르신 삶에 새 활력을!
  1. 당진 173㎜ 홍수주의보 해제…산사태 주의보 '계속'
  2. 아산시의회 탄소중립을 위한 특별위, '중이 없는 회의 개최
  3. 백석문화대, 충남형 계약학과 공유·협업 워크숍 개최
  4. 아산시, 'KTL 바이오의료종합지원센터' 개소
  5. 연암대, LG와 함께하는'2025 LG Day'개최

헤드라인 뉴스


‘K-스틸’ 위기 극복 세미나 여야 대거 참석 ‘법안 통과’ 한목소리

‘K-스틸’ 위기 극복 세미나 여야 대거 참석 ‘법안 통과’ 한목소리

미국의 관세 압박에 어려움을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을 살리기 위한 이른바, ‘K-스틸법’ 제정에 여야가 한목소리를 냈다. 국회철강포럼(공동대표 더불어민주당 어기구·국민의힘 이상휘 의원)이 9월 12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K-스틸법 발의, 그 의미와 향후 과제’를 주제로 열린 정책세미나에서다. 이번 세미나는 철강산업의 위기 극복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마련된 K-스틸법의 의의를 평가하고 후속 입법 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 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인 K-스틸법 제정안에는 대통..

"대학생이 바라본 지역 현안은"… 정책과 보완점 논의
"대학생이 바라본 지역 현안은"… 정책과 보완점 논의

대전 유성구 정책 분석을 위해 지역 대학생들이 머리를 맞댔다. 14일 유성구에 따르면 12일 유성구청에서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 현안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단'의 연구 보고회를 개최했다. 데이터 기반 문제해결단은 KAIST와 국립한밭대 학생 2개 팀으로 구성됐다. 앞서 6개월간 팀별 멘토 교수의 지도를 받아 데이터 분석과 정책 대안 제시 활동을 이어왔다. 보고회에서 KAIST '얼른타보슈' 팀은 축제·유동량·소비 등 데이터를 융합·분석해 축제가 지역 상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분석 결과, 과..

중처법·노란봉투법에 흔들리는 지역기업 탈출구는?
중처법·노란봉투법에 흔들리는 지역기업 탈출구는?

#1.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이 시행 3년차에 접어들었지만,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에 대한 경영책임자의 법적 의무 범위가 여전히 모호해 산업현장에서 혼란을 키우고 있다. 최근 금융위원회가 중대재해 발생 기업에 대해 대출 제한, 신용등급 하락 등 금융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히면서 기업들의 불안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2. 지난 8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 역시 대표적인 기업 규제 법안으로 꼽힌다. 사용자의 범위가 명확치 않은 데다, 경영상 의사결정이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쳐 쟁의행위 대상이 될 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추석맞이 자동차 무상점검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3~4학년부 FS오산 우승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여성부 예선

  •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 제16회 대전시 동구청장배 전국풋살대회 초등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