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훌륭한 선택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훌륭한 선택

  • 승인 2019-01-09 11:13
  • 수정 2019-01-09 13:46
  • 신문게재 2019-01-10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190109_094900624
새벽 5시 50분. 간신히 택시를 잡았다. 차 시간에 늦을까봐 초조했는데 다행히 와줘서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이렇게 일찍 어디 가시나요?" 인상이 깔끔한 초로의 신사 분위기의 택시기사가 물었다. 통영에 물메기탕 먹으러 간다고 하자 택시기사는 반색을 했다. "나도 가족이랑 얼마전에 동해안 가서 그걸 먹었는데 아들놈들은 먹는 둥 마는 둥 하더라니까요." 우리는 터미널까지 가는 동안 짧은 시간이었지만 많은 얘기를 나눴다. 젊은 날 부산에서 군 생활을 했다는 그는 얼마전 부산에 가보고 많이 변해서 실망이 컸다고 한다. 예전에 동백섬이 얼마나 아름다웠는지, 해운대 바닷물은 수정같이 맑았고, 부산 아가씨들은 하나같이 예쁘고 말도 사근사근했다며 지난날을 회상했다. 전국 팔도 여행기를 실컷 얘기한 택시기사는 차에서 내리는 내 뒤통수에 대고 결정적 한방을 날렸다. "예수 믿어요. 예수 믿으면 천국 가요."

버스에서 창밖의 밤하늘을 올려다봤다. 총총히 빛나는 별이 나의 길을 동행했다. 만지면 베일 것 같은 손톱달도 시커먼 산등성이에 걸려 있었다. 먼동이 트기엔 아직 이른 시간이다. 남쪽 땅끝은 나에겐 해방의 공간이다. 해가 바뀌면 으레 통영이 그리워진다. 그것은 본능과도 같다. 어미 새가 벌레를 물고 둥지에 들어오면 눈도 안뜬 새끼가 입을 쩍 벌리는 것처럼 말이다. 윤이상과 박경리의 고향 통영. 먹을 것이 그득한 풍요의 해안도시. 몇 년 전 2월에 갔을 때 물메기탕을 찾았으나 너무 늦게 왔다며 한 겨울에 오라는 말을 들었다.

세 시간을 달려 도착한 통영은 뺨을 스치는 바람의 온도가 달랐다. 살을 에는 시베리아 한파가 여기선 맥을 못추는 모양이다. 이젠 통영이 오랫동안 살아온 것처럼 익숙하다. 서호시장 사람들도 낯이 익어 고향 사람 같다. 점심을 먹기엔 이른 시간이지만 배가 고파 눈에 띄는 식당으로 들어갔다. 아직 준비가 안됐다며 12시에 오라고 해서 다시 들르겠다고 하고 시장구경에 나섰다. 내륙에선 볼 수 없는 싱싱한 생선들이 좁은 대야 안에서 몸부림을 쳤다. 군함처럼 거대한 대구들은 배가 쩍 갈린 채 척추뼈를 드러내고 햇볕에 말라가고 있었다. 갓 잡아온 생선들은 오늘 어느 식탁에서 생을 마감하려나. 물고기들의 숙명과 나의 숙명은 어떻게 다를까. 시장 끄트머리에 있는 은행에 돈을 찾으러 들렀다 시간이 남아 쉴 요량으로 소파에 앉았다. 전원생활을 다루는 월간지가 있길래 집어 들었다. 곽재구 시인의 인터뷰 기사가 나왔다. 그가 20대 중반에 쓴 '사평역에서'는 내 젊은날 부러움과 존경심을 불러일으킨 시였다. 기사에서 시인은 이런 말을 했다. "바람, 꽃, 강물, 시간, 사람들의 웃음소리, 음식냄새, 이것들이 다 내 도반이다."

다시 찾은 식당은 조용했다. 아무리 불러도 인기척이 없었다. 다른 데로 가야 하나. 에라 모르겠다. 배낭을 내려놓고 TV를 켰다. 식탁 위에 놓인 뻥튀기도 갖다 먹었다. 뭐라도 먹어서 내 위장의 히스테리를 잠재워야 했다. 한참 후에 주인 아주머니가 들어왔다. "오메, 진짜 왔네예." 물메기탕이 드디어 나왔다. '뱃놈'들이 먹을법한 냉면 그릇에 나올 정도의 양이었다. 맑은 국물이 시원하고 담백했다. 뽀얀 물메기 살은 흐물거려서 씹을 새도 없이 꿀러덩 넘어갔다. 콧물을 훌쩍이며 국물까지 다 먹었다. 주인은 남편이 바다에서 잡아온 고기를 팔면서 식당도 했다. 모름지기 사내는 밖에 나가서 가족에게 먹일 먹을 거리를 물어와야 하는 법이다. 주인은 올해는 물메기가 안잡혀 값이 올랐다며 미안해했다. 작년 겨울엔 EBS '한국기행'에도 나왔단다. 주인 부부가 바다에서 고기 잡는 모습을 찍었다고 한다. 그 뒤로 여러 곳에서 출연해 달라고 연락이 왔지만 다 사양했다고 한다. 성가시고 하루 공치는 바람에 손해만 봤기 때문이다. "다음엔 회덮밥 먹으러 올게요."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1. 충남대, 제2회 'CNU 혁신포럼’…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정책 대응 논의
  2. '수능약?' 전문의약품을 불안해소 오남용 여전…"호흡발작과 천식까지 부작용"
  3. [세상읽기] 변화의 계절, 대전형 라이즈의 내일을 상상하며
  4. "사업비 교부 늦어 과제 수행 지연…" 라이즈 수행 대학 예산불용 우려
  5. 한남대, 조원휘 대전시의장 초청 ‘공공리더십 특강’

헤드라인 뉴스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30일 LG 트윈스와의 한국시리즈(KS, 7판 4선승제) 4차전을 4-7로 패배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LG는 이날 경기 결과로 시리즈 전적을 3승으로 만들며 우승까지 한 걸음만을 남겼다. 한화는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LG를 맞아 4-7로 패배했다. 먼저 득점을 낸 건 한화다. 4회 말 무사 1, 2루 상황에서 타석에 오른 황영묵은 번트로 1사 2, 3루 기회를 만들었고, 다음 순서로 나선 하주석이 적시타를 쳐내며 선취점을 만들었다. 한화..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