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목포 아짐 인심 겁나게 좋아부러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목포 아짐 인심 겁나게 좋아부러

  • 승인 2019-02-20 17:01
  • 신문게재 2019-02-21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190220_101921438
졸린 눈을 비비며 목포 터미널 대합실에 들어섰다. 대합실 의자에 배낭을 내려놓고 물 한모금으로 목을 축이는데 노랫소리가 들렸다. 나이 지긋한 남자의 구성진 목소리에 귀를 쫑긋 세웠다. 무슨 노래더라? 멜로디는 익숙한데 선뜻 감이 안 잡혔다. '머나먼 저 하늘만 바라보고 울고 있나~.' 아, 하춘화의 '물새 한 마리'였다. 노래솜씨가 보통은 아닌 것 같은 사내의 노래가 이방인의 마음을 적셨다. 아마 취객이 흥에 겨워 부르는 모양이었다. 역시 가인 이난영의 도시 목포였다. 나에게 목포는 치자향의 도시로도 기억된다. 오래 전, 땡볕이 내리꽂는 한여름 목포역 근처에서 맡았던 달콤한 향을 잊을 수 없다. 찌는 듯한 열기속에서 눈부시게 흰 치자꽃과 그 향에 취해 가던 길을 멈추고 한참동안 서성였었다.

유달산에서 내려다 본 바다의 물빛이 싱그러웠다.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아직 차가웠다. 목포는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의 식량 창고였다. 기름진 호남평야에서 거둬들인 쌀을 목포항을 통해 일본으로 실어 날랐다. 대전~목포의 호남선도 쌀 수탈을 위해 설립된 철로였다. 목포역을 중심으로 원도심엔 일제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동양척식주식회사, 경찰서, 은행, 사찰, 면화주식회사 등. 근대역사관에 전시된 사진은 잔악한 일제 침략사와 독립운동사의 숨결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총살당한 독립군의 뱃속에서 흘러나온 내장을 보는 순간 분노감에 몸이 떨렸다. 영화 '1987'의 영화촬영지 '연희네 슈퍼'뒤에는 방공호도 있다. 곳곳에 식민지의 상흔이 배어 있었다. 이곳 서산동은 80년대까지만 해도 부촌이었다고 한다. 가수 남진도 이곳 출신이란다. 그러나 지금은 여행자들의 웃음소리만 간간이 들릴 뿐 산비탈에 게딱지처럼 붙어 있는 집들은 허물어져 가고 있다. 빈집의 버려진 세간살이들이 어지럽게 널려 바람에 뒹굴었다. 그 틈에 시멘트 담벼락에선 새싹이 돋아났다. 생명이 움트고 있었다. 비루한 삶도 존재이유가 있는 것이다.

다음날 아침 일찍 선창으로 갔다. 머스터드 소스가 듬뿍 뿌려진 바게트에 우유 하나로 아침을 때운 터라 뱃속이 느글거렸다. 잿빛 구름이 깔린 하늘이 한층 낮아 보였다. 고깃배들이 꽉 들어찬 항구는 장관이었다. 몇몇 배는 울긋불긋 깃발이 나부꼈다. 올 한해 만선을 비는 의식을 치른 모양이었다. 전날 술을 거하게 펐는지 눈에 핏발 선 남자 둘이 쭈그리고 앉아 얘기 중이었다. 요즘 무슨 고기를 잡냐고 물으니 "지금은 술 먹는 철이랑게요"라며 껄껄 웃었다. 선원들 중엔 동남아인들도 많았다. 르포 작가 한승태가 진도 꽃게잡이 어선에서 40일동안 일한 기록은 바다가 결코 선심을 베푸는 곳이 아님을 보여준다. 바다가 좋아서 배를 탄다는 지은이의 고백에 선배 선원은 코웃음을 쳤다. "그림같은 바다? 좆까고 있네." 바다란 언제든 선원들을 익사시킬수 있는 살벌한 일터라는 얘기다.

시계를 보니 10시가 훌쩍 넘었다. 아무래도 밥부터 먹어야 할 것 같았다. 항동시장으로 들어가는 후미진 골목이 보였다. 옹색한 식당들은 오랜 세월 이곳에서 밥을 먹고 산 상인들의 고단함을 말해주었다. 뜨끈한 국물이 간절했다. 먼지 낀 출입문에 해장국이라고 쓰인 식당문을 열고 들어갔다. 70대로 보이는 세 여인이 난롯가에 앉아 잡담 중이었다. 그런데 영업을 안한다고 했다. 난감해하는 나에게 주인 아주머니는 "우리가 지금 밥을 묵을낀데 같이 드소"라며 의자를 권했다. 우거지넣은 돼지등뼈탕과 갈치·삼치 구이에다 젓갈, 겉절이 등이 나왔다. 그리고 꽁보리밥. 바닷가 음식답게 젓갈이 듬뿍 들어간 음식들이었다. 나중에는 소주 한잔씩 곁들였다. 그 중 한분이 '목포의 눈물'을 뽑아 냈다. '사아고옹의 뱃노오래 가아무울거어리이고~.' 그날따라 소주 맛이 달큰했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1. 충남대, 제2회 'CNU 혁신포럼’…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정책 대응 논의
  2. '수능약?' 전문의약품을 불안해소 오남용 여전…"호흡발작과 천식까지 부작용"
  3. [세상읽기] 변화의 계절, 대전형 라이즈의 내일을 상상하며
  4. "사업비 교부 늦어 과제 수행 지연…" 라이즈 수행 대학 예산불용 우려
  5. 한남대, 조원휘 대전시의장 초청 ‘공공리더십 특강’

헤드라인 뉴스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30일 LG 트윈스와의 한국시리즈(KS, 7판 4선승제) 4차전을 4-7로 패배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LG는 이날 경기 결과로 시리즈 전적을 3승으로 만들며 우승까지 한 걸음만을 남겼다. 한화는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LG를 맞아 4-7로 패배했다. 먼저 득점을 낸 건 한화다. 4회 말 무사 1, 2루 상황에서 타석에 오른 황영묵은 번트로 1사 2, 3루 기회를 만들었고, 다음 순서로 나선 하주석이 적시타를 쳐내며 선취점을 만들었다. 한화..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