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내가 먹는 것이 나를 증명한다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내가 먹는 것이 나를 증명한다

  • 승인 2019-03-14 08:34
  • 신문게재 2019-03-14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냉이국
스무 날 가까이 미세먼지 속에서 살았다. 독성이 가득한 부유하는 안개의 도시에 갇혀 생존의 문제로 고통에 몸부림쳤다. 산다는 것은 행복인가, 불행인가. 문명의 이기에 익숙한 인간의 딜레마는 계속될 것이다. 앞으로 나아갈 뿐, 멈추지도 않고 더구나 뒤를 돌아보는 건 어리석다고 여길 테니까 말이다. 부안 내소사 전나무 숲길을 걸으며 먼지에 찌든 폐부 깊숙이 청량한 공기를 가득 채웠다. 신선한 전나무 향이 머리를 맑게 했다. 단단하게 다져진 흙길과 길 가에 쭉쭉 뻗은 키 큰 전나무들이 그렇게 정답게 느껴질 수가 없다. 나무를 보면, 나무에 가까이 있으면 위안을 받는다. 전나무 기둥을 손으로 만져 보았다. 거친 나무 껍질이 생명력 있는 자연에서 느끼는 삶의 에너지를 준다. 이 나무들은 몇 살일까. 수령이 꽤 됨직한데 그 푸르름은 늙지 않는다. 나도 저 나무들처럼 늙어가면 얼마나 좋을까.

내소사의 백미는 대웅보전이다. 단청을 입히지 않은 아담한 자태 속에 들어가보면 뜻밖의 선물을 만난다. 꽃살문의 화려한 문양에 저절로 입이 벌어진다. 실루엣의 극치라고나 할까. 연꽃, 국화가 새겨진 문살이 어찌나 섬세한 지, 사진으로 본 인도 불교 조각품을 대하는 듯하다. 400년 전 이 나무에 하나하나 꽃을 조각한 장인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고행하는 싯타르타가 보리수 나무 아래서 깨달음을 얻는 것처럼 불심으로 정진했을까. 기나긴 세월에, 바람결에 닳은 꽃살문은 그래서 더욱 아름답다. 꽃살문을 어루만지며 오래 전 장인의 손길을 더듬어본다. 그 옛날에 나무에 꽃을 새기던 장인의 거칠고 투박한 손과 맞닿는 환상에 사로잡힌다. 모처럼만에 맑은 공기와 봄 햇살에 맘껏 몸을 맡겼다. 대웅보전 주춧돌에 걸터앉아 한참동안 봄볕의 나른함에 취했다. 시간이 멈춘 듯, 다만 아이들의 티없는 웃음소리가 현실의 나를 일깨웠다. "아, 따시다." 노구를 이끌고 법당을 둘러보던 한 노인이 햇살 아래로 나오며 말했다. 꽃말이 '영원불멸의 사랑'이라는 산수유꽃도 피었다. 붓다의 자비는 영원할까.

일주일 전 위장에 탈이 나서 며칠 앓아서인지 자리에서 일어날 때 현기증이 났다. 미세먼지, 한파가 번갈아 오는 바람에 지난 겨울 통 운동을 못했었다. 겨우내 1kg 찐 살이 아프면서 도로 빠져버렸다. 밥을 먹어야 어깨가 펴질 것 같았다. 내소사 일주문에서 나오자 음식냄새가 진동해 코를 벌름거렸다. 입으로야 파전에 막걸리 한잔 쭈욱 들이켜고 싶지만 산채비빔밥을 먹기로 했다. 고사리, 버섯, 콩나물, 시금치 등 온갖 나물과 계란 프라이가 얹힌 대접에 밥 한 공기를 통째로 넣어 비볐다. 그리고 배추 된장국을 한 술 떠먹었다. 아! 구수한 된장냄새. 요번에 체하고 배탈난 날 저녁에 아무 것도 먹을 수 없을 때 멸치·표고버섯가루와 대파만 넣은 맑은 된장국을 끓여 마셨다. 그리고 이틀동안 된장으로 끓인 시금치죽으로 속을 다스렸다.

된장으로 만든 음식은 다 좋다. 일단 속이 편하다. 김치찌개보다 된장찌개가 맛있고, 여름날 엄마가 해 주던 된장 수제비는 잊을 수 없다. 앞뜰에 심은 호박잎과 애호박을 손으로 뜯어넣고 청양고추 쫑쫑 썰어 넣은 된장 수제비는 엄마의 별미였다. 달착지근한 일본 미소된장보다 깊은 맛이 나는 우리 된장이 내 입맛에 맞는다. 비빔밥을 먹으면서 배추된장국을 한 그릇 더 달라고 해서 먹었다. 주인 아주머니에게 된장국이 맛있다며 직접 담그냐고 물으니까 "네"하고 휑 가버렸다. 순간 머쓱했다. 혹시 식품회사에서 파는 된장에 마법의 조미료를 넣었나? 아니면 말린 바퀴벌레를 갈아서 넣었을 지도…. 그날 저녁 집에 와서 냉이된장국과 달래무침을 해 먹었다. 봄의 향기였다. 지금 산과 들에 쑥이 돋아났을텐데 쑥된장국도 빠질 수 없다. 언제 아팠냐는 듯 다시 식욕이 동한다.<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1. 충남대, 제2회 'CNU 혁신포럼’…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정책 대응 논의
  2. '수능약?' 전문의약품을 불안해소 오남용 여전…"호흡발작과 천식까지 부작용"
  3. [세상읽기] 변화의 계절, 대전형 라이즈의 내일을 상상하며
  4. "사업비 교부 늦어 과제 수행 지연…" 라이즈 수행 대학 예산불용 우려
  5. 한남대, 조원휘 대전시의장 초청 ‘공공리더십 특강’

헤드라인 뉴스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30일 LG 트윈스와의 한국시리즈(KS, 7판 4선승제) 4차전을 4-7로 패배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LG는 이날 경기 결과로 시리즈 전적을 3승으로 만들며 우승까지 한 걸음만을 남겼다. 한화는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LG를 맞아 4-7로 패배했다. 먼저 득점을 낸 건 한화다. 4회 말 무사 1, 2루 상황에서 타석에 오른 황영묵은 번트로 1사 2, 3루 기회를 만들었고, 다음 순서로 나선 하주석이 적시타를 쳐내며 선취점을 만들었다. 한화..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