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육아 톡톡톡] 내 아이 언어발달을 위해 하지말아야 할 행동

  • 문화
  • 실전육아 톡톡톡

[실전육아 톡톡톡] 내 아이 언어발달을 위해 하지말아야 할 행동

늦둥이 엄마 기자가 알려주는 육아정보

  • 승인 2019-03-18 17:32
  • 수정 2019-03-18 17:38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01


02


03


04




05


06



아이가 만 2세가 되면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것을 스펀지처럼 흡수합니다. 평생 언어생활의 기초가 다져지는 아주 중요한 시기예요. 이 시기 아이의 언어발달을 위해 부모가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이 있는데요, 바로 언어발달을 자재하는 행동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행동들을 조심해야 할지 알아볼까요? <편집자주>

1. 복잡한 문장 사용, 안돼요
아이의 언어발달을 위해 엄마는 '수다쟁이'가 돼야 한다는 말, 많이 들어 보셨죠? 복잡한 중문을 사용해 말을 거는 행동이 언어 발달에 효과적이라 믿는 분들도 많은데요. 언어 표현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만2세 시기에는 엄마가 복잡한 문장구조를 사용할 경우 아이는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답니다. 가령 "파란색 티셔츠를 입고 친구들이 기다리고 있는 놀이터로 가보자"와 같은 복잡한 문장보다는 "파란색 티셔츠 입자, 다 입었네?, 놀이터로 가볼까?"와 같은 단순한 문장을 사용하는 게 효과적입니다.

2. 대명사 사용, 안돼요
이것, 저것, 이쪽, 저쪽 등의 대명사는 대화 중 단어 사용을 줄일 수 있어 편리합니다. 하지만 아이의 언어발달에 있어서는 대명사보다는 구체적인 단어를 사용하는 게 중요하답니다. 아이에게 신발을 신기면서 "이쪽에 신자"보다는 "오른쪽 발에 신발을 신자"처럼 단어를 사용해 아이가 신체 기관이나 단어의 명칭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좋습니다.

3. 지나치게 많은 말, 안돼요
말이 많은 엄마 밑에서 자란 아이가 언어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은 이미 입증된 사실입니다. 표현력과 언어 구사력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과유불급'이란 말도 있듯이 엄마가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하는 게 좋은 것만은 아니에요. 말이 많으면 속도도 빨라질 수 있는데요. 아이는 빠르게 말하는 엄마의 말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을 뿐더러, 엄마가 말하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많을 경우 아이 스스로 말할 기회를 박탈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답니다. 또한 엄마가 말을 많이 하다 보면 칭찬과 잔소리의 경계가 허물어질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4. 아이의 반응 무시, 안돼요
엄마들은 말을 많이 해야 한다는 생각에 아이에게 대답할 틈을 주지 않고 혼자 떠들어대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아웃풋(Output)에 대한 생각 없이 인풋(Input)만 계속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머릿속으로 이해하고 대답할 내용에 대해 생각할 시간을 주세요. 아이는 엄마의 말을 듣고 적절한 반응을 하는 과정을 통해 표현력과 의사소통 스킬을 배우게 된답니다.

예를 들어, "밥이랑 빵 중 뭐 먹을래?" 라고 물은 뒤 바로 "우유도 먹을까? 어떤 컵에 먹을래?" 등 질문을 퍼붓거나 "그래도 밥이 좋지?" 라고 엄마가 답을 먼저 제시하는 등의 태도는 삼가는 게 좋습니다.

5. 어려운 단어 사용, 안돼요
아이의 어휘력을 높여주고자 일부러 어려운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죠. 아이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단어사용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는데요. 엄마가 말하는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소통이 어려워 말에 대한 흥미가 떨어질 수 있으니 만2세 아이의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단어를 사용해 주세요.
 

한세화 기자 kcjhsh99@ 

 

 

[실전육아 톡톡톡] 둘째를 낳고 비로소 알게되는 몇가지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130010011982

 

[실전육아 톡톡톡] 명절육아 스트레스, 이렇게 대처하자!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01010000100

 

[실전육아 톡톡톡] 격변의 시기 '원더윅스(Wonder weeks)'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12010003136

 

[실전육아 톡톡톡] 아기의 배앓이 영아산통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13010003640

 

[실전육아 톡톡톡] 아이의 정리정돈 습관, 중요한 3가지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14010004203

 

[실전육아 톡톡톡] 연년생 육아. 이렇게 하자!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18010005608

 

[실전육아 톡톡톡] 그것이 궁금하다! 아빠육아 신조어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20010006895

 

[실전육아 톡톡톡내 아이의 배변훈련, 현명한 방법은?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21010007344

 

[실전육아 톡톡톡우리아이 기질에 맞는 양육법 "늦어도 괜찮아"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22010007852

 

[실전육아 톡톡톡조선시대 육아일기 '양아록'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25010008774

 

[실전육아 톡톡톡아이의 깨무는 습관-1 "세심한 관심이 필요해요"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90226010009424

 

[실전육아 톡톡톡아이의 깨무는 습관-2 현명한 대처 방법은?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lcode=&series=&key=20190227010010025

 

[실전육아 톡톡톡아빠가 육아를 많이 할수록 좋은점 5가지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lcode=&series=&key=20190228010010684

 

[실전육아 톡톡톡] 아이의 언어발달 체크리스트, 18~24개월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lcode=&series=&key=20190304010001015

 

[실전육아 톡톡톡] 다 쓴 육아용품, 이렇게 처리하세요!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lcode=&series=&key=2019031401000579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학 교직원 사칭한 납품 주문 사기 발생… 국립한밭대, 유성서에 고발
  2. [문화 톡] 대전 진잠향교의 기로연(耆老宴) 행사를 찾아서
  3. 대전특수교육수련체험관 마을주민 환영 속 5일 개관… 성북동 방성분교 활용
  4. 단풍철 맞아 장태산휴양림 한 달간 교통대책 추진
  5. 대전 중구, 교육 현장과 소통 강화로 지역 교육 발전 모색
  1. "함께 땀 흘린 하루, 농촌에 희망을 심다"
  2. 대전도시공사,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표창’ 수상
  3. 공장·연구소·데이터센터 화재에 대전 핵심자산 '흔들'… 3년간 피해액 2178억원
  4. 대전 대덕구, 자살률 '뚜렷한 개선'
  5. 대전 서구, 간호직 공무원 역량 강화 교육으로 전문성 강화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