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잔치잔치 잔치국수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잔치잔치 잔치국수

  • 승인 2019-04-03 10:09
  • 신문게재 2019-04-04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잔치국수
대전 대사동에는 금요장터가 있다. 금요일마다 농협 주위에 장이 선다. 대전 근교에서 농사짓는 주민들이 채소, 과일 등을 가져와 판다. 직거래인 셈이다. '장돌뱅이'들도 온다. 금요일만 되면 그곳은 북적북적 5일장을 방불케 한다. 난 금요일이 휴무라 장도 보고 그곳에 단골 미용실이 있어 머리 할 때가 되면 들른다. 자그마한 미용실인데 주인이 소탈하고 솜씨도 좋아 손님이 끊이질 않는다. 고객은 주로 할머니들이다. 그래서 구수한 얘기들이 오간다. 춤바람 난 할머니의 연하 애인 얘기며 속썩이는 영감 욕에 웃고 한숨 짓는, 사람 사는 거는 다 똑같다. 종종 군것질 거리도 나온다. 한번은 영화감독 임순례를 꼭 닮은 아주머니가 동태전을 가져와 다 같이 나눠먹었다. 미용실 주인과 허물없이 지내는 모양이었다. 미용실 앞집인데 금요일 하루만 문 여는 식당 주인이라고 했다. 다른 날은 세차장을 한단다. 주 메뉴는 잔치국수이고 생선전, 김치전 등을 파는 집이었다.

지난 주 금요일, 장을 보고 내친 김에 잔치국수를 먹으러 그 식당으로 갔다. 간판이 그냥 '백반분식'이었다. 주방만 건물에 딸려 있고 세차장에 임시 천막을 치고 플라스틱 탁자와 간이 의자를 놓은 게 다였다. 아주머니는 잔치국수 만들고 딸은 부침개를 팔았다. 한참만에 잔치국수가 나왔는데 예사롭지 않았다. 고명이 푸짐했다. 계란 지단, 김치, 호박, 시금치, 김이 먹음직스럽게 국수 위에 얹어 있었다. 국물을 맛봤다. 진하고 깊은 맛이 났다. 삭힌 고추와 함께 후루룩 뚝딱 해치웠다. 여느 국수집에서 먹던 맛과는 달랐다. 시끌벅적한 장터에서 먹으니까 옛날 시골 장에 온 기분도 났다. 주인 아주머니는 눈코뜰새 없이 바빴다. 길가에 앉아 물건 파는 장꾼들한테 쟁반에 국수를 나르느라 정신이 없었다. 한가해진 틈을 타 육수 만들 때 뭘 넣느냐고 물었다. 무, 새우, 북어, 고추, 마늘, 생강, 멸치, 다시마를 넣는다고 했다. 다시마는 남해 바다 섬에 사는 아는 언니한테서 공수해 오는 것이란다. 이렇게 많은 재료를 써도 손해 안 보니까 파는 거겠지?

잔치국수는 뭐니뭐니해도 잔칫날 먹는 게 최고다. 어릴 적 동네 잔칫집에서 먹었던 국수 맛은 잊을 수 없다. 배가 고팠던 시절이고 추억이라 더 맛있게 기억할 수도 있겠지만 냉정하게 따져봐도 훌륭한 맛이었다. 그 시절 잔치는 동네 사람들이 배에 기름 좀 끼는 날이다. 돈깨나 있어 동네서 행세하는 집은 며칠에 걸쳐 잔치를 벌인다. 세를 과시하는 것이다. 동네 사람들도 잔칫집에 가서 팔을 걷어붙이고 돕는다. 그땐 내 일 네 일 구분 않고 큰 일이 있으면 협동하는 시대였다. 아낙들은 음식을 만들고 남정네들은 코가 삐뚤어지게 술을 마시고 흥청거린다. 그러다가 시비가 붙어 싸움판이 벌어지기도 한다. 하여간 맛있는 음식들이 방마다, 마당에 상다리 부러지게 차려지는 터라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배불리 먹는 날이다.

국수 육수는 큰 가마솥에 닭을 몇 마리 넣고 푹 끓인다. 거기다 다른 것도 넣었을 것이다. 가마솥 닭 육수는 물을 부어가며 하루종일 장작불로 끓인다. 손님이 계속 오니까 국수를 계속 끓여내야 한다. 푹 익은 닭은 살코기를 발라내고 뼈는 솥에 다시 들어간다. 그 닭 육수로 만든 국수가 정말 기가 막히다. 충청도식인지는 모르지만 잔치국수에는 떡국떡도 들어간다. 고명은 종이처럼 얇게 부친 계란 지단과 실처럼 가늘게 채 썬 홍고추가 전부다. 지금도 생생하다. 국물 맛이 집에서 키운 닭 육수라 구수하면서 담백한 그 맛! 달디 단 국물을 코를 훌쩍이며 그릇 째 들고 마셨던 유년의 잔칫날이 새삼 생각난다. 지금은 바쁜 세상이고 또 세월따라 사람 사는 방식이 변해가는 게 자연스럽다는 걸 안다. 때때로 옛 맛이 그리운 건 나이를 먹은 탓일까.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1. 충남대, 제2회 'CNU 혁신포럼’…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정책 대응 논의
  2. '수능약?' 전문의약품을 불안해소 오남용 여전…"호흡발작과 천식까지 부작용"
  3. [세상읽기] 변화의 계절, 대전형 라이즈의 내일을 상상하며
  4. "사업비 교부 늦어 과제 수행 지연…" 라이즈 수행 대학 예산불용 우려
  5. 한남대, 조원휘 대전시의장 초청 ‘공공리더십 특강’

헤드라인 뉴스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30일 LG 트윈스와의 한국시리즈(KS, 7판 4선승제) 4차전을 4-7로 패배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LG는 이날 경기 결과로 시리즈 전적을 3승으로 만들며 우승까지 한 걸음만을 남겼다. 한화는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LG를 맞아 4-7로 패배했다. 먼저 득점을 낸 건 한화다. 4회 말 무사 1, 2루 상황에서 타석에 오른 황영묵은 번트로 1사 2, 3루 기회를 만들었고, 다음 순서로 나선 하주석이 적시타를 쳐내며 선취점을 만들었다. 한화..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