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문화원-대흥동 행정복지센터 어색한 동거?

  • 문화
  • 문화 일반

중구문화원-대흥동 행정복지센터 어색한 동거?

중구문화원과 대흥동 주민센터 한 건물에 입주
5개 문화원 가운데 단독 원사 없는 곳으로 유일
문화원-주민센터 시너지 있지만, 기능적 역할 위축

  • 승인 2019-08-13 23:14
  • 신문게재 2019-08-14 5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12357205_1084784954887378_5562262968266867139_o
대전중구문화원과 대흥동행정복지센터가 수년째 '불편한 동거'를 계속하고 있는 가운데, 문화원 기능을 살릴 수 있는 행정적 조치가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다.

문화원과 행정복지센터가 한 건물의 층을 나눠 쓰다 보니 주차장은 만차에 방문객은 층수 혼선으로 왔던 길을 반복하기 일쑤다. 두 기관이 같은 건물에 있어 발생하는 시너지도 분명하지만,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했을 때 각 기관의 정체성도 확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대전중구문화원은 1953년 대전문화원으로 발족해 올해로 66년의 역사를 가진 대전을 대표하는 문화원이다. 지금이야 문화예술 교육과 지역 축제를 담당하는 것에 그치고 있지만, 한때는 대전지역의 모든 예술가들이 수시로 드나들던 '사랑방' 역할을 해왔다.

대전중구문화원이 현재 원사로 이전해 온 것은 2009년. 1963년과 1980년, 2009년 세 번의 이전과 증축·신축 끝에 대흥동에 보금자리를 잡았다.



이 과정에서 대전문화원은 1994년 사단법인이 폐지되고 법인 대전중구문화원으로 출발하는 변혁의 시기도 거쳤다.

대흥동 원사를 한때 중구문화원이 온전히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얼마 못가 2012년 대흥동 행정복지센터가 3층으로 이전 개소하면서 어색한 한 집 살림은 시작됐다.

현재 1~2층은 중구문화원과 공연장, 대흥동 행정복지센터는 3층, 4층은 종합문화복지관이 사용 중이다.

대전지역 예술인은 "중구문화원은 5개구 문화원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지역 예술가들은 늘 중구문화원으로 모였다. 문화원은 예술인들의 둥지였다"고 말했다.

이어 "문화원과 주민센터가 한 공간에 있다고 해서 그 상징성마저 사라졌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 볼 때 중구문화원만 유독 위축된 것은 아닌가 아쉬운 맘이 든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단독 원사를 사용하지 않은 문화원은 5개구 가운데 중구가 유일하다. 대덕문화원의 경우 2013년부터 평생학습원과 건물을 함께 썼으나 지난해 평생학습원이 이전하면서 단독 원사를 사용하고 있다.

동구는 2010년 자양동으로 이전해 온 지 9년 만에 가오동 이전을 앞두고 있다. 현재도 단독 원사지만 연면적이 좁아 연말이나 내년 초께 규모를 확장해 이사할 계획이다.

중구문화원 관계자는 "문화원과 주민센터를 찾는 1일 유동인구는 400~500명 정도가 된다"며 "두 기관이 건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차장 문제나 건물 공간 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부분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중구청 관계자는 "센트럴자이가 입주하면서 주민 편의를 위해 대흥동 행정복지센터가 문화원 3층에 자리잡게 됐다"며 "문화원만의 특화된 시설은 아니지만, 재정적 여건상 불가피한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화원과 주민센터가 한 건물에 있다고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교육과 문화가 한 커뮤니티 공간에서 이뤄지는 시너지 효과도 분명하게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3.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4. 인천 연수구, ‘집회 현수막’ 단속 시행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2. 대전교육청 교육위 행감서도 전국 유일 교권보호전담변호사 부재 지적
  3. 당진읍성광장, 주민 손으로 활짝 펴다!
  4. "행정수도 세종 완성, 당에서 도와달라"
  5.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도, 보령에 2조원 투입해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 건립

충남 보령에 도내 3번째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도는 2조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해당 센터를 통해 전력 절감, 일자리 창출 등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동일 보령시장, 김용호 웅천에이아이캠퍼스 대표와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웅천에이아이캠퍼스(이하 캠퍼스)는 보령 웅천산업단지 내 10만 3109㎡의 부지에 AI 특화 최첨단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캠퍼스 측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을 구성하고, 내년부터 2029년까지 2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데이터..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 성황리 마무리… '풋살 기량 뽐냈다'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11월 15~16일 이틀간 충남 청양공설운동장에는 선수들을 향한 환호와 응원으로 떠들썩했고, 전국에서 모인 풋살 동호인들은 신선한 가을 하늘 아래 그동안 갈고닦은 기량을 맘껏 뽐냈다. 중도일보와 청양군체육회가 공동으로 주최·주관하고, 청양군과 청양군의회가 후원한 이번 대회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를 비롯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전북 등 전국 각지에서 선수들과 가족, 지인, 연인 등 2500여 명이 참여해 대회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이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