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문화원-대흥동 행정복지센터 어색한 동거?

  • 문화
  • 문화 일반

중구문화원-대흥동 행정복지센터 어색한 동거?

중구문화원과 대흥동 주민센터 한 건물에 입주
5개 문화원 가운데 단독 원사 없는 곳으로 유일
문화원-주민센터 시너지 있지만, 기능적 역할 위축

  • 승인 2019-08-13 23:14
  • 신문게재 2019-08-14 5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12357205_1084784954887378_5562262968266867139_o
대전중구문화원과 대흥동행정복지센터가 수년째 '불편한 동거'를 계속하고 있는 가운데, 문화원 기능을 살릴 수 있는 행정적 조치가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다.

문화원과 행정복지센터가 한 건물의 층을 나눠 쓰다 보니 주차장은 만차에 방문객은 층수 혼선으로 왔던 길을 반복하기 일쑤다. 두 기관이 같은 건물에 있어 발생하는 시너지도 분명하지만,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했을 때 각 기관의 정체성도 확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대전중구문화원은 1953년 대전문화원으로 발족해 올해로 66년의 역사를 가진 대전을 대표하는 문화원이다. 지금이야 문화예술 교육과 지역 축제를 담당하는 것에 그치고 있지만, 한때는 대전지역의 모든 예술가들이 수시로 드나들던 '사랑방' 역할을 해왔다.

대전중구문화원이 현재 원사로 이전해 온 것은 2009년. 1963년과 1980년, 2009년 세 번의 이전과 증축·신축 끝에 대흥동에 보금자리를 잡았다.



이 과정에서 대전문화원은 1994년 사단법인이 폐지되고 법인 대전중구문화원으로 출발하는 변혁의 시기도 거쳤다.

대흥동 원사를 한때 중구문화원이 온전히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얼마 못가 2012년 대흥동 행정복지센터가 3층으로 이전 개소하면서 어색한 한 집 살림은 시작됐다.

현재 1~2층은 중구문화원과 공연장, 대흥동 행정복지센터는 3층, 4층은 종합문화복지관이 사용 중이다.

대전지역 예술인은 "중구문화원은 5개구 문화원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지역 예술가들은 늘 중구문화원으로 모였다. 문화원은 예술인들의 둥지였다"고 말했다.

이어 "문화원과 주민센터가 한 공간에 있다고 해서 그 상징성마저 사라졌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 볼 때 중구문화원만 유독 위축된 것은 아닌가 아쉬운 맘이 든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단독 원사를 사용하지 않은 문화원은 5개구 가운데 중구가 유일하다. 대덕문화원의 경우 2013년부터 평생학습원과 건물을 함께 썼으나 지난해 평생학습원이 이전하면서 단독 원사를 사용하고 있다.

동구는 2010년 자양동으로 이전해 온 지 9년 만에 가오동 이전을 앞두고 있다. 현재도 단독 원사지만 연면적이 좁아 연말이나 내년 초께 규모를 확장해 이사할 계획이다.

중구문화원 관계자는 "문화원과 주민센터를 찾는 1일 유동인구는 400~500명 정도가 된다"며 "두 기관이 건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차장 문제나 건물 공간 활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부분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중구청 관계자는 "센트럴자이가 입주하면서 주민 편의를 위해 대흥동 행정복지센터가 문화원 3층에 자리잡게 됐다"며 "문화원만의 특화된 시설은 아니지만, 재정적 여건상 불가피한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화원과 주민센터가 한 건물에 있다고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교육과 문화가 한 커뮤니티 공간에서 이뤄지는 시너지 효과도 분명하게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힘 VS 민주당' 2026 세종시 리턴매치, 총성 울린다
  2.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원인 밝혀지지 않았는데 증축 공사?… 행감서 질타
  3. 대전대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 12개 기업과 인재 양성 업무 협약
  4. 세종 '빛축제' 민간 주도 한계...공공 참여 가능할까?
  5. "100만 도시 만든다"… 충남도, 국가산단 조성·치의학연 유치 등 천안 발전 견인
  1. 한화그룹, 2025 한빛대상 시상식... 숨은 공로자 찾아 시상
  2. 충남 태안에 '해양치유센터' 문 연다
  3.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4. 우송정보대 만화웹툰과 손길에… 공원 철제 가림막 웹툰 벽화로 변신
  5. 목원대 올해 첫 성탄목 점등…학생과 주민에게 특별한 야경 선사

헤드라인 뉴스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1월 13일 전국에서 일제히 치러진다. '황금돼지띠' 고3 재학생이 많아 응시자가 대폭 늘어난 가운데 충청권 4개 시도에서만 5만 5281명이 시험을 본다. 전년도에 이어 올해도 수능 한파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12일 대전·세종·충남·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026학년도 수능 응시자는 총 5만 5281명이다. 각각 대전 1만 6131명, 세종 6005명, 충남 1만 9261명, 충북 1만 3890명이 시험을 신청했다. 이번 시험은 황금돼지띠인 2007년생이 고등학교 3학년인 해로, 전국 응시..

`임대아파트 사업권 대가` 뇌물 주고받은 대전 조합장·임대사업자 2명 덜미
'임대아파트 사업권 대가' 뇌물 주고받은 대전 조합장·임대사업자 2명 덜미

임대아파트 사업권을 대가로 뇌물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 대전지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장이 경찰에 붙잡혔다. 뇌물을 건넨 임대사업자도 함께 구속됐다. 전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최근 대전지역의 한 주택재개발조합에서 사업권 낙찰 편의 제공 대가로 금품을 수수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 등)로 조합장 A(70대)씨와 임대 사업체 대표 B(50대)씨 등 2명을 구속하고, 브로커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은 대전지역 주택 재개발 조합의 임대아파트 사업권 낙찰을 위해 뇌물을 수수하거나 알선한 혐의를 받고 있다. 임대사업자 A씨는..

검찰, 1년간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검찰, 1년간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대전지방검철청 홍성지청이 1년간 110명으로부터 94억 원을 편취한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 53명을 구속 기소했다. 검찰은 수사를 통해 범죄수익 4억 2000여만 원을 추가로 밝히는 동시에 보이스피싱 총책의 신원을 확인, 해외 공조 수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홍성지청은 12일 오전 청내 대회의실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캄보디아·태국 등 동남아 지역에 거점을 둔 기업형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을 구속 기소, 범죄수익 박탈을 위해 피고인들 전원의 금융계좌·가상자산 계정 등에 대한 추징보전을 청구했다. 특경(사기), 범죄수익은닉규제법위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

  • ‘나눌수록 맛있다’…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나눌수록 맛있다’…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