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순대국밥보다 우정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순대국밥보다 우정

  • 승인 2019-11-06 13:37
  • 신문게재 2019-11-07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순대
하루는 밤 11시가 넘어서 친구한테 전화가 왔다. 순대국밥 먹으러 가자는 거였다. 이 시각에 웬 순대국밥인가 하면서 따라 나섰다. 문창동 대전천변에 있는 식당인데 상호가 '농민식당'이었다. 멀리 금강이 바라다 보이는 시골 깡촌의 농민의 딸이었던 나는 식당 이름이 일단 맘에 들었다. 푹푹 찌는 한여름이었는데 식당 밖 테이블에선 거나하게 취한 남자들이 순대국밥 국물을 떠먹으며 소주잔을 부딪쳤다. 식당 안에 들어서자 진한 동물성 냄새가 진동했다. 돼지 창자 특유의 독한 누린내 때문에 나도 모르게 손으로 코를 쥐었다. 식당은 테이블이 서너 개 밖에 안될 정도로 협소했다. 커다란 가마솥에서 펄펄 끓는 사골 국물은 언제 폭발할 지 모르는 활화산 같았다. 투가리며 수저, 젓가락, 테이블 등 손에 닿는 모든 것들이 돼지 기름으로 미끌거렸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걸음아 날 살려라하고 도망갈 것 같은 위생 수준이었다.

그날 먹은 순대국밥에 매혹당한 나는 밤만 되면 파블로프의 개처럼 침을 질질 흘렸다. 그 강력한 맛을 못 잊어 난 친구를 졸라 하이에나처럼 밤 거리를 더듬거리며 농민식당을 찾아갔다. 어디에서도 먹어보지 못한 순대국밥이었다. 노란 기름이 엉겨 붙은 진한 국물은 아지노모도처럼 마법을 부린 것 같았다. 우리는 일주일에 한번씩 드나들다 어느날 발길을 딱 끊었다. 너무 자주 먹어 질려버린 것이다. 그러다가 몇 년 전 그 식당이 없어졌다는 얘길 듣고 상심이 컸는데 지난해 부사동으로 이전했다고 해서 가봤다. 상호만 그대로일 뿐, 으리쌈쌈한 건물에 입술에 아교처럼 들러붙었던 진한 그 맛은 없었다.

지난 토요일에 대학 동기 4명이 1년 만에 뭉쳤다. 이번엔 천안 사는 친구가 병천 순대 먹고 독립기념관 단풍 구경 가자며 우리를 태우고 병천으로 달렸다. 친구는 TV에 나온 곳이라며 특별히 맛있다는 식당으로 끌고 갔다. 과연 식당 밖에선 대기하는 손님들이 100m 조금 안되게 늘어서 있었다. 그 사람들은 하나같이 빨리 먹고 싶어 초조해하는 표정이 역력했다. TV에서 보고 온 모양이었다. 한참을 기다린 끝에 마침내 입성, 식당 안은 벌집을 쑤셔놓은 것처럼 손님들로 바글바글했다. 모둠순대 하나에 국밥을 시켰다. 우리는 옆 테이블 사람들과 많이 먹기 내기라도 하듯 전의를 불태우며 순댓국에 밥을 말았다. 그런데 순대국밥이 이 맛도 저 맛도 아니었다. 역시 소문난 잔치 먹을 거 없다더니, 그 말이 맞았다. 소개한 친구의 성의를 봐서 다른 친구들도 열심히 수저질을 하는데 양이 줄지 않았다. 천안 친구가 머쓱해하는 걸 본 나는 모둠순대를 먹으며 위로 차 한마디 던졌다. "이 순대 맛있다 잉."

병천 순대의 지존은 아닌 것 같은 순대를 먹었지만 우리는 열여덟 여고생들처럼 마냥 즐거웠다. 독립기념관 단풍 길을 걸으며 휴대폰으로 사진을 찍으며 까르르 까르르 얼굴이 빨개지도록 웃으며 야단법석을 피웠다. 난 얼굴이 커서 뒤에 서겠다, 너 눈 감아서 다시 찍어야 한다, 다리 길게 나오게 찍어라…. 나이만 먹었지 하는 짓이 영락없이 철부지 소녀들이었다. 한 친구의 결혼은 우리 사이에서 두고두고 회자되는 얘깃거리다. 만난 지 석달 만에 손도 안 잡아 보고 결혼하고 서툴렀던 신혼 첫날 밤 에피소드를 아는 우리는 친구를 천연기념물 같은 존재라며 골려대곤 했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그 얘기로 손뼉을 치며 배꼽을 잡았다. 친구는 볼 빨간 얼굴로 "내가 어떻게 아이를 둘씩이나 낳았는지 모르겠다"며 너스레를 떨었다. 묵은 장맛이라고, 서로 가릴 게 없이 무장 해제되는 30년이 훌쩍 넘은 친구 사이이기에 가능했다. 문득 오랫동안 소식이 없는 친구가 생각난다. 심야의 농민식당에서 우정을 나누며 순대국밥을 먹었던 친구는 잘 지내고 있을까.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1. 충남대, 제2회 'CNU 혁신포럼’…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정책 대응 논의
  2. '수능약?' 전문의약품을 불안해소 오남용 여전…"호흡발작과 천식까지 부작용"
  3. [세상읽기] 변화의 계절, 대전형 라이즈의 내일을 상상하며
  4. "사업비 교부 늦어 과제 수행 지연…" 라이즈 수행 대학 예산불용 우려
  5. 한남대, 조원휘 대전시의장 초청 ‘공공리더십 특강’

헤드라인 뉴스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30일 LG 트윈스와의 한국시리즈(KS, 7판 4선승제) 4차전을 4-7로 패배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LG는 이날 경기 결과로 시리즈 전적을 3승으로 만들며 우승까지 한 걸음만을 남겼다. 한화는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LG를 맞아 4-7로 패배했다. 먼저 득점을 낸 건 한화다. 4회 말 무사 1, 2루 상황에서 타석에 오른 황영묵은 번트로 1사 2, 3루 기회를 만들었고, 다음 순서로 나선 하주석이 적시타를 쳐내며 선취점을 만들었다. 한화..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