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김치전만한 게 있을라고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김치전만한 게 있을라고

  • 승인 2020-01-08 10:14
  • 신문게재 2020-01-09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김치전
해가 바뀐 탓일까. 가벼운 마음으로 새해를 시작하고 싶었다. 집안을 둘러보았다. 잡다한 물건들이 머릿속을 어지럽혔다. 소매를 걷어붙이고 안방으로 갔다. 책장에 쌓인 것들을 방바닥에 내려놓았다. 10년도 더 된 영화잡지들과 여행지에서 갖고 온 관광안내 책자들이었다. 여태까지 그것들을 한번도 꺼내 보지 않았다. 책꽂이에 꽂힌 서류철엔 20대의 추억이 오롯이 담겨 있다. 영화 포스터들과 시를 베껴 놓은 편지지가 누렇게 바랬다. 그때 코폴라 감독의 '드라큘라'를 서너번 봤나? 자막을 거의 외울 정도였으니까 말이다. 허걱! 일기장도 있네. 하던 걸 멈추고 주저앉아서 읽었다. 웃음이 피식 나왔다. 허구한 날 사랑타령이었다. 마음이 변했나, 오늘 왜 전화를 안 받을까, 실연의 상처로 징징거리던 내 모습이 눈에 선했다. 사랑이 인생의 전부였던 청춘이었다.

친구와 주고받은 편지도 한 박스나 됐다. 대학 때 노래를 녹음한 테이프들도 있었다. 그 중 하나를 카세트에 넣고 틀었다. 변진섭의 '홀로 된다는 것', 마리안느 페이스풀의 '디스 리틀 버드'가 추억을 소환했다. 일기장, 편지, 테이프만 남겨놓고 나머진 쓰레기봉투에 버렸다. 단순한 삶을 모토로 삼는 내가 불필요한 물건들을 이고 지며 살고 있다. 며칠 전엔 가죽 장갑을 꿰맸다. 오른쪽은 멀쩡한데 왼손잡이여서 왼쪽 엄지와 검지에 구멍이 뚫린 것이다. 정이 들었는지 20년 낀 장갑을 선뜻 버릴 수 없었다. 난 겨울이면 밤마다 바느질 하는 여자가 된다. 발가락에 가시가 돋쳤는지 양말이 금방 '빵구' 난다. 버리면 채워진다고, 다 버릴 거라고 호언장담하면서 너널너덜한 장갑, 양말 하나 버리지 못하는 마음은 뭘까.

맙소사! 벌써 3시가 넘었다. 하던 일이 끝나지 않은 터라 빨리 해먹을 수 있는 걸 생각했다. 김치전이 제격이었다. 사곰사곰한 배추김치를 떠올리자 입안에 침이 고였다. 스테인리스 볼에 가위로 김치를 싹둑싹둑 썰어 넣었다. 거기에 부침가루와 우리밀 통밀 가루를 반반 부었다. 주먹만한 양파를 굵게 채 썰고 마지막으로 청양 고추도 쫑쫑. 물을 부어 되직하게 갠 다음 불에 달군 프라이팬에 기름을 넉넉하게 두르고 국자로 듬뿍 떠 넣어 펼쳤다. 지글지글. 전 가장자리가 노릇해지기 시작했다. 표면이 어느 정도 익어갈 즈음 뒤집었다. 뱃속에선 어서 달라고 난리부르스다. 프라이팬을 들고 식탁에 앉았다. 전은 프라이팬 째 놓고 뜨거울 때 후후 불며 먹어야 제 맛이다. 또 하나, 설거지거리도 줄일 수 있으니 핑계가 얼마나 훌륭한가. 젓가락으로 전을 찢어 입에 넣었다. 시큼하고 바삭한 김치전이 혀에 착착 감겼다. 으음 으음. 맛있는 걸 먹으면 콧구멍이 벌름거려지며 콧소리가 절로 나온다. 이런 때 애주가들은 소주 한 잔이 생각나겠지만 난 연잎차로 대신했다.

어릴 적 우리집은 김치 하나로 한겨울을 났다. 궁핍에 몸서리치던 시절이었다. 먹어도 먹어도 배가 고팠으나 김칫국은 신물이 났다. 콩나물을 키울 땐 어쩌다 콩나물이 들어간 게 전부였다. 어린 나는 밥상머리에서 안 먹겠다고 투정부리기 일쑤였다. 엄마라고 해서 고깃국으로 자식들 배부르게 먹이고 싶은 마음 굴뚝같겠지만 한둘도 아닌 자식들 키우는 게 어디 녹록한가. 김칫국, 김치죽, 김치수제비. 김치수제비도 많이 먹었다. 혹한의 절정으로 지붕 처마에 한 자나 되는 고드름이 매달리면 우리는 수제비를 해먹었다. 엄마는 김치를 넣은 뻘건 국물이 펄펄 끓는 솥에 질게 반죽한 밀가루 죽을 손바닥에 펴서 수저 손잡이로 뚝뚝 떼어 넣었다. 얼큰하고 따끈한 수제비. 그토록 질색하던 김치를 이젠 제일 좋아한다. 냉장고 문을 열고 김치통을 볼 때마다 그렇게 흐뭇할 수가 없다. 아, 그날 김치전은 두 장 부쳐 먹었다. 후식은 홍시 두 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1. 충남대, 제2회 'CNU 혁신포럼’…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정책 대응 논의
  2. '수능약?' 전문의약품을 불안해소 오남용 여전…"호흡발작과 천식까지 부작용"
  3. [세상읽기] 변화의 계절, 대전형 라이즈의 내일을 상상하며
  4. "사업비 교부 늦어 과제 수행 지연…" 라이즈 수행 대학 예산불용 우려
  5. 한남대, 조원휘 대전시의장 초청 ‘공공리더십 특강’

헤드라인 뉴스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30일 LG 트윈스와의 한국시리즈(KS, 7판 4선승제) 4차전을 4-7로 패배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LG는 이날 경기 결과로 시리즈 전적을 3승으로 만들며 우승까지 한 걸음만을 남겼다. 한화는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LG를 맞아 4-7로 패배했다. 먼저 득점을 낸 건 한화다. 4회 말 무사 1, 2루 상황에서 타석에 오른 황영묵은 번트로 1사 2, 3루 기회를 만들었고, 다음 순서로 나선 하주석이 적시타를 쳐내며 선취점을 만들었다. 한화..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