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광장] 코로나가 일깨워준 자전거의 가치

  • 오피니언
  • 목요광장

[목요광장] 코로나가 일깨워준 자전거의 가치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재영

  • 승인 2020-05-13 10:38
  • 수정 2020-05-18 19:59
  • 신문게재 2020-05-14 18면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이재영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재영
희망은 때로 역경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일까? 코로나19로 암울한 뉴스가 사방천지 시공간을 도배했고 개인들은 일상을 저당 잡힌 신세가 됐다. 그런데, 이런 와중에 우리는 하나의 가능성을 경험했다. 다름 아닌 '작고 창백한 푸른 점' 지구가 살아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푸른 하늘, 맑은 공기가 어느 날 가까이에 와 있었던 것이다. 코로나의 역설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전 세계 주요 도시들의 미세먼지 농도가 전년 대비 40~60% 감소했다고 한다. 자동차 매연과 교통혼잡으로 유명한 로스앤젤레스에도 푸른 하늘이 SNS의 얘깃거리가 되고 있다. 봄이면 우리를 괴롭히던 미세먼지도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코로나로 사람들이 이동을 줄이고 통행방식을 바꾼 탓이다.



전 세계적으로 자전거를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영국, 우리나라나 할 것 없이 요즘 자전거는 없어서 못 파는 물건이 되었다. 대전시도 마찬가지다. 공공자전거 타슈 이용자가 많이 늘어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를 했던 3월과 4월을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가 증가했다. 그동안 자전거 이용률이 낮은 이유가 자전거도로의 부재만은 아니었다. 실상 지자체와 개인의 관심 부재가 문제의 중심에 있었던 것이다.

코로나는 '자동차이용을 줄이고 자전거를 이용하면 맑은 공기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 것인데, 이것이 바로 지속 가능한 교통정책의 핵심이다.



앞으로, 코로나19가 어떻게 전개될지 종잡기 어렵다. 그러나, 결국은 종식되리라 본다. 그렇다면, 코로나 이후에도 이전과 똑같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을까? 잠시 '멈춤'으로 맑은 공기를 경험한 이상 그 가능성을 지켜낼 필요가 있다.

이참에 지자체는 대안 교통수단으로 자전거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시민들은 한 번쯤 이용해보면 좋겠다. 일상을 유지하고 동시에 맑은 공기를 지켜낼 수 있는 교통수단 중 가장 현실적이고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이니 말이다.

새삼스럽기는 하지만 수치를 꺼내서 자전거의 친환경성, 정책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자. 우선, 자전거는 에너지를 매우 적게 필요로 한다. 자전거를 타는데 필요한 열량은 ㎞당 22㎉이면 된다. 동일한 거리를 승용자동차는 1,163㎉를 소모한다. 자전거의 53배다. 열량은 우리가 음식을 먹거나 연료를 소비해야 나오는 것이니 결국 유한한 자원을 축내는 것이고, 어딘가에 오염 발자국을 남기는 일이다. 승용차는 그야말로 엄청나게 먹는 (적어도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인 물건이다.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에서도 엄청난 차이가 난다. 자동차는 ㎞당 271g을 내뿜지만, 자전거는 21g을 발생시킨다. 도시공간은 또 어떤가? 자전거 1대를 주차하는 데는 자동차의 1/20의 면적이면 충분하다. 주차장 1면의 조성비용이 약 7000만 원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그야말로 돈 먹는 하마, 재정을 축내는 물건이 자동차인 것이다.

이쯤 되면, 자전거는 '지구를 살리는 기특한 발명품'이 아닐 수 없다. 그저 그런 자전거가 아니다. 자동차운전에 방해가 된다고 불평할 자전거가 아니란 말이다.

여러 가지 사정으로 자동차를 운전하는 분들은 이제부터라도 자전거를 존중해 주기 바란다. 나(승용차)보다 에너지를 훨씬 적게 쓰면서 같은 일을 해내고, 도시재정에도 이바지하며, 공기도 맑게 지켜주고 있다. 자전거 덕분에_내가 자동차를 사용해도_ 도시의 자원, 공기, 공간이 유지되고 있으니 고마운 이웃이다. 그러니, 자전거가 지나가면 위협하지 말고 멈춰주고, 기다려주는 것이 최소한의 도리일 것이다. 적어도 자동차보다는 공동체에 보탬이 되는 사람이니 말이다.

자전거가 교통정책대안이 될 수 있음은 코로나가 증명해 주었다. 이제 자전거를 정책대안으로 선택하고, 시행하는 실천만 남은 것이다. 다만, 이전처럼은 안된다. 말로 하는 자전거정책은 그동안 충분히 해 왔다. 정책의지가 있다면 예산으로 보여주어야 한다. 전체 대전시 교통예산 중 2% 자전거예산으로는 그 의지를 믿어주지도 효과가 나타나기도 어렵다.

코로나가 전에 없이 우리를 힘들게 하지만 친환경 교통정책으로 전환하는 발화점이 되기를 바란다.
대전세종연구원 이재영 선임연구위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1.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2. 세종시 어린이들의 '가족 사랑' 그림...최종 수상자는
  3. 초록우산 박미애 본부장, '시낭송 상금' 100만 원 기부 귀감
  4. 한남대, 2025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5. 건보공단, 미혼 한부모가정 위한 따뜻한 지원 눈길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