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내가 운동하는 진짜 이유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내가 운동하는 진짜 이유

  • 승인 2020-07-22 10:41
  • 수정 2020-07-22 11:13
  • 신문게재 2020-07-23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250601232
게티이미지 제공
먹는 걸 무지하게 밝히는 나는 어릴 적 전쟁 나면 하꼬방으로 달려가겠다고 맘먹곤 했다. 마을 어귀에 있는 하꼬방은 친구 할머니가 하는 거였는데 조악하기 이를 데 없었다. 선반엔 과자, 캐러멜, 눈깔사탕 몇 봉지가 먼지를 뒤집어 쓴 채 놓여 있었다. 친구 할머니는 막걸리도 팔았다. 해질 무렵엔 으레 동네 술주정뱅이 아저씨 몇 명이 둘러 앉아 막걸리 잔을 부딪쳤다. 나와 친구들은 들고양이처럼 들판을 쏘다니며 놀다 배고프면 하꼬방으로 갔다. 우리는 목을 빼고 유리창 너머 캐러멜과 눈깔사탕을 하염없이 바라보며 군침을 흘렸다. 그러면 친구 할머니는 파리 쫓듯 팔을 휘저으며 우리를 몰아냈다. '전쟁만 나면….'

어른이 돼도 식탐은 여전했다. 나의 관심은 늘 위장에 집중되어 있다. 뭘 먹을까, 뭐 맛있는 거 없나? 9년 전쯤이다. 당시 안희정 충남지사가 여기자들을 대흥동 도지사 관사에 초대했다. 지금은 슬기로운 감빵생활에 충실하고 있지만 그때 안희정은 '연예인 오빠'였다. 대권을 바라보는 차밍한 정치인이었으니까 말이다. 5월의 어느 날 도지사 관사는 여기자들로 성황을 이뤘다. 나는 아름드리 나무가 무성한 고색창연한 도지사 관사가 더 궁금했다. 점심은 눈부신 햇살 아래 야외 뷔페로 차려져 있었다. 와우! 여기자들은 잘생기고 말빨 좋은 도지사에게 넋이 빠져 아이 컨택 하기 바빴다. 나는 진한 버섯 수프와 온갖 샐러드, 부드럽고 고소한 빵에 홀딱 반해 접시 나르기에 여념이 없었다. 그런데 네 접시밖에 못 먹었다. 옷을 딱 붙게 입어 부른 배를 감출 수 없었기 때문이다.

퇴근하면 집 옆 공원에서 운동한다. 100m를 15초에 달리는 날쌘돌이에 비하면 어림없지만 한 시간 정도 빠르게 걷는다. 요즘 같은 저녁에는 동네 사람과 개들이 다 모여든다. 평상에 앉아 부채 부치며 두런두런 얘기꽃을 피우는 할머니들, 친구들과 반갑게 인사하며 냄새 맡는 귀여운 강아지들, 운동기구와 씨름하는 중·노년의 남녀들. 재미난 건 젊으나 늙으나 살 얘기가 빠지지 않는다는 거다. "아이구, 난 4키로나 쪘어. 언제 뺀댜.", "난 어제 저녁 삼겹살 먹고 잤더니 2키로가 늘었지 뭐야."

예전엔 후덕한 몸집이 미덕이었다. 못 먹던 시절 얘기다. 지금은 노인들도 몸에 관심이 많다. 매일 사우나에 들락거리면서 체중계에 올라 눈금을 확인하는 이유가 달리 있겠는가. 열나게 땀 빼고 갈증난다며 달디 단 박카스 하나씩 쭈욱 들이켜며 살과의 전쟁을 벌이는 여인들의 노력이 눈물겨울 정도다. 나의 노년은 어떤 모습일까. 언젠가 청바지에 검은색 터틀넥을 입은 배우 윤여정을 보며 나도 저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나이 일흔에 청바지라니, 시크하고 멋졌다. 영화 '돈의 맛' 베드신에서 보인 배는 어떻고. 맙소사! 뱃살이 하나도 없으면서 팽팽했다. 60 중반에 어떻게 저럴 수 있는지 충격적이었다.



사실 나이 들면서 뱃살이 꿀렁거리는 배둘레햄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허릿살이 비어져 나오고 배가 두둑해지는 몸의 형태는 자연의 섭리란 말씀이다. 그렇지만 이런 몸을 원하지 않는 것도 인지상정이다. 고백하건대, 내가 운동하는 진짜 이유는 밥을 많이, 맛있게 먹기 위해서다. 가쁜 숨을 몰아쉬며 계룡산 정상에 올라 계란말이에 오이소박이로 도시락 먹는 그 맛을 뭣에 비할까. 땀띠나게 걸은 후 우유에 바나나 두세개 넣어 갈아마시고 참치김치찌개 끓여 밥 한 공기 뚝딱. 그리고 수박 한 대접. 이놈의 식욕은 줄어들 줄 모른다. 마르타 힐러스는 『함락된 도시의 여자』에서 "모든 생각, 느낌, 소망, 기대가 먹는 데서 시작된다"고 했다. 엊그제 지인이 부산어묵을 택배로 보냈다. 한 여름의 저녁, 매콤한 청양고추를 넣고 어묵국 한 냄비 끓여 밥과 함께 먹었다. 배둘레햄? 올테면 오라지.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1. 충남대, 제2회 'CNU 혁신포럼’…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정책 대응 논의
  2. '수능약?' 전문의약품을 불안해소 오남용 여전…"호흡발작과 천식까지 부작용"
  3. [세상읽기] 변화의 계절, 대전형 라이즈의 내일을 상상하며
  4. "사업비 교부 늦어 과제 수행 지연…" 라이즈 수행 대학 예산불용 우려
  5. 한남대, 조원휘 대전시의장 초청 ‘공공리더십 특강’

헤드라인 뉴스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30일 LG 트윈스와의 한국시리즈(KS, 7판 4선승제) 4차전을 4-7로 패배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LG는 이날 경기 결과로 시리즈 전적을 3승으로 만들며 우승까지 한 걸음만을 남겼다. 한화는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LG를 맞아 4-7로 패배했다. 먼저 득점을 낸 건 한화다. 4회 말 무사 1, 2루 상황에서 타석에 오른 황영묵은 번트로 1사 2, 3루 기회를 만들었고, 다음 순서로 나선 하주석이 적시타를 쳐내며 선취점을 만들었다. 한화..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