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가 중소기업벤처부의 세종시 이전 관련 공청회를 12월 개최할 예정인 가운데 대전시가 5개 자치구가 강력하게 대처하기로 했다.
대전시와 5개 자치구는 29일 '시장-구청장 긴급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허태정 대전시장 주재로 5개 자치구 구청장이 참여한 이날 간담회에서는 '중기부 세종 이전 추진에 따른 대응방안'과 '코로나19 전국 확산에 따른 거리두기 격상 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특히 지난 10월 16일 중기부가 행정안전부에 세종시 이전 의향서를 제출한 이후 관련 행정절차에 따라 오는 12월 공청회 개최가 예상되면서 이날 회의에서 대응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논의 결과 대전시와 자치구는 30일 세종시 행정안전부 청사 앞에서 허태정 대전시장과 5개 자치구청장, 박영순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박영순 위원장을 비롯한 지역 국회의원,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가운데 공동 입장문을 발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더불어민주당대전시당과 시민단체 주관으로 이날부터 진행되는 천막시위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중기부 세종 이전은 현 정부의 균형발전 국정 철학에도 반하는 시도"라며, "행정은 물론 정치권, 시민단체를 포함한 150만 대전시민과 함께 총력 저지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허 시장은 지난 25일 정세균 국무총리와 면담을 통해 정부의 중기부 세종 이전 행정절차 진행 의사를 확인했다. 다음날 열린 간담회에서 허 시장은 정 총리가 중기부 이전에 대해 다른 중앙부처와 함께 모여 일하는 것이 업무효율성을 높이는 순리라는 시각을 내비쳤다고 전했다. 이에 허 시장은 "시민의 뜻을 따라야 하는 입장"이라며 중기부의 세종 이전 반대 의사를 재차 전달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해서도 정부 계획에 따라 1.5단계로 격상하고 겨울철 지역 내 코로나 재확산 방지에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기로 했다.
한편, 대전시는 지방분권 강화에 힘쓰고 있다. 지방분권으로 지역별로 보유하고 있는 각각의 특색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지역경쟁력과 차별성 확보, 그리고 지역간 연계협력을 통해 지역발전의 동력을 만들어 냄으로써, 청년들에게 일자리와 주택 등 지역에서 정착하여 살아갈 수 있는 기본적인 삶의 질과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면 국가균형발전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실질적 지방분권을 위해 정부는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풀뿌리 민주주의는 국민 개개인에게 골고루 영향을 미치는 대중적인 민주주의를 의미한다. 1935년 미국 공화당의 전당대회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말로 의회제에 의한 간접민주주의에 반대하는 시민운동·주민운동 등을 통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참여민주주의가 해당된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