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도가 도민의 안전을 위한 '스마트시티 광역 통합플랫폼 기반구축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해당 시스템은 방범·방재, 교통, 환경 등 각종 정보시스템을 연계해 신속한 응급상황 대처와 효율적 도시 관리를 위한 스마트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도는 13일 도청에서 15개 시·군 등 19개 유관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 스마트시티 광역 통합플랫폼 구축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도는 해당 사업을 오는 5월까지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도는 이를 통해 스마트도시 안전망서비스 6개와 충남도 특화 스마트서비스 11개 제공을 통해 도내 교통사고와 범죄, 화재 발생 등이 획기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지자체 간 행정단위를 넘어서는 범죄 경로와 산불, 구제역 전파 등 도시문제 발생 시 지자체간 상황 공유가 불가능했다. 기초지자체별 통합플랫폼 개별 구축으로 공간·비용적 중복투자 비용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번 통합플랫폼 구축에 따라 광역 중심의 정보공유 및 활용, 인프라 공유로 도입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또 도내 CCTV 2만 1145대 통합연계로 4229억원의 안전자산 취득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5대 범죄 감소 및 재난·응급상황 신속 대처를 통해 도민의 안전 체감도 상승이 기대된다.
구체적 제공 서비스는 112센터 긴급영상·출동, 수배 차량 검색, 119 긴급출동, 재난 상황 긴급대응 등 6대 스마트도시 안전망서비스로, 도민 안전도를 높인다. 이와 함께 공간정보 통합플랫폼과 노선버스 운행관리 시스템, 드론 영상 실시간 중계 서비스 제공, 도민 안심귀가 서비스 등 11개 특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박연진 도 건설교통국장은 "이 시스템 구축을 통해 교통정보와 화재 영상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는 등 재난 상황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며 "골든타임 확보는 물론 노선버스 운행관리 시스템과 같은 생활밀착형 서비스가 확대될 것"이라며 "안전하고 살기 좋은 충남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충남도 건설교통국은 건설정책부터 교통정책, 토지관리까지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5개과로 구성됐다. 주요 업무는 건설기술용역업 등록관리·행정처분, 지역개발계획(발전촉진형, 거점육성형)에 관한 사항, 지역개발사업 사업구역 지정 및 실시계획 승인, 지역개발조정위원회 구성·운영에 관한 사항, 투자선도지구 및 지역수요 맞춤지원 사업 추진,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발전종합계획 수립 추진, 군사시설보호구역 관련 사항 등이 있다.
내포=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