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1년] 보통의 나날, 우리에게 돌아올까요

  • 정치/행정
  • 대전

[코로나19 사태 1년] 보통의 나날, 우리에게 돌아올까요

  • 승인 2021-01-19 16:35
  • 신문게재 2021-01-20 1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2021010701000593300024061
1월 19일 기준 국내 확진자 7만3115명, 검사 중 15만4345명, 격리해제 5만9468명, 사망자 1283명.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세계를 삼켰다. 79억 인류의 삶을 지배한 21세기 최악의 바이러스는 평생 우리와 공존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현실로, 불안은 공포가 됐다.

마스크 대란과 종교발 집단감염, 긴급재난지원금,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 백신 확보까지 계절은 속절없이 흘렀다. 보통의 나날을 그리워하며 우리는 코로나19 사태 1년을 맞았다. 코로나 이전의 삶은 없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조언 속에서 코로나19가 남긴 흔적, 그리고 현장의 목소리를 살펴봤다. <편집자 주>



2020년 1월 20일 코로나19 국내 첫 번째 감염자가 발생했던 날, 우리는 잠시 앓고 지나가는 감기처럼 대수롭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마스크를 사기 위해 줄을 섰습니다. 회사가 아닌 집에서 일했고, 학교 가던 설렘은 모니터에 떠오른 친구 얼굴로 대신해야 했죠.

낯선 삶은 이제부터 시작이었습니다. 버스와 지하철, 기차에도 사람이 사라졌습니다. 북적이던 맛집도 텅 비었죠. 식당 주인 내외의 미소가 사라진 것도 이때쯤이었나요. 대신 저녁밥, 생필품을 실은 오토바이들이 세상을 활보합니다.



고맙다는 말도 문자로, 안부 인사는 영상통화로 대신합니다. 비행기를 타고 가던 휴가는 꿈 같습니다. 큰 마음 먹고 예매했던 콘서트나 전시도 영상으로 돌려보는 게 유일한 낙이 됐네요. 달력마다 꼭 있던 누군가의 결혼식도 갈 수 없어 무거운 마음이 커져만 갑니다.

2020062201001885200074911
이제 한숨 돌릴 수 있을까 희망을 품으면 보란 듯 그래프가 요동칩니다. 하루종일 울려대는 재난문자 속보도 이젠 면역력이 생겼는지 놀라지도 않습니다. 대면의 거리는 더욱 멀어졌습니다. 명절에도 그리운 가족은 볼 수 없었습니다. 5명은 의도적인 사적 모임이라고 만나지 말라고 합니다. 기약할 수 없는 약속만 수북이 쌓였는데 연말도 지나갔네요. 밤 9시면 모두 문을 닫고 집으로 갑니다. 스트레스를 풀어주던 수영도 요가도 끊은 지 오래네요.

코로나 1년, 우리는 하루하루 달라지는 방역 수준에 놀랍니다. 발열 체크는 아날로그 체온계에서 자동인식 시스템으로 교체했습니다. 차를 타고 커피를 사듯 선별진료소로 들어서면 내릴 필요 없어요. 잠깐의 고통을 참으면 24시간 안에 검사 여부가 문자로 전송됩니다.

자가 격리자에게 관할 구청은 비상식량도 지원합니다. 코로나가 잠시 소강상태였던 여름 기억하시나요? 나라에서 온국민에게 용돈을 줬습니다. 소고기도 사 먹고, 학원비도 내며 알뜰하게 잘 썼죠. 국민이 잠시나마 함께 웃었던 시절이었습니다.

코로나 사태 1년, 비극은 현재 진행형입니다. 1년의 시간동안 일부의 이기심이 모두를 사지로 몰아넣을 수 있다는 공포를 경험했습니다. 나 하나 조심한다고 괜찮아질 일이 아님을 이젠 알았습니다.

2020063001002477700102321
방호복을 입고 24시간 죽음과 맞서 싸우는 의료진들의 투혼을 봤습니다. 그들의 땀에 배인 것은 극한의 경계에서 발휘된 희생임을 압니다. 주말이면 조용히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당신의 평범한 수고스러움도 이웃을 생각하는 이타심이라는 것을 이젠 확신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기대하는 보통의 나날, 어쩌면 오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지금처럼 마스크에 가린 눈웃음으로 서로를 본다는 건 애석한 일입니다. 5600만 명분의 백신이 곧 온다고 합니다. 백신에 대한 불신 또한 시간이 지나면 가라앉을까요. 집단감염이 아니라 집단면역이 생겼다는 속보를 하루빨리 보고 싶은 1월입니다.

마스크를 써주세요. 잠시만 거리를 두세요. 일탈도 믿음도 잠시만 내려놓으세요. 그래야만 옵니다. 당신과 우리가 꿈꾸는 보통의 나날.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항우연 노조, 이상철 원장 사퇴 촉구 "무능과 불성실"… 항우연 입장은?
  2. 경부고속도 '상서 하이패스IC' 10월 내 개통된다
  3.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4.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스무 살에 금융기관 취업한 비결은?
  5. 5개월 앞둔 통합돌봄, 새틀짜기 논의 활발 "기관 협의체 만들고 직역 협력모델을"
  1. 명실상부 중부권 최대 캠핑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 활짝
  2. [홍석환의 3분 경영] 올바른 질문이 먼저
  3.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4. [기고]안전한 대전시민의 밥상을 위해
  5. 꿈씨패밀리 공동브랜딩 전통주 '100일의 꿈' 출시

헤드라인 뉴스


둔산여고 조리원 파업 재개… 수능 한달앞 학생 피해 불가피

둔산여고 조리원 파업 재개… 수능 한달앞 학생 피해 불가피

1학기 준법투쟁 시작 후 석식(저녁)이 중단된 대전둔산여고 조리원들이 14일부터 급식 파업에 돌입한다. 수능을 30일 앞둔 가운데 노사 양측의 갈등이 극으로 치달으며 학생 피해가 불가피하게 됐다. 13일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 대전지부·대전교육청에 따르면 다음날인 14일부터 대전둔산여고 조리원 9명 중 7명이 급식(중식) 파업에 나선다. 기한은 정해져 있지 않다. 둔산여고 파업에 연대해 노조 간부 등이 속한 4~5개 학교서도 파업에 동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비노조는 1학기 중단된 석식이 재개되지 않는 데 대해 문제를 제기..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매년 큰 인기를 받은 대전 빵축제가 올해 몸집을 더 키워 찾아온다. 13일 대전관광공사에 따르면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2일간 대전 동구 소제동 카페거리 및 대동천 일원에서 대전의 102개 빵집이 참여하는 가운데 '2025 대전 빵축제'를 개최한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2025 대전 빵축제'는 대전관광공사가 주최·주관하고 대전시, 동구청, 대한제과협회대전광역시지회, 성심당이 후원하며, 공식행사, 빵집 컬렉션, 마켓&체험 프로그램, 축하공연, 구매이벤트, 부대프로그램 등 다채롭게 펼쳐진다. 주요행사로 ▲개막식 ▲10m 대형롤케..

강소기업 21개사, 충남에 4448억 투자해 공장 신설·이전
강소기업 21개사, 충남에 4448억 투자해 공장 신설·이전

충남도가 21개 기업으로부터 4500억 원에 달하는 투자를 이끌어냈다. 김태흠 지사는 13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석필 천안시장권한대행 등 6개 시군 단체장, 한민석 웨이비스 대표이사 등 21개 기업 대표 등과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21개 기업은 2028년까지 6개 시·군 산업단지 등 30만여㎡의 부지에 총 4448억 원을 투자, 생산시설을 신·증설하거나 타지역에서 충남으로 이전하고, 국외에서 복귀한다. 이들 기업이 계획대로 가동할 경우 신규 고용 인원은 총 1316명이다. 구체적으로 천안 테크노파크산단엔 경기도 소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

  •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