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도가 계절관리제 기간을 맞아 당진·평택항만 지역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집중 관리에 나섰다.
도는 3일 당진시 송산면 현대글로비스 중부지역부 앞에서 금강유역환경청, 당진시와 합동으로 미세먼지 줄이기 및 계절관리제 홍보, 자동차 매연 무상 점검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도와 금강유역환경청 및 시 관계자, 현대제철, 민간단체 등 최소 인원 20여 명만 참여했으며, 어깨띠·피켓 등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했다.
계절관리제 민·관 합동 홍보 캠페인은 현대글로비스 인근 북부산업로 교차로에서, 운행차 매연 무상 점검은 현대글로비스 중부지역부에서 각각 추진했다. 우선 도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빈도가 높은 겨울·봄철 4개월간을 미세먼지 계절 관리 기간으로 지정해 미세먼지를 집중 감축·관리하는 계절관리제에 대해 소개했다.
도는 계절관리제 기간 중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추진하고 있는 석탄화력 가동 상한제와 대기오염물질 배출 대형사업장 123곳에 대한 자율 감축 이행 관리, 5등급 노후 차량 운행 제한 등을 설명했다. 또 지역 기업 및 도민의 관심과 참여를 독려했다.
아울러 도는 이날 배출가스 측정장치를 이용해 경유차를 대상으로 매연 점검을 무상으로 실시하고, 운전자들에게 자동차 배출가스 문제의 심각성을 안내했다.
이와 함께 도는 3~4일 수도권대기환경청, 금강유역환경청, 경기도 관계자와 합동 점검조를 편성해 부곡·포승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사업장 합동 점검도 추진한다.
주요 점검 내용은 이동 측정 차량과 드론 등 첨단장비를 활용한 오염도 조사 및 불법 배출 감시, 불법 배출 의심 사업장 현장 점검 등이다.
이남재 도 기후환경국장은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서는 산업단지 대형 배출업소의 자발적 노력과 함께 생활 속 도민들의 참여가 중요하다"며 "한 사람, 한 사람이 미세먼지 해결사라는 마음으로 생활 속 실천에 적극 동참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을 말하는데, 석탄 ·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나 공장 ·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한다.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50μm 이하인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s)와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로 구분한다.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이 10μm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μm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로 나뉜다. PM10이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μm)보다 약 5분의 1에서 7분의 1 정도로 작은 크기라면, PM2.5는 머리카락의 약 20분의 1에서 30분의 1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PM10, PM2.5)에 대한 대기질 가이드라인을 1987년부터 제시해 왔고, 2013년에는 세계보건기구 산하의 국제암연구소(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 미세먼지를 사람에게 발암이 확인된 1군 발암물질(Group 1)로 지정했다.
내포=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