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 샌들과 슬리퍼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 샌들과 슬리퍼

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 승인 2021-03-15 09:09
  • 수정 2021-06-24 14:01
  • 신성룡 기자신성룡 기자
2021020101000100200000461
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십 년 유학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을 때였다, 때가 여름인지라 앞뒤가 뚫린 샌들을 신고 귀국 인사차 은사님 연구실을 방문했다. 1994년 8월이었다. 인사를 마치고, 뒤돌아서 연구실을 나가려는데, 은사님께서는 뜻밖에도 내 샌들을 지적하셨다.

"김 선생, 학교에서는 앞뒤가 닫힌 신발을 신으세요." 발가락과 뒤꿈치가 훤히 드러나는 내 샌들이 못내 불편하셨던 모양이다. 학교에서는 정장이 예의고, 샌들은 정장이 아니라는 규범이 통용되던 때다. 어떤 분은 내가 입은 청치마도 문제 삼았다. 청치마는 부적절한 강의 복장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여교수가 신는 샌들이나 청치마를 문제 삼을 사람은 없다. 영화 제목처럼, 그때는 틀렸지만, 지금은 괜찮은 것이다.

규범은 시간이 흘러 변화할 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유동적이다. 1990년대 미국의 교수들은 강의할 때도 청바지는 물론이고, 여름엔 샌들에다 반바지 차림도 종종 있었다. 우리에겐 문제였지만 다른 공간 속 그들에겐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한때 절대적으로 보였던 규범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고, 어느 특정한 공간에서 절대 준수를 요구하는 규범도 공간이 바뀌면 함께 바뀌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모든 규범은 원래부터 그랬던 것이 아니라, 사회적·역사적·문화적으로 특정한 조건에서 만들어진 구성물일 뿐이다. 즉, 요새 말로 규범은 자의적(arbitrary)이고 우연적(contingent)일 뿐, 결코 절대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낯선 고국 생활에서 당시 나의 적응을 염려했던 두 분의 충고를 나는 잘 따랐다. 학교에 올 때는 샌들을 신지 않았고, 청치마도 될 수 있는 대로 피했다. 규범의 자의성과 우연성을 모르지 않았지만, 나는 당시 문화가 요구하는 규범을 따랐다. 로마에서는 로마의 법을 따른다는 심정이기도 했지만, 실은 내 맘대로 하기엔 당시 나의 입지가 불안했던 탓이 컸다. 전략적 준수였다. 규범을 새로이 주조하는 선구자의 길은 고단하니, 두어 발짝 발걸음을 늦추는 것이 두루 편하다는 영리한 계산이 있었을 것이다.



복장 규범뿐만이 아니다. 우리가 지켜야 한다고 믿는 윤리와 도덕률도 마찬가지로 역사/문화적으로 만들어진 약속들이다. 교통법규와 비슷하다. 교차로에서 빨간 불이 켜지면 멈추고, 녹색 불이 켜졌을 때 움직이는 것은 색깔이 지니는 내재적인 의미 때문이 아니라, 그렇게 하자는 우리 간의 자의적인 약속을 따르는 것이다. 약속의 위반은 교차로의 원활한 교통을 막을 터이니, 원활한 교통을 위해서 우리는 약속을 지킬 뿐이다. 약속이 절대적이라서 지키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질서를 위해 잠정적으로 지키는 것이다.

나는 규범의 절대성을 믿지 않으면서도 편의상 대체로 규범을 따르는 편이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다. 이번엔 샌들이 아니라 슬리퍼가 문제였다. 누군가는 학생들이 슬리퍼 신고 수업에 오는 행동이 부적절하다고 믿는다. 그리고 이를 가정교육의 문제로 분석했다. 나는 가슴이 뜨끔했다. 왜냐면 우리 집 막내가 이름하여 '슬파족'이기 때문이다. 조상 탓에 발등이 높은 막내는 어떤 신발도 불편했기에 어딜 가든 웬만하면 슬리퍼를 신고 다닌다. 그런 막내를 가끔 타박하긴 했지만, 신체조건 탓이니 많이 타박하긴 힘들었다. 그런데 가정교육이 잘못되었다니, 순간 가슴이 철렁했다.

'샌들이든 슬리퍼든 뭐가 문제에요? 슬리퍼 신었다고 누구에게 해를 끼치나요? 강의실에서 슬리퍼는 틀렸다는 기준은 자의적이고 우연적일 뿐이라고요! 슬리퍼가 공동체 질서를 파괴하는 것도 아니잖아요!'라고 마구 반박하고 싶었지만, 나는 침묵했다. 강의실 슬리퍼의 부적절성은 지금 여기 합의된 공중도덕이라는 주장을 나 혼자 함부로 부정하긴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어도 나는 규범을 따르지 않는 누군가를 비판하기 전에 한 번쯤 비판 기준의 절대성을 먼저 의심해보겠노라 생각했다./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지역 민관이 어린이날을 앞두고 우리 지역 아동을 위해 특별한 선물을 마련했다.
  2. 대전시, 국내 유망기업 7개 사와 919억 원 규모 업무협약 체결
  3. 세종시 관계기관 '스미싱·피싱·리딩방 피해' 공동 대응
  4. 대전시의회, 복용승마장 현장점검… "시민 이용에 불편 없도록 노력"
  5. 소진공, 중기부 '살맛나는 행복쇼핑 2024 동행축제'서 소상공인 지원사업 참여
  1. 소진공-성심당, 온누리상품권 이벤트 연다
  2. 대전신세계, 12일까지 헬로키티 50주년 기념 팝업스토어 진행
  3. 한국영상대-한국와콤, 디지털 창작 분야 미래 선도
  4. "수상체험 안전사고 제로화" 대전중리초, 해양경찰과 수상안전교육
  5. 천안도시공사-세종충남지역노동조합 노사 간담회 실시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 국내 유망기업 7개 사와 919억 원 규모 업무협약 체결

대전시, 국내 유망기업 7개 사와 919억 원 규모 업무협약 체결

대전시는 3일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국내 유망기업 7개 사와 919억 원 규모 투자, 200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과 대전상공회의소 정태희 회장을 비롯한 ▲㈜글로벌시스템스 박승국 대표 ▲㈜넥스윌 서원기 대표 ▲대한문화체육교육협회 김상배 회장 ▲㈜디엔에프신소재 김현기 대표 ▲㈜에스제이 김명운 대표 ▲㈜케이이알 김민표 상무 ▲㈜플레토로보틱스 박노섭 대표가 참석했다. 기업들을 산업단지별로 나눠 살펴보면, 유성구 장대산단으로 ▲전자전, AESA 레이다 시험장비 등 통신 전문업체인 ㈜넥스윌..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속보>=대리 지원, 지원시간 뻥튀기 등으로 장애인 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사례가 만연한 가운데, 활동지원사 신원확인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도일보 2024년 5월 2일자 6면 보도> 2일 취재결과, 보건복지부 장애활동지원 사업으로 활동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장애인의 가사, 사회생활 등을 보조하는 인력이다. 하지만, 최근 대전 중구와 유성구, 대덕구에서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민원이 들어와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대부분 장애 가족끼리 담합해 부정한 방식으로 급여를 챙겼다는 고발성 민원이었는데, 장..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