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내 골령골 아픔 담은 장편 다큐멘터리 ‘무저갱’

  • 사람들
  • 뉴스

산내 골령골 아픔 담은 장편 다큐멘터리 ‘무저갱’

정진호 PD 총괄
영어 자막본 제작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네덜란드), 야마가타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일본), DMZ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한국), EBS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출품, 일반시민 공개는 올 연말에 무료로

  • 승인 2021-06-21 09:47
  • 수정 2021-06-21 10:23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IMG_20210618_150257457_01
정진호피디
정진호 PD
산내 골령골의 아픔을 담은 장편 다큐멘터리 ‘무저갱’(abyss.끝을 헤아릴 수 없는 죽음의 수렁)이 제작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정진호 PD가 총괄 프로듀서를 맡은 이 작품은 한국영상위원회에서 실시한 '2020년 지역영화 제작지원작'으로 선정된 장편 다큐멘터리이다. <무저갱>(2020)은 지난 19일 오후 1시 대전 기독교연합 봉사회관 1층에 마련된 씨네인디U에서 대전 산내사건 희생자 유족들과 언론을 대상으로 한 시사회를 개최했다.

정진호 PD는 “한국전쟁 때 대전 동구 낭월동 일대의 산내 골령골에서 있었던 민간인 대량 학살사건(대전 산내 사건)에 대해 시민들의 후원을 받아 두 편의 다큐멘터리인 <세상에서 가장 긴 무덤>(2018)과 <70년 만의 나들이>(2019)를 제작했다”고 말했다.

정 PD는 “이 두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팟캐스트 '아는 것이 힘이다'는 한국영상위원회와 대전시 동구로부터 지원을 받아 지난해 12월 장편 다큐멘터리 <무저갱>을 제작했는데, 코로나19 여파로 그동안 시사회를 열지 못하다가 이번에 제한적인 시사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IMG_20210618_150257457_02
이번 시사회는 대전 산내사건 희생자 유족회장과 허태정 대전시장, 황인호 동구청장과 장철민 동구 국회의원의 인사말과 영화 상영, 감독과의 대화 순서로 이어졌다.

IMG_20210618_150257457_11
<무저갱>은 <낡은 기억의 잔해>(2014)와 <허임>(2015) 등을 연출한 최재성 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최재성 감독은 기획 의도에 대해 “당시 사건을 둘러싼 여러 인물들의 감정과 정서를 추가해 보편적이고 대중적으로 관객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드라마타이즈와 애니메이션을 결합했고, 암울했던 역사에 희생당한 각각의 목소리를 전달하고자 노력했다”며 “아직도 제대로 드러나지 않고 있는 대전 산내 사건에 대한 진실이 조금이라도 더 널리 알려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IMG_20210618_150257457_12
정진호 총괄 프로듀서는 “<무저갱>은 영어 자막본으로도 제작돼 현재 암스테르담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네덜란드), 야마가타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일본), DMZ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한국)와 EBS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한국) 등 국내외 주요 국제영화제에 출품됐다”고 소개했다.

IMG_20210618_150257457_03
정 총괄 프로듀서는 또 “심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일반 공개를 제한하는 일부 영화제 규정상 일반 시민들을 위한 공개는 올 연말에 무료로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