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한 청년주택] 청년매입임대주택, 가구와 벽지엔 곰팡이만 가득… 대전도시공사 관리부실 '심각'

  • 정치/행정
  • 대전

[부실한 청년주택] 청년매입임대주택, 가구와 벽지엔 곰팡이만 가득… 대전도시공사 관리부실 '심각'

대학생, 취준생, 청년 대상으로 진행하는 청년매입임대주택사업
기대와는 달리 원룸 실상은 "공짜여도 안 산다" 비판 들끓어
도시공사 "상시모집 통해 공실 세대 대응하겠다" 해명

  • 승인 2021-08-30 17:30
  • 신문게재 2021-08-31 5면
  • 신가람 기자신가람 기자
KakaoTalk_20210830_145750551
대전도시공사가 진행하는 청년매입임대주택사업의 원룸 내부(대덕구 오정동)가 가구마다 곰팡이로 가득차 있다. 사진=제보자
#. 사회 초년생인 A 씨는 대전도시공사가 진행하는 청년매입 임대주택 입주자 모집 공고를 보고 3순위에 해당돼 곧바로 신청했다. A씨가 둘러본 임대주택은 탄방동의 원룸으로 본인 회사와도 가까워 입지적 조건이 A 씨에게 딱 들어맞았다.

하지만 A씨가 둘러본 청년임대주택 원룸은 A 씨의 생각과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벽지 곳곳에는 곰팡이와 까맣게 그을린 흔적으로 가득했고, 심지어 얼마나 오래 방치됐는지 지워지지도 않았다. 이를 본 A 씨의 부모는 "그런 집은 공짜여도 살지 말라"는 말을 듣고 곧바로 A 씨는 도시공사 측에 계약하지 않겠다고 전달했다.

#. 대학생인 B 씨도 모집 공고에 신청해 대덕구 오정동의 원룸을 찾았다. 탄방동과 마찬가지로 곰팡이가 가득한 가구들을 보자마자 사용하기 찝찝해 해당 가구들을 혹시 빼줄 수 있느냐는 요청을 했지만, 도시공사 측에서는 "그럴 수 없다. 옵션 가구들을 꼭 사용해야 한다"는 답만 돌아왔다.

이에 B 씨는 이전에 사용하던 가구들을 같이 넣어 사용하자니 안 그래도 좁은 내부가 더 좁아지고, 버리자니 아까운 난감한 상황에 놓였다. B 씨는 "일반 원룸도 가구를 빼달라고 하면 양해 해주는데, 도시공사는 쓰지 않는 가구들을 모아놓는 공간도 없는지 규정만 들이대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도시공사가 관리하는 청년 매입임대 주택이 심각한 관리부실로 외면받고 있다.

장기간 빈 공간으로 방치해 내부는 가구와 벽지마다 곰팡이 서식지로 변질된 지 오래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공약까지 내걸며 청년주택 공급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 도시공사는 오랫동안 공실로 내버려두며 주택공급에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대전도시공사가 매입한 주택을 저소득층 대학생, 취업준비생과 청년(19세~39세)에게 시세의 40∼50% 수준으로 저렴하게 임대하는 주택복지사업이다.

KakaoTalk_20210830_145843969
같은 사업을 진행하는 서구 탄방동의 원룸 내부도 벽지마다 까맣게 그을려있어 관리부실의 민낯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제보자
공사가 보유 중인 청년 매입임대 주택은 동구 용전동, 중구 문화동, 서구 가장동·용문동, 유성구 덕명동, 대덕구 오정동 등 6곳으로 총 77호다. 이 중 2020년 7월 4곳(문화동, 가장동·용문동, 덕명동)의 임대주택, 올해 5월에 3곳(용전동, 탄방동, 오정동)에 입주자 공고를 냈다. 올해에만 청년임대주택 47호를 공고했지만 23명만 지원했고 나머지 24호는 공실이 됐다.

공실이 많은 주요인은 모집공고를 1년에 한 번만 하기 때문이다. 공고를 보고 왔다가 대부분 실망하면서 계약하지 않아 또다시 1년 동안 빈 공간으로 버려진다. 공실은 당연히 늘어날 수밖에 없고, 관리조차 하지 않으니 곳곳이 엉망인 것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전국 지자체가 청년매입주택은 '복지'사업인 만큼 1, 2순위에 주로 입주 자격을 준다. 하지만 대전도시공사는 3순위까지도 입주자격을 주지만, 청년들이 거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일각에서는 대전도시공사가 수익성이 좋은 아파트 분양 사업에만 집중하고 주거복지 사업에는 뒷전이라는 비판이 아직도 쏟아지고 있다.

대전도시공사 관계자는 "곰팡이나 관리가 부실한 시설의 경우에는 최대한 보수를 해주는 방향을 검토하는데 당시 실무진들의 착오가 있었던 것 같다"며 "앞으로는 상시 입주자 모집 공고를 통해 비어있는 세대에 대한 공실을 채워 더 많은 지역민이 활용할 수 있는 임대주택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2.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1.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4.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