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 기록-24]왜 판소리는 '전라도 사투리'로 불러야 하나

[10년간의 취재 기록-24]왜 판소리는 '전라도 사투리'로 불러야 하나

우실하 한국항공대학교 인문자연학부 교수, “지역별 소리해야”
'경상도 사투리' 고집한 박록주 명창 제자들, 맥 잇지 못해 아쉽다
중고제 복원사업, ‘전라도 사투리’로 소리하는 해괴한 모습을 보고 싶지 않다

  • 승인 2021-10-11 10:45
  • 수정 2021-10-17 10:56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111
우실하 한국항공대 인문자연학부 교수
▲판소리와 '전라도 사투리'
판소리는 본래 지역별 사투리로 불렸었다. 그러나 현재는 대부분 '전라도 사투리'로 불린다. 특히 '아니리'에 걸쭉한 전라도 사투리가 없으면 뭔가 밋밋하게 느껴질 정도다. 태어나 자란 곳이 어디든 학생들은 전라도 사투리부터 배워야 하는 실정이다. 다른 지역의 판소리는 거의 사라지고, 주로 전라도에서 발전적으로 전승됐기 때문이다.

판소리 여섯 마당(춘향가, 심청가, 박타령, 토별가, 적벽가, 변강쇠가)을 집대성한 것이 신재효(申在孝·1812~1884) 선생이다. 그의 조상들은 서울 인근에서 살았고, 아버지 때에 고창으로 이주해서 살았다. 신재효는 고창 출신이었고, 그가 남긴 여섯 마당 사설에도 '전라도 사투리'의 영향은 보인다(김옥화의 2007년, 최전승의 1994년 논문 참조). 그렇지만, 현재와 같은 '걸쭉한 전라도 사투리'는 없었다.

▲박록주와 '경상도 사투리'
1940년대까지는 경상도도 판소리의 중심지 가운데 하나였다. 김추월, 박록주, 이화중선, 김초향, 권금주, 이소향, 오비취, 임소향, 박귀희, 박초향 등이 대구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명창이었다. 경북 선산(현재는 구미시에 통합) 출신의 박록주(1905-1979)는 '경상도 사투리'를 고집한 명창이었다. 박록주가 1930년대 창극이나 가극의 여성 주연(심청, 춘향)을 맡아 전국적 스타로 떠오를 때도 여전히 '경상도 사투리'로 소리를 했다. 선생은 유독 '경상도 사투리를 고집했다'고 전한다.

박록주가 '경상도 사투리'로 소리를 해도 동료나 선배 소리꾼 그 누구도 제지하거나 비판하지 않았고, 전국적인 인기도 여전했다. 국악계에서 '경상도 사투리의 감칠맛 나는 창'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경상도 사투리' 만큼은 선생의 제자들에게도 이어지지 못했다.



경북 상주 출신 이명희(1946~2019) 명창은 영남판소리보존회를 결성해서 영남권 판소리의 맥을 잇는 계기를 마련한 인물이다. 이 선생이 활동할 때 이 지역에 박록주가 있었고, 이명희 역시 경북 출신이었지만 '완벽한 전라도 사투리'로 소리를 했다. 2015년 대구 '명인전' 공연에 관한 신문 기사에서 이명희 명창을 소개하는 부분이 압권이다. 지역의 신문은 물론 다른 신문들도 대동소이한데, "경북 출생이지만 완벽한 전라도 사투리 구사로 판소리 맛을 제대로 표현함으로써 이 시대 최고 소리꾼으로 인정받았다"고 소개하고 있다.(영남일보·2015년 11월 16일 보도)

'판소리의 맛을 제대로 표현'하려면 '완벽한 전라도 사투리'가 마치 필수적인 요소나 되는 것처럼 표현하고 있다.

경북 안동을 배경으로 한 '숙영낭자전'의 이본(異本)인 경남대본(慶南大本) '수겡옥낭자전'의 사설에는 '숙영'을 '수겡'으로 기록할 정도로 '경상도 사투리'의 영향이 강하다.(박용식·강현주의 2015년 논문 참조) 그러나 현재는 '숙영낭자전'마저도 '전라도 사투리'로 소리하는 것이 현실이다.

박록주 선생 이후에 '경상도 사투리'로 소리하는 소리꾼은 필자가 아는 한 없다. 지역 사투리가 살아있는 판소리가 살아나야 한다. 물론 지금처럼 '인간문화재에 줄서기' 풍조가 계속되는 한 요원한 이야기다. 경북 구미시에서는 '명창 박록주 전국국악대전'이 200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판소리 부문에 '경상도 사투리로 부르기' 부문을 만들면 어떨까?

▲중고제 복원과 '충청도 사투리'
판소리의 '중고제'는 충청·경기 지역에서 발전한 소리다. 충남 서천은 중고제 판소리의 요람이라 할만하다. 근대 5 명창(김창환, 송만갑, 이동백, 김창룡, 정정렬) 가운데 이동백과 김창룡이 서천 출신이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들의 옛 음반을 들어보면 '전라도 사투리'는 어디에도 없다. 최근에 '중고제 복원 사업'이 벌어지고 있다. 필자는 국창 이동백을 기리는 '국창이동백 전국국악대전'도 만들고, 판소리 부문에는 '충청도 사투리로 소리하기' 부문도 넣어주었으면 하는 기대가 있다. 중고제를 복원한다면서 '전라도 사투리'로 소리하는 해괴한 모습을 보고 싶지 않은 까닭이다.

■우실하(禹實夏) 교수는...
-1961년 경북 상주 출생
-연세대 사회학과 학·석·박사
-동양사회사상, 문화이론, 한국문화론, 한국문화/사상사
-현) 한국항공대학교 인문자연학부 교수 (학부장 역임)
-현) 동양사회사상학회 회장, 고조선단군학회 부회장
-현)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운영위원
-현) 중국 내몽고홍산문화학회(內蒙古紅山文化學會) 회원
-전) 중국 요녕대학(遼寧大學) 한국학과 교수 (요녕성 심양시)
-전) 중국 적봉학원(赤峰學院) 홍산문화연구원(紅山文化硏究院) 방문교수 (내몽고 적봉시)
-홈페이지 www.gaonnuri.co.kr 이메일: woosilha@kau.ac.kr

<단독 저서>
1. '요하문명과 한반도'(서울: 살림출판사, 2019).
2. '고조선문명의 기원과 요하문명'(서울: 지식산업사, 2018).
3. '3수 분화의 세계관'(서울: 소나무, 2012).
4. '동북공정 너머 요하문명론'(서울: 소나무, 2007).
5. '전통문화는 항상 그대로 일까?'(서울: 웅진씽크빅, 2007).
6. '고조선의 강역과 요하문명'(서울: 동아지도, 2007).
7. '동북공정의 선행 작업과 중국의 국가 전략'(서울: 시민의신문, 울력, 2004).
8. '전통 음악의 구조와 원리: 삼태극의 춤, 동양 음악'(서울: 소나무, 2004).
9. '한국 전통 문화의 구성 원리'(서울: 소나무, 1998).
10. '오리엔탈리즘의 해체와 우리 문화 바로 읽기'(서울: 소나무, 1997).
이 외 24권의 공저가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2. 충남교육청, 교육공동체 함께하는 '책심(心)키움 마당' 운영
  3. 세종충남대병원, 410g 초극소 이른둥이 생존 화제
  4.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5. 충남도의회, 경로당 내 친환경 식재료 확대 방안 모색
  1. "양수발전소로 금산 미래 발전 이끈다"… 충남도, 민선8기 4년차 금산 방문
  2. 2026 세종시 지방선거 킥오프? 입후보 예정자 다 모여
  3. 내포∼세종 연결도로망 구축 청신호
  4. 장기요양기관 법령 이해도 높인다...경진대회 성료
  5. "대한민국 대표 치유·힐링 중심지로"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2차 자문위원 회의

헤드라인 뉴스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대전과 세종, 충북을 통합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됐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급행철도인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민자적격성 조사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번 통과는 CTX가 경제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했다는 의미로 정부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내포 수년간 방치되던 공터, 초품아로… 충남개발공사 "연말 분양 예정"
내포 수년간 방치되던 공터, 초품아로… 충남개발공사 "연말 분양 예정"

내포신도시 건설 이후 수년간 방치됐던 공터가 '초품아(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로 탈바꿈한다. 아파트 숲 속 허허벌판으로 남겨졌던 곳에 대규모 공사가 시작되면서 인근 주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일 충남개발공사 등에 따르면 내포 RH-14블럭인 홍성군 홍북읍 신경리 929번지 일원에 'e편한세상 내포 에듀플라츠'를 건설 중이다. 공사를 총괄하는 시행사는 충남개발공사가, 시공사는 DL이앤씨가 맡았다. 총 세대수 727세대인 해당 아파트의 대지면적은 3만 8777.5㎡로 지하 2층~지상25층 규모, 10동이 들어설 예정이다. 세대구..

美 AI 버블 우려 확산에…코스피 올해 두 번째 매도 사이드카 발동
美 AI 버블 우려 확산에…코스피 올해 두 번째 매도 사이드카 발동

연일 신고점을 경신하던 코스피가 5일 인공지능(AI) 고평가 우려와 버블론 확산으로 지수가 크게 떨어지며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이날 한국거래소는 오전 9시 36분 코스피 시장에 매도 사이드카를 발동했다. 올해 4월 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로 인해 증시가 크게 출렁인 후 올해 두 번째 사이드카다. 오전 10시 30분에는 올해 처음으로 코스닥 매도 사이드카도 발동됐다. 코스피 사이드카는 코스피200선물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되는 경우, 코스닥은 코스닥 150선물지수가 6%, 코스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