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일주일 동안 열무비빔밥 먹은 사연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일주일 동안 열무비빔밥 먹은 사연

  • 승인 2022-07-27 17:18
  • 신문게재 2022-07-28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20727_101301443
"아자씨 지슈(계세요)? 말씀드릴 게 있어서유. 어이구, 저녁 드시네유." 소쩍새가 우는 한 여름 저녁, 우리 식구는 두리반에 둘러앉아 저녁으로 상추쌈을 먹는 중이었다. 밭에서 뜯어온 한 소쿠리 상추와 된장을 끓여 올린 밥상이었다. "어, 여기 앉게나." 먼 친척뻘 되는 아저씨는 못이기는 척 비집고 앉는다. 엄마는 부엌에서 가져온 밥 한 공기와 수저, 젓가락을 아저씨 앞에 놓는다. 우리는 다시 와글와글 얘기를 나누며 볼이 미어터지게 상추 쌈을 먹는다. 며칠 후 저녁. "아줌니, 저 또 왔슈. 저번에 먹은 상추쌈이 얼매나 맛있던지 자꾸 생각나더라니께유." 엄마, 아버지의 환대와 함께 아저씨는 그날도 상추쌈으로 밥 공기 뚝딱 먹어치웠다. 유년시절 여름의 추억이다.

올해 난 도시농부가 됐다. 내가 사는 아파트 단지엔 자그마한 공동체 텃밭이 있다. 올 초 제비뽑기에서 당첨돼 손바닥만한 밭을 분양받아 2년동안 밭을 일구게 됐다. 명색이 농부의 딸이었지만 한번도 농작물을 가꿔 본적이 없어서 흥분됐다. 사실 이 텃밭을 볼 때마다 꽤나 부러웠었다. 거기다 수도시설과 농기구도 있다니, 난 환호성을 질렀다. 4월 중순에 열무와 상추, 쑥갓, 시금치는 씨를 뿌리고 가지, 방울토마토, 고추, 겨자는 모종을 심었다. 그런데 며칠이 지나도 싹이 안 나 애가 탔는데 어느 날 싹이 삐죽이 올라왔다. 매일 매일 물을 주느라 마동석 팔뚝이 됐다. 퇴근하면 운동하랴, 텃밭 가꾸랴, 밥 해먹으랴 1초가 금쪽같았다. 새롭게 안 사실이 있다. 상추는 씨보다 모종을 심는 게 튼튼하고 잘 자란다는 것.

역시 농사도 수월하지 않았다. 비료, 농약을 안친데다 거름기가 없어 실패를 맛봤다. 시금치가 잘 크는가 싶었는데 중간에 시들면서 누렇게 뜨기 시작했다. 겨우 두 줌 뜯어다 김밥 재료로 썼다. 여러 사람과 같이 밭을 가꾸다 보니 밭마다 주인의 성향이 보였다. 욕심많은 사람은 공간이 안보이게 빽빽하게 심었다. 풀 한포기 없이 깔끔한 밭도 있다. 나는? 적당히 방목하는 스타일! 일단 공간이 많고 채소와 풀들이 어울렁더울렁 살아간다. 게으른 농부란 말씀. 말로만 듣던 고수도 처음 봤다. 주인이 없을 때 살짝 이파리 두어 개를 뜯어 씹어먹었다. 헉, 정말 화장품 냄새가 훅 끼쳤다.

드디어 내 손으로 가꾼 채소를 먹게 됐다. 유기농이라 시원한 물에 설렁설렁 씻기만 하면 된다. 깊게 파인 스뎅 볼에 밥을 퍼 담고 연하고 파릇파릇한 열무와 상추를 산처럼 얹었다. 거기에 고추장과 들기름, 깨소금을 넣고 써억써억. 일주일 동안 저녁마다 열무비빔밥을 먹는데도 질리지 않았다. 소화도 잘돼 10시껜 배가 고팠다. 상추는 옆 텃밭 아저씨 조언대로 물만 열심히 줘도 잘 자랐다. 쑥쑥 자라는 상추와 쑥갓을 매일매일 뜯어야 했다. 경비실에도 넉넉히 드렸다. 한번은 라면을 상추, 쑥갓에 싸먹어 봤다. 오호, 이런 맛이? 묵은지돼지고기찜, 고등어 조림도 마찬가지. 비빔국수는 면보다 채소가 더 많았다.



초보지만 나도 제법 농부 티가 났다. 흙을 만지다보니 현관엔 운동화에서 떨어진 흙이 날리고 손톱 밑엔 까만 때가 끼기 일쑤였다. 아침 데스크회의 때 엄지 손톱으로 나머지 손톱 때를 긁어내는 일이 많았다. 밭농사는 그야말로 잡초와의 전쟁이었다. 며칠동안 비가 온 후에 가보니 풀들이 순식간에 밭을 점령했다. 이틀간 퇴근 후 풀과 쓸모없어진 채소를 뽑고 정리했다. 풀에 쓸린 팔이 따갑고 허리가 뻐근했지만 속이 후련했다. 그 사이 가지는 팔뚝만했고 주렁주렁 열린 방울토마토는 빨갛게 익어갔다. 고추도 손가락만했다. 하나 따서 우적우적 씹었다. 우엑! 꼬리를 밟힌 살모사처럼 독이 바짝 올랐다. 청양 고춘가? 빈자리에 또 뭘 심어야 할텐데. 이번 주말엔 당근 씨를 뿌려야겠다.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1. 충남대, 제2회 'CNU 혁신포럼’…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정책 대응 논의
  2. '수능약?' 전문의약품을 불안해소 오남용 여전…"호흡발작과 천식까지 부작용"
  3. [세상읽기] 변화의 계절, 대전형 라이즈의 내일을 상상하며
  4. "사업비 교부 늦어 과제 수행 지연…" 라이즈 수행 대학 예산불용 우려
  5. 한남대, 조원휘 대전시의장 초청 ‘공공리더십 특강’

헤드라인 뉴스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30일 LG 트윈스와의 한국시리즈(KS, 7판 4선승제) 4차전을 4-7로 패배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LG는 이날 경기 결과로 시리즈 전적을 3승으로 만들며 우승까지 한 걸음만을 남겼다. 한화는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LG를 맞아 4-7로 패배했다. 먼저 득점을 낸 건 한화다. 4회 말 무사 1, 2루 상황에서 타석에 오른 황영묵은 번트로 1사 2, 3루 기회를 만들었고, 다음 순서로 나선 하주석이 적시타를 쳐내며 선취점을 만들었다. 한화..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