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이태원 포비아

  • 오피니언
  • 홍키호테 세창밀시

[홍키호테 世窓密視] 이태원 포비아

아무리 사후약방문이라도

  • 승인 2022-11-08 19:04
  • 수정 2022-11-08 19:06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사람은 불과 한 치 앞조차 가늠하지 못한다. 서울 이태원에서 '핼러윈 참사'가 일어난 10월 29일은 토요일이었다. 당일 필자는 다섯 군데의 취재를 하느라 새벽부터 바빴다.

'2022 대청호 오백 리 길 걷기대회'에 이어 대전시청 남문 광장으로 자리를 옮겨 '제11회 일류도시 대전 NGO 시민축제'를 카메라에 담았다. 칼국수로 점심을 대충 해결한 뒤엔 서구문화원 앞 보라매공원에서 열린 '보라매 문화 산책 축제'를 취재했다.

이어 두 곳에서 더 인터뷰한 후 귀가하자마자 파김치가 돼 나가떨어졌다. 그리곤 기사를 쓰려고 습관처럼 이튿날 새벽 4시경 일어났다. 뉴스가 온통 '핼러윈 참사'로 도배되어 있었다. 너무 경악하여 정신까지 아찔했다.

어째 또 이런 일이……!! 핼러윈(Halloween)은 만성절(萬聖節) 전날인 10월 31일에 행해지는 축제이다. 새해와 겨울의 시작을 맞는 날로, 아이들은 괴상한 복장을 하고 이웃집을 돌아다니며 음식을 얻어먹는다.



고대 켈트 민족의 풍습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만성절'은 그리스도교의 모든 성인을 기념하는 축일이다. 가톨릭교회에서는 '모든 성인의 축일'이라고도 한다. 그 전야인 핼러윈은 새 불을 피우는 날로서 성대한 화제(火祭)가 행하여졌다.

농민은 불을 피워서 선조의 영을 인도하고 악마를 쫓았다. 이를 우리나라에 비교하면 정월 대보름 행사쯤 되는 셈이다. 따라서 해마다 핼러윈 축제를 즐기는 젊은이들을 비판하거나 폄훼하는 건 옳지 않다.

어쨌든 '핼러윈 참사'는 순식간에 300명이 넘는 사망자와 부상자를 남기며 우리의 고질병인 안전 불감증에 다시금 경종을 울렸다. '핼러윈 참사'에서 우리는 새삼 '하인리히 법칙'를 발견하게 된다.

1920년대에 미국의 어떤 여행 보험 회사의 관리자였던 허버트 W. 하인리히는 7만 5000건의 산업재해를 분석한 결과 아주 흥미로운 법칙 하나를 발견했다. 그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1931년 [산업재해 예방]이라는 책을 발간하면서 산업 안전에 대한 <1 : 29 : 300 법칙>을 주장했다.

이 법칙은 산업재해 중에서도 큰 재해가 발생했다면 그전에 같은 원인으로 29번의 작은 재해가 발생했고, 또 운 좋게 재난은 피했지만 같은 원인으로 상처를 당할 뻔한 사건이 300번 있었을 것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를 확률로 환산하면, 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사고의 발생 확률은 90.9%, 경미한 재해의 발생 확률은 8.8%, 큰 재해의 발생 확률은 1%라는 것이라는 것이다. 즉 '하인리히 법칙'은 어떤 상황에서든 문제 되는 현상이나 오류를 초기에 신속히 발견해 대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초기에 신속히 대처하지 못할 경우, 큰 문제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는 주변에서도 쉬이 발견할 수 있다. 예컨대 러시아워 때 콩나물시루가 된 시내버스가 내리막길에서 급정거하는 경우가 발생했다고 치자.

이런 때,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승객은 순식간에 앞으로 쏠리면서 제2의 '이태원 포비아(phobia)' 사태가 발생할 개연성이 농후하다. '공포증'을 의미하는 포비아는 사실 우리 주변을 장악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콜 포비아(call phobia)는 '보이스피싱'처럼 전화로 음성 통화를 하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는 증세를 말한다. 케모포비아(chemophobia)는 화학 제품에 대해 두려움이나 거부감을 느끼는 증세이다.

아무리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이라 할지라도 철저한 대비로 다시는 '이태원 포비아'가 발생해선 안 된다. 삼가 고인들의 명복을 빌면서 이런 비극이 일어나질 않기를 간절히 기도한다.

홍경석 / 작가 · '사자성어는 인생 플랫폼' 저자

2022061101000656200020101
*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사)한국청소년육성연맹, 관저종합사회복지관에 후원물품 전달식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