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헤이! 미스터 발자크, 얼죽아 콜?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헤이! 미스터 발자크, 얼죽아 콜?

  • 승인 2023-03-29 09:40
  • 수정 2023-03-29 10:47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GettyImages-a11224640
게티이미지 제공
국제상품시장에서 석유 다음으로 많이 거래되는 커피. 인류의 커피사랑은 지독하다. 조선말 고종도 아관파천 때 러시아 공사관에서 '가베'를 맛보고 홀딱 반해 커피 애호가가 됐다. 발자크의 커피 사랑은 단순하지 않다. 발자크는 하루 18시간 동안 글을 썼다. 그는 미친 듯이 써댔다. 한밤중에 일어나 글을 쓰다가 체력의 한계가 오면 커피를 마셨다. 그리고 또 글쓰기. 문학 노동자 발자크는 하루 일과가 글쓰기, 커피, 글쓰기, 커피의 반복이었다. 그 커피를 하루에 50잔을 마신 적도 있다니 몸이 성할 리가 없었다. 결국 51세에 생을 마감했다.

지금은 카페나 커피숍에서 커피를 마시지만 이전엔 다방이 그 역할을 했다. 이름하여 '다방커피'다. 취향이 제각각이지만 커피-설탕-프림의 비율이 핵심이다. 인스턴트 커피가 나오면서 다방이 호황을 누렸다. 다방에선 마담과 레지가 커피를 팔고 배달했다.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내가 신문사 입사했을 때만도 사무실에서 다방 커피를 배달시켜 먹었다. 단골 다방이 있었는데 중년의 사장 겸 마담이 교양있어 보이는 분위기인데다 인심도 후했다. 하루는 꽃무늬가 있는 차분한 색조의 시폰 원피스를 입고 왔다. 그런데 모 부장이 입는 것과 똑같은 원피스였다. 이럴 수가! 그 부장은 브랜드 옷이나 고급 의상실에서 맞춰 입는 멋쟁이였다. 능력있고 콧대가 하늘을 찌르는 부장은 김이 팍 샜고 머쓱한 우리도 숨죽이며 킬킬거렸다.

스타벅스는 한국의 커피마니아들에겐 성지나 다름없었다. 한국에 스타벅스가 처음 들어온 건 1999년이다. 당시엔 이 곳에서 커피 한번 마셔봐야 커피 좀 안다고 하는 시대 분위기였다. 커피를 좋아하는 서울 사는 친구 덕분에 나도 일찌감치 스타벅스를 접수했다. 2000년 가을, 친구는 자유의 몸이 된 나를 축하해 주기 위해 서울로 불러들여 온갖 맛난 것을 먹여줬다. 친구는 내 손을 끌고 먼저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패밀리 레스토랑으로 들어갔다. 두툼한 스테이크와 함께 별의별 요리가 다 나와 눈이 튀어나올 뻔 했다. 목까지 차도록 먹었지만 결국 남기고 말았다. 다음엔 스타벅스. 커피 맛을 모르는 나로선 특별할 게 없었다. 그저 쓰디 쓰기만 할 뿐.

'별다방'이라 불리는 스타벅스는 이제 쉽게 마실 수 있는 커피가 됐다. 스타벅스의 확장세는 무서울 정도다. 현재 스타벅스 코리아 멤버십 회원이 1000만명을 넘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스타벅스는 1971년 미국 시애틀에서 첫 매장을 열었다. 고급 원두커피를 저렴한 값에 선사한다는 마케팅 전략이 먹혀 승승장구했다. 커피업계에서 별처럼 빛나는 스타벅스는 비난도 잇따랐다. 스타벅스 역시 세계를 정복하려는 제국주의적 야심이 강하다. 거기다 커피 생산지 후진국의 값싼 노동으로 부를 쌓기 때문이다.



커피의 매력이 뭘까. 좀 비싼 체인점 커피 한 잔 가격은 밥값과 맞먹는다. 그런데도 매장은 손님들로 북적인다. 직장인들이 점심을 먹고 카페로 우르르 몰려가는 건 일상 풍경이다. 커피를 사들고 출근하는 모습도 익숙해졌다. 커피는 개인의 취향이다. 취향은 다분히 모순적이다. 남과 달라지고 싶을 때 또는 남과 같아지고 싶을 때 취향은 발현한다. 커피의 역사가 오래된 유럽은 뜨거운 에스프레소를 진정한 커피로 친다. 밍밍한 아메리카노는 대놓고 무시한다. 한국은 독특한 커피문화를 탄생시켰다. '얼죽아'. 한국인의 찐 취향이다. 나는 카페인에 민감해 커피를 즐기지 않는다. 해서 점심 먹고 난 후의 졸음에 속수무책이다. 이런 나도 찬바람이 부는 가을엔 무장해제 된다. 노란색 봉지의 커피믹스 한 잔! 그윽하고 달콤한 향이 기가 막히다. 외국인도 반한 맛 아닌가. 그리곤 뱃속의 커피를 희석시키려고 물을 벌컥벌컥 마신다. '악마의 유혹'은 대단하다.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1. 충남대, 제2회 'CNU 혁신포럼’…서울대 10개 만들기 등 정책 대응 논의
  2. '수능약?' 전문의약품을 불안해소 오남용 여전…"호흡발작과 천식까지 부작용"
  3. [세상읽기] 변화의 계절, 대전형 라이즈의 내일을 상상하며
  4. "사업비 교부 늦어 과제 수행 지연…" 라이즈 수행 대학 예산불용 우려
  5. 한남대, 조원휘 대전시의장 초청 ‘공공리더십 특강’

헤드라인 뉴스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한국시리즈 4차전 LG에 역전패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30일 LG 트윈스와의 한국시리즈(KS, 7판 4선승제) 4차전을 4-7로 패배하며 벼랑 끝에 몰렸다. LG는 이날 경기 결과로 시리즈 전적을 3승으로 만들며 우승까지 한 걸음만을 남겼다. 한화는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LG를 맞아 4-7로 패배했다. 먼저 득점을 낸 건 한화다. 4회 말 무사 1, 2루 상황에서 타석에 오른 황영묵은 번트로 1사 2, 3루 기회를 만들었고, 다음 순서로 나선 하주석이 적시타를 쳐내며 선취점을 만들었다. 한화..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한화 김경문 감독 "김서현, 감독 못지 않은 스트레스 받았을 것"

"감독 못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친구다. 감독이 포옹해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앞두고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날 구원 투수로 활약을 펼친 김서현 선수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감독은 "심우준이 9번에 다시 들어왔다. 어제 큰 힘이 되는 안타를 친 만큼, 오늘도 기운을 이어주길 바란다"라며 전날 경기 MVP를 따낸 심우준 선수를 다시 기용하게 된 배경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