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 대중화를 통해 민족 겨레를 지켜야죠"… 박종희 민화 작가의 '꿈'

  • 정치/행정
  • 대전

"민화 대중화를 통해 민족 겨레를 지켜야죠"… 박종희 민화 작가의 '꿈'

박종희 대표 민화작가 "소외된 민화 알리려 노력"
늑깎이로 민화 배운 뒤 민화 알리기 위해 수소문
대전 문화센터.문화원 돌며 민화 예술성 전달해
"지역에 민화 관심 늘리고, 배울 환경 만들고파"

  • 승인 2024-04-15 17:12
  • 신문게재 2024-04-16 7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KakaoTalk_20240411_130403659
박종희 민화 작가가 중도일보와 만나 인터뷰 하고 있는 모습. (사진= 김지윤 기자)
"민화가 아직 많이 소외되고 있어요. 우리 겨레의 염원이 담긴 그림인 만큼 지역에서도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조선시대 전통 민화를 시작한 지 벌써 20년 가까이 된 박종희 작가는 어느새 대전 대표 민화 작가로 이름 알리고 있다.

박종희 작가는 늦깎이 민화 작가다.

도예로 처음 예술계에 입문한 뒤 더 풍부하고 아름다운 작품을 배우기 위해 40대 중반부터 민화를 배우기 시작했다. 작가는 1990년대 후반 대전 서구 관저동에 도자기 공방을 차린 뒤 민화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박종희 작가의 민화에 대한 열정과 애정은 누구보다 뜨거웠다. 그녀가 민화를 정식적으로 배운 건 2000년대 들어서부터다.

당시 처음 지역 평생교육문화원에서 강사로 뛸 기회를 얻은 그는 수강생들에게 민화 그리기 수업만이 아닌 민화의 역사에 대해 알리고 싶다는 열망이 생겼다.

곧바로 서울과 경북 경주를 다니며 유명 민화 작가들을 찾아 민화에 대한 학문적 지식을 넓히고, 대전에 민화의 아름다움을 알리기 시작한 것이다.

박 작가는 "수강생들이 실기 수업만을 하는 게 항상 아쉬웠다. 그러다 보니 민화를 자세히 배울 곳을 수소문해 다닐 수밖에 없었다"라며 "내가 알아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민화에 대한 매력을 더 느꼈고 지역에 널리 알리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이후 그는 민화가 잘 알려지지 않은 대전에서 민화를 대중화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였다. 박 작가는 평생학습센터에서 주민센터, 서구와 유성 문화원 출강을 다니며 소외된 민화를 널리 알리기 시작했다.

민화
2024년 박종희 민화작가 개인전 '옛 그림에 멋을 담다' 현장 모습. (사진= 박종희 작가 제공)
어느덧 그는 지역에 잘 알려진 민화 작가로 자리 잡은 것이다.

지난 2018년 처음 민화 개인전을 연 작가는 올해 서구문화원에서 '옛 그림에 멋을 담다'라는 주제로 두 번째 개인전을 열게 됐다.

작가는 "민화는 무궁무진한 매력이 있다. 순수함·소박함·단순함·솔직함, 생활 습속과의 연계성 등 특성이 잘 나타난다"라며 "이를 대중화하는 걸 대전에서만 그치는 게 아니라 인근 지역까지 찾아 알리려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작가의 결실은 곳곳에서 맺어지고 있다. 벌써 그를 뒤따르는 제자들이 늘며 대전에서도 민화계 몸짓이 커지는 것이다.

그래도 여전히 아쉬움은 남아있다. 아직 지자체와 자치구는 민화에 대한 관심이 저조하다 보니, 민화 수강 과목을 새롭게 신설하는 것조차 어려운 현실이다.

그는 "이미 민화 강좌가 있는 곳에서도 인기가 없다는 이유로 과목을 없애고 있다"라며 "그럼에도 지역에서 민화가 남아있길 바라는 마음이 크다. 문화를 배울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치지 않고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제천서 실종된 40대 남성… 여전히 행방묘연
  2. 이장우 "3대하천 준설 덕에…더는 물난리로 불편 없도록"
  3. 대전천 휩쓸린 50대 숨진채 발견…대전충남 폭우 4명 사망
  4. 8년간 재활용품 수집으로 모은 1천만원 기부한 86세 이형진 할아버지
  5.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1. 서울 집값 24주 연속 상승… 대전은 27주 연속 하락 '양극화' 뚜렷
  2. 문화유산회복재단, 유성구청 업무협약 맺고 학생 실감교육 실시
  3.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7월18일 금요일
  4.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5.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등용과 정리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더불어민주당 8·2 전당대회 첫 지역 순회 경선인 충청권 권리당원 선거인단 투표에서 정청래 후보가 62.77%의 득표율로 중원을 민심을 잡으면서 기선을 제압했다. 그러나 정작 충청권 강력 반발하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논란에 대해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등 세 명의 후보 모두 한마디도 하지 않아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19일 민주당에 따르면, 충청권 권리당원 투표 결과 정청래 후보가 3만 5142표(62.77%)를 획득하며 2만 846표(37.23%)를 얻은 박찬대 의원을 큰 격차로 제쳤다. 투표에는 전체 권리당..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올해로 10회를 맞은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KITS:Korea International Tourism Show)가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홀에서 열린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KITS조직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전시산업원이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관광업계 정보 제공의 장과 관광객 유치 도모를 위한 비즈니스의 장을 마련해 상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KITS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별 특색을 살린 여행 콘텐츠와 국제 관광도시 및 국가 홍보, 국내외 관광 콘텐츠 간 네트워..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