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보기]전환점의 도시

  • 오피니언
  • 세상보기

[세상보기]전환점의 도시

김병윤 대전대 명예교수 건축가

  • 승인 2025-06-26 16:42
  • 신문게재 2025-06-27 19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김병윤 전 대전대 디자인아트대학장
김병윤 대전대 명예교수 건축가
'인간답게 사는 것은 정말 불가능한 일인가?' 윌리엄 모리스의 '이상향에서의 편지 -News from Nowhere'는 19세기 말 당시 영국의 산업화 사회 한복판에서 쓰인 소설이며, '어디에도 없는 소식'이란 반어적 의미도 지닌 절망의 시대가 만들어 낸 가장 급진적인 희망을 상상 한 메시지였다. 무미건조한 도시에 던진 모리스의 질문은 한편의 소설이었지만 변화를 원하는 세상에 불을 지폈다. 모리스에 의해 우리가 오늘날 '집'이라 부르게 된 계기의 '붉은 집 Red house'과 바르는 벽지가 탄생하였고 공산품이 아닌 수제품이 재 등장하였다. 영국의 '예술공예운동 Art and craft movement' 에 이어 프랑스와 벨기에, 독일 등, 그야말로 전 유럽에 폭발적으로 '모던'이라는 근대문화의 대 지각변동이 곳곳에서 일어났다.

우리가 사는 21세기는 뛰어난 능력을 지닌 스마트폰으로 세상과 연결되어 있지만 한편 어색한 신조어들도 많아졌다. '삼포 N포' 등 부정적 절망을 내포한 말들이 젊은 세대를 대변한다. '노웨어'로 시작하는 19세기 모리스의 상상을 다시 불러볼 만하다.

산업혁명으로 기계는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기 시작해서 도시화는 예상 밖으로 삶을 조각내었으며, 빈부 차이도 늘었다. 인간의 감성과 존엄을 파괴하는 기계화된 세상에서 찾은 모리스의 메시지 'News from Nowhere'는 강제된 노동 없는 자유로운 사회를 그렸고 그 사회에서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예술처럼 일하고, 자연과 도시가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거라 상상하였다. 이 모리스의 꿈은 예상과 달리 두 개의 다른 현실이 되었다.

'노동은 고통이 아니라 기쁨이 되어야 한다'라는 모리스의 말은 한편으론 프롤레타리아의 혁명을 꿈꾼 사회주의 운동에 기름을 부어 상상하기 싫은 세상이 태동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론 '인간을 보다 인간답게 한다'는 예술운동으로 확대되어 근대문화의 대변혁을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해 내었다. 선택지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모리스의 이상도시 상상은 확연하게 다른 모습을 갖는다.



구조에 갇힌 세대, 21세기 청년들은 겉보기엔 더 많은 자유와 선택지를 가진 듯 보이지만 경쟁이 일상이 된 세상에서 조금씩 포기에서 안정을 찾는다. 적극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에 '뭘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라는 말도 단지 의욕 부족이 아니라 원하는 일을 선택할 수 없는 구조에서 등장한다. 우리는 19세기의 산업사회에서 기계가 인간을 집어삼키는 구조와 얼핏 유사하게 오늘날 데이터와 알고리즘, 효율과 성장이라는 이름의 구조로 사람의 삶이 통제되는 세상을 살고 있다. 신용카드나 암호화폐 등은 유토피아 소설 속에서 이미 다 상상한 것들이지만 AI는 우리의 미래에 좀 더 긴장을 주는 상상의 산물이다. 상상은 늘 동전에 양면성이 있듯이 '유용한 행복'이거나 '비루한 불행'으로 나타난다.

모리스의 상상은 도피가 아닌, 전환점으로서 'News from Nowhere'는 현실 의 날카로운 비판이자 대안적 도시를 의미한다. 모리스는 인간이 서로 협력하고, 자연을 품에 안고, 공동체에 강제가 아닌 나 스스로 기여하는 자발적 사회를 그리고자 한 것이었다.

기술의 부정이 아니라 기술이 인간을 소외시키지 않도록, 삶의 도구로만 남기를 바랐다. 오늘날의 우리에게 이는 무척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기술을 소유하는가, 아니면 기술에 의해 소유되는가?

모리스는 말했다. 인간다운 사회, 내 삶의 주장이 가능한 사회는 이루어 진다고. 우리가 그것을 상상하고, 믿고, 말할 수 있다면 말이다. 이상도시란 결코 실현된 미래가 아니라, 지금 이곳을 다시 보게 하는 거울인 것이다.

그리고 거울 앞에 선 우리는 스스로 묻는다. 지금 우리가 사는 나와 이 세계가 정말 전부인가? 기계와 AI가 아닌 '인간에 의존하라.' 바로 일어나지 않을 것 같았던 변화를 NO 에서 찾은 모리스의 지혜를 보면서 우리에게도 이런 변화의 '전환점에 선 도시'가 감히 기대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3. 예산 서부내륙고속도로서 승용차가 중앙분리대 들이받아… 1명 숨져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1. 폭염 속 건설현장 근로자 마음응원 캠페인…마음구호 키트 나눔도
  2.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3.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4.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5. 건양대병원, 차세대 보행 재활 로봇 활용해 스스로 걷기에 도움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