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 해결 전남 공대위 "15개 점포 폐점 용납 불가···입장 철회해야"

  • 전국
  • 광주/호남

홈플러스 사태 해결 전남 공대위 "15개 점포 폐점 용납 불가···입장 철회해야"

13일 총궐기대회 선포

  • 승인 2025-09-09 11:04
  • 이정진 기자이정진 기자
중돚재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전남 공동대책위원회가 9일 순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있다./이정진 기자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전남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가 9일 순천시청 앞에서 폐점 발표 철회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공대위는 "2025년 9월 3일 홈플러스는 임대인과 협상이 결렬됐다며 총 15개 점포를 연내 폐점할 계획임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 확인 결과, MBK가 임대료 삭감안을 일방적으로 제시하고 성실한 협의조차 진행하지 않은 채 협상을 중단시킨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이어 "MBK는 회생절차 이후 실질적 자구 노력 없이 회사를 더욱더 부실화시키고 있다. MBK는 순차적 대규모 점포 폐점이라는 손쉬운 방식으로 사실상 청산을 시도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번 15개 점포 폐점에 이어 자산 매장의 매각 등 추가 폐점이 이어질 것이라 판단한다. 이는 기업의 존속 가능성을 스스로 포기한 행태로, 회생절차의 취지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사실상 청산절차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한 무리한 구조조정으로 수천 명의 노동자와 입점업주, 지역 상권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대규모 폐점 발표의 책임은 대주주 MBK파트너스와 관리·감독 책임을 다하지 못한 회생법원에 있다. 점포 폐점과 같은 중대한 영업 행위는 법원의 사전 허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법원이 이를 허가했다면, MBK의 청산 절차를 사실상 용인한 것이며 허가 없이 발표된 것이라면 법원은 감독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홈플러스는 사회적 기반시설이다. MBK는 청산이 아니라 자구 노력을 통해 회생절차 정상화에 나서라. 홈플러스는 국민의 먹거리와 수십만 명의 생계, 지역 경제의 중추를 담당하는 사회적 인프라다. 회생은 점포 폐점이 아니라, 고용과 영업망 유지,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정상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회사는 팔 수 있어도, 노동자의 삶은 팔 수 없다. 회생이 아닌 청산으로 가는 홈플러스 조기폐점 발표를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9월 13일, 전 조합원과 시민들이 함께 전국동시다발 총궐기 대회를 힘차게 성사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공대위는 "법원은 15개 점포 폐점 무효를 선언하고 책임을 다하라, MBK는 더 이상 홈플러스를 훼손하지 말고 정상화에 나서라, 정부와 정치권은 공적 책임을 다하고, 회생 절차 정상화를 위해 즉각 개입하라"며 기자회견을 마쳤다.

순천=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2.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4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3. 몸집 커지는 대학 라이즈 사업… 행정 인프라는 미비
  4.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10월31일 금요일
  5. 대전YWCA 후원의 밤 지역사회에 사랑과 희망 전해
  1.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2. [현장취재]대전을 밝히는 이름, 아너소사이어티
  3. 홍영기 건양대 부총장, 지역 산학협력 활성화 공로 교육부장관상
  4.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 마음 회복의 시간, '힐링한판'
  5. 세이브더칠드런, 대전시 보호종료예정아동 자립 지원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 "트램 공법 위법 아냐… 예산 절감 효과 분명"

대전시 "트램 공법 위법 아냐… 예산 절감 효과 분명"

대전시가 도시철도 2호선 트램 복공판 공사 계약 과정에서 입찰 부정이 있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즉각 반박했다. 복공판 공사 기법이 예산 절감 등의 이유로 필요했고, 업체 선정 과정 역시 관련 규제에 따라 적법하게 진행됐다는 것이다. 30일 최종수 대전시 도시철도건설국장은 시청 기자실을 찾아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이 제기한 복공판 공사 업체 부정 입찰 의혹 등에 "업체 선정은 대전시가 요청한 조건을 맞춘 업체를 대상으로 역량을 충분히 검토해 선정했다"라며 "사업 내용을 잘 못 이해해 생긴 일이다. 이번 의혹에 유감을..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