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공무원 절반이상 '장거리족'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이주공무원 절반이상 '장거리족'

내년 세종시 이주대상자 4천명 넘어 입주물량 2천여세대 부족, 타지역서 출·퇴근 불가피

  • 승인 2011-09-13 16:03
  • 신문게재 2011-09-14 2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내년 말까지 세종시 이주 대상 공무원 중 절반 이상이 서울 또는 인근 지역 출·퇴근을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13일 행복도시건설청에 따르면 내년 말까지 이전 예정인 중앙 행정기관은 국무총리실과 국토해양부 등 모두 12개 기관으로, 이주 대상인원은 4139명에 이른다. 이중 807명(19%)이 현재 첫마을 아파트에 계약을 마친 상태다. 결국 3332명의 내 집 마련 의사는 오리무중에 빠진 셈이다.

표면적으로 드러난 하반기 세종시 아파트 공급물량을 보면, 이들 상당수가 수용될 가능성이 보인다.

분양 5310세대 및 임대 2327세대 등 최대 7637세대로, 중앙 공무원 이주 수요의 2.3배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분양 아파트는 극동 1342세대와 대우 2591세대, 포스코 1137세대, 계룡건설 240세대, 임대 아파트는 첫마을 10년 공공임대 1362세대와 중흥주택 5년 공공임대 965세대로 각각 구성됐다. 여기에 최근 개정된 주택공급에관한규칙상 이전 기관 종사자 배정률 70%를 적용해도 5346세대 입주가 가능하다. 또 지난 6~7일 서울 세종로 및 과천청사에서 열린 극동-대우-포스코-중흥주택 합동 분양설명회에 모두 2000여명의 공무원이 몰린 점도 고무적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들 아파트의 입주시기가 대부분 2013년 말 이후라는 점이다. 실제로 내년까지 입주가능 물량은 첫마을 공공임대 953세대와 계룡건설의 168세대 등 1121세대에 불과하다. 3332명에서 1121명을 뺀 단순 셈범을 적용할 때, 2211명(53%)의 중앙 공무원의 출·퇴근은 세종시가 아닌 서울 또는 인근 지역이라는 결론으로 연결된다.

건설청이 일반 청약자들의 반발을 감수하면서까지 배정률을 60%에서 70%로 올렸지만 중앙 공무원의 이탈을 막기는 역부족인 상황으로 분석된다.

1생활권 공동주택 용지를 소유한 삼성과 현대, 대림 등 주요 민간건설사들이 사업참여를 계속적으로 미루면서, 이 같은 부작용이 현실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건설청 관계자는 “9월말 분양예정인 첫마을 공공임대의 경우 내년까지 이전 예정인 국무총리실과 국토해양부 등의 직원에게 우선 분양 혜택을 부여할 것”이라며 “또 2013년 이후 이주 예정인 중앙 공무원의 첫마을 계약분을 전세물량으로 확보하는 한편, 대전 소재 공무원 임대아파트 등을 활용한다면 상당 부분 부족분을 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희택 기자 nature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사직야구장 재건축 국비 확보, 2031년 완공 목표
  2.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3.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4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4. 몸집 커지는 대학 라이즈 사업… 행정 인프라는 미비
  5.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3.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4. 국민의힘 대전시당 신임 위원장에 이은권 선출
  5. 대전YWCA 후원의 밤 지역사회에 사랑과 희망 전해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 "트램 공법 위법 아냐… 예산 절감 효과 분명"

대전시 "트램 공법 위법 아냐… 예산 절감 효과 분명"

대전시가 도시철도 2호선 트램 복공판 공사 계약 과정에서 입찰 부정이 있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즉각 반박했다. 복공판 공사 기법이 예산 절감 등의 이유로 필요했고, 업체 선정 과정 역시 관련 규제에 따라 적법하게 진행됐다는 것이다. 30일 최종수 대전시 도시철도건설국장은 시청 기자실을 찾아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이 제기한 복공판 공사 업체 부정 입찰 의혹 등에 "업체 선정은 대전시가 요청한 조건을 맞춘 업체를 대상으로 역량을 충분히 검토해 선정했다"라며 "사업 내용을 잘 못 이해해 생긴 일이다. 이번 의혹에 유감을..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