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살롱] 비닐봉지 속에 담긴 정체성을 찾아라

  • 문화
  • 백영주의 명화살롱

[명화살롱] 비닐봉지 속에 담긴 정체성을 찾아라

[백영주의 명화살롱] 개빈 터크_비닐봉지

  • 승인 2016-11-09 18:06
  • 백영주 갤러리 '봄' 관장백영주 갤러리 '봄' 관장
▲비닐봉지(Bag), 2000, 터크
▲비닐봉지(Bag), 2000, 터크


슈퍼마켓에 가서 “봉지에 싸 주세요”라고 부탁하면 가장 자주 받는 검은 비닐봉지. 오랫동안 썩지 않아 환경파괴의 주범이라 불리기도 하지만 휴대가 간편하고 무거운 짐을 실어도 튼튼하게 버텨주는 덕에 여전히 일상 속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이런 잇 아이템(?)을 현대미술가들이 놓칠 리 없었다. 그중 제일 강렬한 인상을 남긴 작품은 개빈 터크의 <비닐봉지>였다.

영국 현대미술의 주역인 YBA의 대표 작가 개빈 터크는 <비닐봉지> 연작 이외에도 앤디 워홀과 자신의 얼굴을 합성한 초상화, 말라비틀어진 사과, 항상 기발한 오브제들로 자신의 정체성과 예술의 가치, 이 세계에 대한 의문을 제시해 왔다.

그는 데뷔초부터 예사롭지 않았다. 1991년 런던의 왕립미술학교(Royal College of Art)를 졸업하며 ‘개빈 터크, 조각가, 여기서 작업하다 1989-1991’라고 쓰인 둥근 기념패 만 달랑 설치해 교수들로부터 맹비난을 받은 적도 있다.

다소 건방져 보이는 졸업작품 때문에 이 대학 역사상 최초로 학위를 받지 못하는 불명예를 안기도 했다. 그러나 본인은 이에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 대학시절이 막 끝났음을 알리는 동시에, 아티스트로써 이제 예술의 본질을 파고들 때가 왔음을 알린 신호탄이었다. 이 작품은 교수들에겐 외면받았지만 미술계에서 단연 주목을 끌었고, 아트 딜러였던 제이 조플링의 눈에 띄어 YBA 중심작가로 도약할 수 있었다.

▲cave, 2000, 터크
▲cave, 2000, 터크


개빈 터크의 <비닐봉지>는 보이는 것처럼 진짜 쓰레기 봉지가 아니라 채색된 청동 조각이다. 서구 사회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커다란 검정 비닐봉지가 ‘쓰레기 봉지’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불법으로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를 자주 검은 비닐봉지에 버린다. 그래서 꽉 찬 비닐봉지는 소비주의 사회와 환경에 대한 관심의 부재, 그리고 변하는 개인의 충성도 등의 상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청동조각은 실재에 대한 환영을 강조하고, 눈을 속이며, 과거의 미술, 특히 바로크 시대에 찬양된 트롱프뢰유 회화를 상기시킨다. 개빈 터크는 사람들이 버리는 것과 미술관에 전시하는 것이 우리의 문화를 정의한다고 믿는다. 이 작품으로 그는 미술관의 진지함을 비웃는다.

터크는 사람들이 익숙한 사물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그리고 왜 어떤 물건을 소중히 다뤄지고 어떤 물건은 경시되는지에 대해 고찰했다. 사실 어떤 미술품은 우상화되고, 다른 것은 무시되는 이유를 고찰하는 것이 그의 주요 관심사였다. 전시되었을 때, 사람들은 미술 작품임을 깨닫지 못하고 이 작품을 지나갔다고 한다. 터크는 비닐봉지를 다양한 버전으로 제작하고 여러 미술관에 전시했는데, 대체로 무례하고 모멸적인 대접을 받았다. 바로 이것이 작가가 기대한 것이었다.

<비닐봉지> 연작 이외에도 다양한 설치, 평면, 조각 작업을 통해 저자성, 진위성, 정체성에 대해 끊임없이 이슈를 제기해온 터크는 현재에도 남다른 재치와 참신한 비주얼을 무기로 정체성, 팝 문화, 예술의 가치와 본질에 대해 신랄한 의문을 던지며 독특한 개념미술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백영주 갤러리 '봄' 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역 쪽방 공공주택 주민설명회 찬반 갈등 첨예…"몰아넣지 말라"vs"찬성주민 먼저"
  2. 충남대·공주대 글로컬대학 본지정 기대감… 구성원 투표서 과반 찬성
  3. [최재헌의 세상읽기]대전.충남 행정통합 '5극 3특' 실현할 전략
  4.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에 교육계 반발 "교육자치 역행, 정치화 시도"
  5. 충청 4개 시·도 2026년 신규교사 선발예정 1291명… 2025년보다 73명 감소
  1. 충남대병원 간호사 공동연구 논문, 국제학술지에 채택
  2. 대전 괴정동 전 여자친구 살해 피의자 구속영장 발부
  3. "눈과 귀를 즐겁게"… 0시 축제 다양한 공연.볼거리 풍성
  4. [시리즈] 대전의 미래, 철도굴기로 열자 ⑤
  5. 심사평가원, 허가범위 초과 사용승인제 개선 국제세미나 개최

헤드라인 뉴스


1조원대 보통교부세 누락… 세종 재정자치권 확보 시급

1조원대 보통교부세 누락… 세종 재정자치권 확보 시급

2030년 완성기 전·후로 미뤄지는 양상에 놓인 거대 담론 '행정수도'. 세종특별자치시의 가치가 수도권 과밀 해소와 국가균형성장이란 중차대한 국가 목표에 다가서려면, 기본 중의 기본인 '자치권' 확보가 시급하다. 수년 간 객관적인 자료와 지표로 보통교부세가 누락된 사실이 확인되고 있으나, 세종시의 정상 건설과 행정수도 위상에 역행하는 흐름은 여전하다. 중앙정부와 정치권이 자치권 혁신을 위해 선도적으로 실행한 '단층제(구청 생략)' 구조가 오히려 세종시의 성장을 가로막는 기제가 되며, 역차별 구조를 가져오고 있다. 문재인·윤석열 정부..

"눈과 귀를 즐겁게"… 0시 축제 다양한 공연.볼거리 풍성
"눈과 귀를 즐겁게"… 0시 축제 다양한 공연.볼거리 풍성

올해로 3회를 맞는 대전 0시 축제가 개막하면서 관광객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할 다양한 공연과 볼거리들이 기다리고 있다. 무더위를 잠시 잊고 다 함께 즐기고 행복을 나눌 수 있도록 축제 곳곳에는 그동안 쉽게 접할 수 없었던 여러 장르의 공연들이 펼쳐진다. 한국의 멋을 느낄 국악부터 청년들의 목소리 등 여름 하늘을 가득 채우면서 2025년 여름을 더 뜨겁게 할 예정이다. 0시 축제 기간 어떤 공연을 즐길 지 함께 만나본다. <편집자 주> ▲대전의 야간 명소를 찾아 대전관광공사는 야간관광 특화도시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대전 0시축제'..

충청권 상장법인 시총, 한 달 새 11조 5727억 원 급등
충청권 상장법인 시총, 한 달 새 11조 5727억 원 급등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이 7월 한 달 동안 11조 5727억 원 증가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특히 알테오젠, 펩트론, 리가켐바이오 등 지역 내 코스닥 시총 상위 바이오 기업들의 상승세가 돋보인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7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7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1조 9328억 원으로 전월(140조 3601억 원) 대비 8.2% 증가했다. 이중 대전·세종·충남 기업의 시총은 전월보다 8조 8942억 원(8.9%) 오른 100조 8422억 원에 도달했다. 같은 시기 충..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북적이는 워터파크와 한산한 도심

  •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노인들의 위험한 무단횡단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