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리베라호텔 추억 기억하시나요?

  • 사회/교육
  • 미담

대전 리베라호텔 추억 기억하시나요?

폐업 18시간 앞둔 리베라호텔 가보니

  • 승인 2017-12-31 12:39
  • 수정 2017-12-31 12:46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리베라호텔 사진
29년 역사를 마감하는 대전 리베라호텔을 31일 새벽잠을 물리치고 찾아갔다. 12월 31일 자정을 시점으로 더는 영업하지 않는 폐업을 한다고 했으니 영업일로는 이날이 마지막인 셈이다.

일단 리베라호텔 3층에 있는 목욕탕부터 찾았다. 유성온천을 수없이 다녀봤지만, 미안하게도 리베라호텔의 사우나는 이날이 처음이었다. 이곳 사우나는 인근 온천대중탕 요금의 2배 정도여서 기자 역시 동네 목욕탕 찾듯 편하게 찾을 수는 없었다. 대신 지역 정·재계 인사들이 이곳에서 피로를 푼다는 귀뜀정도를 들어온 터다.



벗어둔 신발을 직원이 별도로 보관해주고 탈의실에 직원 호출벨이 있는 것이나 개인사물함과 휴게실을 별도로 갖추고 있다는 게 일반 대중탕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뜨끈한 탕에 들어갔다가 나오기를 몇 차례 반복하고 사우나실 바닥에 벌러덩 누웠다.

“내가 대전 호텔리베라와 맺었던 인연은 무엇이 있을까?”



곰곰곰곰이각에 빠진 끝에 건져 올린 첫 번째 기억은 둘째 누님의 맞선이었다. 연도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둘째 누님은 리베라호텔 1층 중식당에서 맞선을 봤고 결혼해 1남 3녀의 가정을 이뤘다. 그때 누님의 중매자리를 지켜보기 위해 모든 식구가 이곳에 모였는데 초등학생이었던 기자는 이곳이 왕국 같다는 생각했던 것 같다.

누었던 몸을 일으켜 목욕의자에 앉아 거울에 찬물을 뿌렸다. 하얀 면도폼을 바른 얼굴에 면도기를 쓱쓱 저으며 두 번째 교차점이 생각났다.

2009년 기자가 결혼을 앞두고 예비 처가에 함을 드리고 나서 찾아온 곳이 리베라호텔이었다. “무거워서 함 못 들어가요” 함잡이를 맡은 친구는 오징어 탈을 쓴 채 처가 문앞에서 주저앉았고 버티기 끝에 두툼한 노잣돈을 받아냈다. 그런 함잡이 친구들에게 대접하려 예비 신부를 앞세워 찾은 곳이 리베라호텔 지하층에 있던 제니아 클럽이었다. 결혼을 약속한 연인이 함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날 작은 축하자리를 이곳에서 했다.

목욕을 끝내고 머리를 말리는데 “안녕하세요” 인사말이 들린다. 아쉽게도 기자를 찾는 게 아니라 지인 두 명이 사우나에서 오랜만에 만났는지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었다. 대전에서 살면서 가장 대전다운 모습이 무엇일까 생각해본 적 있다. 대덕특구? 동물원? 지하철? 이중 무엇도 대전을 대표할 수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유성온천 목욕만큼은 가장 대전다운 일이 될 것 같다. 가족, 친구, 선·후배가 모여 혹은 혼자서라도 유성온천을 찾은 경험이 있고 이 때 느낌과 생각은 대전시민들이 공유하는 큰 자산이라는 게 생각의 결론이었다.

옷을 갖춰 입고 사우나를 나서는데 여기저기 아쉬운 작별인사가 다시 한번 청각을 자극했다. “반가운 얼굴을 이제 못 본다니 아쉬워서 어쩌누” “서울에 있는 호텔에는 안 가기로 한 거야? 그동안 고생 많았어”

이날 호텔 손님들은 사우나 입구에서 열쇠를 나눠주던 직원에게도 지하 1층 뷔페식당을 관리하던 팀장에게도, 복도를 청소하는 노동자에게도 먼저 인사를 건넸다.

리베라 카운터
호텔 7층 객실 복도에서는 투숙객들이 아침을 준비하는 소리가 오히려 슬프게 다가왔다. 침구류부터 모든 시설은 온전한데 호텔은 폐업한다니. 직원 130여 명은 오늘까지 호텔을 쓸고 닦고 손님에게 최선을 다하는데 내일은 없다는 게 쉽게 이해되지 않았다.

김희준 리베라호텔 노조위원장은 “일방적은 폐업선언에 저항하고자 직원들은 계속해서 출근투쟁을 할 것이다”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