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이 영화] 패왕별희

  • 문화
  • 영화/비디오

[연휴 이 영화] 패왕별희

  • 승인 2020-04-28 18:26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AKR20200224052400005_01_i_P4 (1)
제이앤씨미디어그룹. 연합뉴스 제공
4월 1일 만우절에 거짓말처럼 생을 마감한 장국영. 2003년이었다. '아비정전'에서 맘보춤을 추던 장국영은 90년대 청춘의 아이콘이었다. 새가 되고 싶어서였나. 고층에서 새처럼 팔랑거리며 날아올라 피안으로 떠났다. 다시 생각하니 가슴이 뻐근해진다. 믿을 수 없었다. 그의 죽음을. 제발 거짓말이라고 말해 주길 바랐다. 어떻게 장국영이 죽지?

장국영의 '패왕별희'인가, '패왕별희'의 장국영인가. 화려함 뒤의 외로움을 느끼게 하는 영화 '패왕별희'의 압권은 장국영의 눈빛 연기다. 진심을 담아, 극의 역할에 몰입한 연기. 장국영이 아니면 그 역할을 누가 할 수 있을까. 경극 연기자 두지(장국영)는 시투(장풍의)를 남몰래 연모하는 비련의 주인공이다. 경극 패왕별희는 초나라 군주 항우에 대한 우희의 변함없는 사랑 얘기다.



매춘부인 엄마에게 버림받고 상처를 안고 성장한 두지는 오랫동안 경극을 함께 한 시투에게 마음을 주지만 또 버림받는 처지가 된다. 남자가 남자를 사랑하는 슬픈 운명을 안고 사는 두지의 사랑이 잔인하다. 경극 패왕별희를 연기하면서 두지, 아니 장국영의 눈빛이야말로 연기인지 현실인지 분간이 안간다. 애절하게 안타깝게 끌어오르는 격한 감정이 눈빛에 모아진다.

하지만 시투는 주샨(공리)을 마음에 두고 있다. 어긋나는 사랑이 여기에도 존재한다. 이것이 사랑의 본질이고 사랑의 존재이유다. 실제로 장국영은 동성연애자였다. 장국영이 죽은 지 20년이 다 돼간다. 마침 영화관에서 '패왕별희'를 재상영중이다. 세월은 가고 우리 모두 나이를 먹었다. 남는 건 추억 뿐. 가슴 아린 추억을 소환하며 패왕별희를 보고 싶다.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