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그 놈이 하필 그때 왜?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그 놈이 하필 그때 왜?

  • 승인 2020-10-21 10:31
  • 신문게재 2020-10-22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01021_093634437
찬바람이 분다. 숲속 양지바른 오솔길 쑥부쟁이가 이별을 고하려고 한다. 자기 전에 잠깐 보일러를 튼다. 유난히 추위를 타는 나는 인고의 겨울을 맞아야 한다. 온기가 몹시 그리운 어느날, 옷깃을 여미고 길을 나섰다. 마지막 한줌 햇살인 양 얼굴을 들고 맘껏 쬐었다. 회사에서 좀 멀리까지 걸어갔다. 식당은 손님이 다 빠져나간 뒤여서 한산했다. 어쩌다 식당에 가면 코로나19 때문에 일부러 손님이 없을 때 들어간다. 주 메뉴가 콩나물밥인 듯 한데 콩나물국밥을 시켰다. 이맘 때면 난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고생깨나 한다. 그래서 따뜻한 국물을 찾게 된다. 뚝배기에 담긴 콩나물국이 화산 용암 끓듯 부글거리며 뽀얀 김을 뿜어냈다. 뜨거운 국물이 식도를 타고 내려가자 온 몸이 따뜻해지면서 나른했다. 계란이 익기 전까진 국물을 살살 떠먹어야 한다. 계란이 풀어지면 국물이 탁해지기 때문이다. 북어와 청양고추가 들어간 국물은 담백하고 시원했다.

콩나물국밥은 전라도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전주 콩나물국밥이 유명한 이유다. 값도 싸고 흔하게 먹을 수 있는 콩나물은 요리도 쉽다. 고춧가루 풀고 질 좋은 새우젓으로 간한 국에 밥을 말아 후루룩 마시면 속이 확 풀린다. 애주가들의 아침 해장으로도 좋다. 요즘은 시장에서, 마트에서 콩나물을 사다 먹지만 집에서 콩나물을 길러 먹던 시절이 있었다. 콩 추수가 끝나고 겨우내 방 윗목엔 으레 콩나물 시루가 자리를 차지했다. 고무다라 위에 나무받침대를 걸치고 콩나물시루를 놓는다. 보자기에 덮인 콩은 식구들이 오며가며 물을 주면 하루가 다르게 쑥쑥 커간다. 싹이 삐죽이 나온 콩은 갓 태어난 강아지들처럼 앙증맞고 신기했다. 그 귀여운 모양과는 다르게 어릴 적엔 콩으로 만든 음식은 무조건 싫어했다. 콩 특유의 비린내가 도깨비만큼이나 무서웠다. 나이를 먹으면서 입맛이 순해진 지금은 밥할 때 콩을 꼭 넣는다.

1991년 12월 생애 첫 직장에 입사했다. 기대와 설렘으로 편집국에 들어섰지만 업무는 고됐다. 국어교육을 전공했다는 이유로 만만하게 덤볐는데 교열이라는 것이 생명을 단축시키는 업이었다. 취재기자가 원고지에 쓴 기사는 암호 해독하는 수준이었다. 한자는 또 왜 그렇게 많은 지. 나와 동기들은 호랑이같은 교열국장님에게 불려가 혼나는 게 하루 일과였다. 점심 때 잔뜩 주눅 든 채 파김치가 되어 선배들 뒤를 줄레줄레 따라간 곳이 회사 앞 용두동 시장 골목이었다. 거긴 맛있는 밥집이 많아 항상 손님들로 북적였다. 그 중 콩나물국밥은 최고였다. 뜨거운 국물을 부었다 따랐다 하는 토렴식 국밥은 지금 생각해도 '찐'이었다. 탱글탱글한 밥알들이 입안에서 살아 움직였다. 감칠맛 나는 뜨거운 국물과 함께 콧물을 훌쩍이며 한 뚝배기 비우고 나면 얄미운 국장님도 부처님 가운데 토막으로 보였다.

그런데 어느 날 못볼 걸 보고야 말았다. 여자 선배들과 밥을 먹다가 거짓말 조금 보태서 토끼만한 쥐를 발견했다. 잿빛 털의 꺼벙한 쥐가 까만 눈을 반짝이며 두리번거리다 구석에 난 구멍으로 쏙 들어가는 게 아닌가. 우리는 비명도 못 지르고 나와 버렸다. 워낙 허름한 시장 골목이라서 쥐가 없을 리 만무했다. 하여간 그 후로 그 식당엔 얼씬도 안했다. 밥맛이 싹 달아났지만 식당은 오랫동안 성업했다는 얘기를 바람결에 듣곤 했다. 그 놈의 쥐가 하필 그때 나올 게 뭐람! 의사들은 나트륨이 몸에 안 좋다며 국물은 먹지 말고 건더기만 건져 먹으라고 조언한다. 오래 전 아는 후배가 젓가락으로 밥알을 세며 그렇게 먹는 걸 보고 하마터면 수저를 빼앗을 뻔 했다. 거실 벽에 써 붙인 건 아니지만 나의 가훈은 '께적께적 먹는 사람과는 상종하지 말자'였기 때문이다. 쌀쌀해진 날씨, 뜨끈하고 칼칼한 콩나물국밥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KINS 기밀 유출 있었나… 보안문서 수만 건 다운로드 정황에 수사 의뢰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