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그 놈이 하필 그때 왜?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그 놈이 하필 그때 왜?

  • 승인 2020-10-21 10:31
  • 신문게재 2020-10-22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01021_093634437
찬바람이 분다. 숲속 양지바른 오솔길 쑥부쟁이가 이별을 고하려고 한다. 자기 전에 잠깐 보일러를 튼다. 유난히 추위를 타는 나는 인고의 겨울을 맞아야 한다. 온기가 몹시 그리운 어느날, 옷깃을 여미고 길을 나섰다. 마지막 한줌 햇살인 양 얼굴을 들고 맘껏 쬐었다. 회사에서 좀 멀리까지 걸어갔다. 식당은 손님이 다 빠져나간 뒤여서 한산했다. 어쩌다 식당에 가면 코로나19 때문에 일부러 손님이 없을 때 들어간다. 주 메뉴가 콩나물밥인 듯 한데 콩나물국밥을 시켰다. 이맘 때면 난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고생깨나 한다. 그래서 따뜻한 국물을 찾게 된다. 뚝배기에 담긴 콩나물국이 화산 용암 끓듯 부글거리며 뽀얀 김을 뿜어냈다. 뜨거운 국물이 식도를 타고 내려가자 온 몸이 따뜻해지면서 나른했다. 계란이 익기 전까진 국물을 살살 떠먹어야 한다. 계란이 풀어지면 국물이 탁해지기 때문이다. 북어와 청양고추가 들어간 국물은 담백하고 시원했다.

콩나물국밥은 전라도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전주 콩나물국밥이 유명한 이유다. 값도 싸고 흔하게 먹을 수 있는 콩나물은 요리도 쉽다. 고춧가루 풀고 질 좋은 새우젓으로 간한 국에 밥을 말아 후루룩 마시면 속이 확 풀린다. 애주가들의 아침 해장으로도 좋다. 요즘은 시장에서, 마트에서 콩나물을 사다 먹지만 집에서 콩나물을 길러 먹던 시절이 있었다. 콩 추수가 끝나고 겨우내 방 윗목엔 으레 콩나물 시루가 자리를 차지했다. 고무다라 위에 나무받침대를 걸치고 콩나물시루를 놓는다. 보자기에 덮인 콩은 식구들이 오며가며 물을 주면 하루가 다르게 쑥쑥 커간다. 싹이 삐죽이 나온 콩은 갓 태어난 강아지들처럼 앙증맞고 신기했다. 그 귀여운 모양과는 다르게 어릴 적엔 콩으로 만든 음식은 무조건 싫어했다. 콩 특유의 비린내가 도깨비만큼이나 무서웠다. 나이를 먹으면서 입맛이 순해진 지금은 밥할 때 콩을 꼭 넣는다.

1991년 12월 생애 첫 직장에 입사했다. 기대와 설렘으로 편집국에 들어섰지만 업무는 고됐다. 국어교육을 전공했다는 이유로 만만하게 덤볐는데 교열이라는 것이 생명을 단축시키는 업이었다. 취재기자가 원고지에 쓴 기사는 암호 해독하는 수준이었다. 한자는 또 왜 그렇게 많은 지. 나와 동기들은 호랑이같은 교열국장님에게 불려가 혼나는 게 하루 일과였다. 점심 때 잔뜩 주눅 든 채 파김치가 되어 선배들 뒤를 줄레줄레 따라간 곳이 회사 앞 용두동 시장 골목이었다. 거긴 맛있는 밥집이 많아 항상 손님들로 북적였다. 그 중 콩나물국밥은 최고였다. 뜨거운 국물을 부었다 따랐다 하는 토렴식 국밥은 지금 생각해도 '찐'이었다. 탱글탱글한 밥알들이 입안에서 살아 움직였다. 감칠맛 나는 뜨거운 국물과 함께 콧물을 훌쩍이며 한 뚝배기 비우고 나면 얄미운 국장님도 부처님 가운데 토막으로 보였다.

그런데 어느 날 못볼 걸 보고야 말았다. 여자 선배들과 밥을 먹다가 거짓말 조금 보태서 토끼만한 쥐를 발견했다. 잿빛 털의 꺼벙한 쥐가 까만 눈을 반짝이며 두리번거리다 구석에 난 구멍으로 쏙 들어가는 게 아닌가. 우리는 비명도 못 지르고 나와 버렸다. 워낙 허름한 시장 골목이라서 쥐가 없을 리 만무했다. 하여간 그 후로 그 식당엔 얼씬도 안했다. 밥맛이 싹 달아났지만 식당은 오랫동안 성업했다는 얘기를 바람결에 듣곤 했다. 그 놈의 쥐가 하필 그때 나올 게 뭐람! 의사들은 나트륨이 몸에 안 좋다며 국물은 먹지 말고 건더기만 건져 먹으라고 조언한다. 오래 전 아는 후배가 젓가락으로 밥알을 세며 그렇게 먹는 걸 보고 하마터면 수저를 빼앗을 뻔 했다. 거실 벽에 써 붙인 건 아니지만 나의 가훈은 '께적께적 먹는 사람과는 상종하지 말자'였기 때문이다. 쌀쌀해진 날씨, 뜨끈하고 칼칼한 콩나물국밥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