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 여성의 지위가 그 사회의 수준이다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 여성의 지위가 그 사회의 수준이다

김명주 충남대 교수

  • 승인 2021-07-19 09:29
  • 신문게재 2021-07-20 18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김명주 충남대 교수
김명주 충남대 교수
야당의 유력 대선 후보들과 당 대표가 여가부 폐지를 대선 공약으로 공식화하려다 다행히 안팎의 반발로 한발 물러섰다. 이는 페미니즘 '백래쉬' 시류에 편승하고, 지난 4월 7일 보궐선거 이후 보수 정권의 새로운 지지기반으로 주목받는 20대 남성의 표심을 잡으려는 전략에서 비롯되었다. 여가부를 폐지한 후 그 예산을 군 복무를 마친 남성을 위해 쓰겠다니 의도적으로 남녀대결을 부추기는 꼴이다. 제아무리 정당의 목표가 정권 쟁취라 해도 주거난과 취업난 등 젊은이들이 겪는 복잡한 시름을 여성 탓으로 돌리도록 유도하여 이를 정권쟁취에 이용한 것은 해도 해도 너무했다.

젊은 남성의 시름은 여성 탓이 아니라, 고만고만한 우리끼리 자발적 경쟁 속에서 스스로 좌절하도록 만드는 시스템 탓일 터, 이 사실은 교묘하게 은폐되고, 시스템은 엉뚱한 대상에게 화살을 날리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성차별을 해소하기는커녕 남녀대결을 부추겨 오히려 성차별을 강화한다.

물론 남녀대결은 성 평등 기획에 필요악이다. 제아무리 페미니즘의 적은 개별 남성이 아니라 가부장 시스템이라고 강변해도, 태어나는 순간부터 기득권자인 개별 남성들이 가부장제의 편리함을 쉽게 포기하지 않을 확률이 높으니 자연히 남녀대결은 빈번하다. 다만 불가피한 대결이 남녀의 전선 너머 더 힘센 누군가, 이를테면 자본과 결탁한 정치 세력에게 이용당할 수 있으니 현실은 언제나 가파르다.

오늘날의 가부장제는 천상천하 돈밖에 모르는 천박한 자본체제와 결합해 문제가 아주 복잡하다. 흑인 페미니즘이 성차별과 더불어 흑백 인종차별과 교차하는 바람에 복잡해지듯, 우리에게도 젠더와 자본은 복잡하게 얽혀져 있다.



지난 7월 2일 유엔무역개발회의가 우리나라를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분류했다. 선진국 분류의 기준은 무역과 투자와 수출이었다. 그런데 성 평등의 기준으로 분류하면 우리는 여전히 하위권이다. 2020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성 격차지수를 보면 153개국 중에서 한국이 108위였고, 성별 임금 격차는 32.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꼴찌로 가장 열악하다. 즉, 수출로 본 한국의 지위는 상위권이지만, 고용과 임금으로 본 한국 여성의 지위는 하위권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선진국 진입은 여성의 노동을 착취하거나, 여성을 경제적 수혜에서 배제함으로써 가능했음 직하다. 여성의 가사와 돌봄 노동은 사랑의 이름으로 그림자화되고, 여성의 임금 노동은 저임금으로 평가 절하되었다. 다시 말해 한국의 경제 선진국 진입은 성차별에 기생한 성취였다.

여가부의 폐지 운운 자체도 실은 자본, 경제, 정치와 밀접하게 얽힌 성차별이다. 나라 사정이 팍팍해질 때마다 '작은 정부'가 논의되고, '작은 정부'를 위해 폐지되어야 할 부서의 제 일 순위는 언제나 여가부였다. 2008년 이명박 정부도 여가부 폐지를 운운했었다. 간신히 폐지를 모면했지만, 여가부 예산은 1년 만에 95.5%로 줄어 당시 539억 원에 불과했다. IMF 경제 위기 때도 대덕연구단지에서는 부부 연구원일 때 부인들이 직장을 포기했다. 현재 코로나는 모두에게 힘들지만, 특히 여성에게 더욱 힘들다. 직장에 잘 다니던 여성의 46.3%가 부분 휴업, 휴직, 해고, 권고사직 등 고용조정을 겪었다. 사정이 나빠지면 가장 먼저 정리되는 사람은 언제나 여성이다.

이번 여가부 폐지 논란은 불황 때마다 제일 먼저 일자리를 잃어야 했던 많은 여성의 불행과 닮았다. 정부 부처 중 부진했던 부처가 여가부만이 아닌데도 여가부만 유독 정리 대상이라니 이상하지 않은가. 그토록 만만한 모양이다. 여성의 지위는 그 사회의 수준을 보여준다. 심심하면 부르짖는 여가부 폐지 운운은 선진국 진입에도 불구하고 성차별이 곳곳에 만연한 우리 사회의 낮은 수준을 여실히 보여준다. /김명주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원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했다. 이에 따라 이 후보는 서울고법에서 다시 재판받아야 한다. 서울고법은 대법원의 판단 취지에 기속되므로 유죄를 선고해야 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박영재 대법관)는 5월 1일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대법원은 지난 3월 28일 사건을 접수한 뒤 국민의 관심이 지대하고 유력 대권 주자인 이 후보의 피선거권 여부가 달려있다는 점을..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