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 한글과 PEN의 100년 - 표현의 자유를 위한 투쟁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 한글과 PEN의 100년 - 표현의 자유를 위한 투쟁

이성만 배재대 항공운항과 교수

  • 승인 2021-10-11 09:18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이성만 배재대 항공운항과 교수
이성만 교수
국제작가협회 PEN은 100년 전 런던에서 설립된 이후 꾸준히 표현의 자유를 위해 투쟁 중이다. 이웃 중국, 멀리 이란, 옛 나치 독일 등에서 언론은 통제품목이고 자유롭지 못했다. 지배자가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면 작가는 박해나 투옥으로 이어졌고 심지어 살해되기도 했다.

용감한 사람들은 자신의 인권을 위해 목숨을 바쳤다. 세계의 적지 않은 작가들은 여전히 박해받고 있다. 전 세계 권위주의 통치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무기가 표현이다 보니, 가장 먼저 체포된 사람도 작가와 기자들이었다. 하지만 표현은 자유, 진리, 인간의 공존과 같은 것들은 기본이다.

영국에서 문학 서클로 설립된 PEN은 박해받고 억압받는 작가들의 목소리로 전 세계로 확산했다. 100년 전인 1921년 10월 5일 화요일, 영국 작가 캐서린 스콧(Catherine Amy Dawson Scott)이 런던 레스토랑에서 창립 만찬을 위해 40여 명의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을 모은 것이 시초였다. 문학은 정치에 개입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이 PEN이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었던 유일한 방법이다.

나치 독일 시기에는 PEN도 포지셔닝 할 수밖에 없었다. 작가에 대한 가혹한 박해, 검열, 분서, 독일 PEN의 관변화가 이어졌다. 일제 강점기에 우리가 겪었던 한글 퇴치, 작가와 언론 탄압을 통한 표현의 자유 억압에 비견될 수 있겠다. "표현의 자유는 영원히 얻기 위해 한 번 싸우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 공생의 기본을 위한 영원한 투쟁이다. 우리 작가들에게 이보다 더 영광스러운 임무가 어디 있을까!" 독일 작가 율리 체(Juli Zeh)의 말이다.



PEN에 캐서린 스콧이 있다면 한글 사랑의 불씨에는 주시경이 있다. 스콧은 PEN을 창립했고, 주시경은 일제강점기에 '한글모' 모임을 통해 오늘의 한글을 있게 했다. 그의 한글연구의 뜻을 이은 곳이 1921년 주시경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만든 '조선어연구회'다. 이 연구회의 최대 치적 중 하나가 바로 한글날의 시작인 '가갸날'을 제정한 것이다. 한글을 배울 때 '가갸거겨' 하면서 배운 것에 착안해 만든 이름이란다. 주시경의 한글사랑은 1910년 일제가 국권을 침탈하며 어려워졌다. 일제강점기에 한글을 지키고 알리는 것은 나치 독일 시기에 독일 PEN의 저항운동보다 더 고독한 독립운동이었다.

21세기는 표현의 자유를 한껏 누리는 세상이다. 더불어 다문화 사회도 촉발되었다지만 세계는 예나 지금이나 다문화적이다. 20세기에 영어가 세계화되었듯이 이제 우리의 한글도 세계화를 주도하고 있다. 우리가 즐기는 배추김치의 배추도 토종이 아닌 한 말에 중국에서 들여온 배추이고 빨간 배추김치도 100여 년밖에 되지 않았으니 다문화적 음식이다. 화투, 즉 '꽃들의 전쟁'도 포르투갈의 카르타가 일본에 들어가 화찰이 되고 이것이 다시 한국에 들어와 새로운 문화로 탄생했으니 다문화적 놀이인 셈이다.

우리의 아이들은 어떤가. 태아 때부터 서양을 배운다. 태교 음악으로 모차르트 음악을 듣는다. 두세 살이 되면 동화나 만화로 서양의 언어와 문화를 주입받는다. 흑발이 아니라 금발 주인공이 움직이며 시선을 끄는 애니메이션은 주입 효과가 더 크다. 아이에게 공주를 그려보게 하면 거의 다 금발머리를 늘어뜨린 백설공주를 그린다. 네다섯 살이 되면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배운다. 피아노와 바이올린은 태아 때 들은 모차르트 음악과 유아 때 읽거나 본 백설공주 동화와 앙상블을 이룬다. 이렇듯 은연중에 심은 서양식, 아니 영어식 사유로 인해 한국인은 문화적 차이를 안팎 모두에서 느끼고 있다. 과학과 기술의 발달에 힘입은 세계화는 세대 간의 차이를 가속화 했다. 이런 세대 차이를 줄이려면 우리의 한글로 표현의 자유를 누리며 공존을 위해 균형 있는 문화 인식과 상호 문화적 대화가 절실하다. /이성만 배재대 항공운항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원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했다. 이에 따라 이 후보는 서울고법에서 다시 재판받아야 한다. 서울고법은 대법원의 판단 취지에 기속되므로 유죄를 선고해야 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박영재 대법관)는 5월 1일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대법원은 지난 3월 28일 사건을 접수한 뒤 국민의 관심이 지대하고 유력 대권 주자인 이 후보의 피선거권 여부가 달려있다는 점을..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