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 세시풍속인, 정월대보름 행사를 사랑합시다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 세시풍속인, 정월대보름 행사를 사랑합시다

  • 승인 2023-03-06 10:27
  • 신문게재 2023-03-07 18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이광섭 대전문화유산답사기 저자
한 해가 시작이 되면 음력으로 1월 15일 우리나라의 큰 명절로 첫 보름달이 뜨는 날을 한자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한다. 상원은 정월대보름, 하원은 백중, 중원은 한가위로 하는데 상월은 음력 1월 15일, 중월은 7월 15일, 하원은 10월 15일이다. 농경을 기본으로 하는 우리 문화에서 달은 풍요로움이 상징적 의미가 있다.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일어나면 부모가 아이들을 깨워 부스럼 깬다며 땅콩, 밤, 호도 등을 자기 나이 대로 입안에 넣고 부스럼을 없게 해달라고 하면서 먹지 아니하고 입에서 내버린다. 그러면 부스럼이 일 년 내내 생기지 아니한다고 믿는다.

농촌에 농부들은 소에게 사람이 보름날 먹는 오곡밥과 나물을 주고 소를 보면 오곡밥을 먼저 먹으면 그해 풍년이 들고, 나물을 먼저 먹으면 흉년이 든다는 것을 믿는 풍습도 있다. 날이 밝으면 아이들은 논이나 밭이나 뒷산에 올라 연줄에다 모래나 사기가루, 병 가루 등을 발라 서로 연줄 끊기를 하는데 상대방 연줄을 끊어 날려 보내면 한해의 액막이를 했다고 믿는다. 어머니와 할머니들은 동네 돌다리를 밟으면 다리 병이 생기지 아나 한다고 믿었다.

저녁에는 쥐불놀이, 횃불싸움, 달집태우기 등을 하는데, 본인이 어릴 때 쥐불놀이를 하기 위해서 깡통 옆구리를 대못으로 구멍을 내고 양쪽에 철사로 손잡이를 만들어 돌리면서 반대편 언덕에 올라 옆 동네 아이들과 서로 불깡통을 던지는 놀이를 했던 추억이 있다. 그 당시 주택가 담장이 대부분 나무판자로 되어 있는 것을 아이들은 뉘 집, 내 집 가리지 아니하고 뜯어내어 사용하여 다음 날 아침이면 동네 모두집 나무담장이 훼손이 되어 동네 어른들에게 우리 모두 혼 줄이 난 아름다운 추억이 있는 쥐불놀이였다. 또한 남의 집 오곡밥을 세 곳을 훔쳐 먹으면 그해 운이 좋다고 하여 친구네 집 부엌 가서 먹던 추억이 있었는데 어머님들은 아이들이 올 것을 대비하여 부엌에 밥그릇에 담아 놓은 집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개인적인 정월대보름 행사가 있지만, 마을마다 집단적으로 하는 행사가 예전부터 각 마을마다 내려오는 행사로 마을입구에 있는 둥구나무, 선돌, 장승에 대하여 제를 지내는 풍습이 오래전부터 내려왔다.

코로나19로 인해 약3년 동안 사람들이 모이는 행사를 못했다. 2023년 새해가 되어서 대전 시내 40여 곳에 행사가 진행되었다. 이번 정월대보름 행사는 새해를 시작함을 알리는 것으로 세시풍속의 전통을 이어가고 새해의 소망과 각 지역주민과 지역의 안녕을 기원하고 주민의 화합과 단결을 도모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5개 구청에 조심스럽게 시작을 했다. 구청에서 주관하는 행사도 중요했지만, 장승이나 선돌 그리고 둥구나무에서 마을 주민들이 실질적인 행사가 많았으면 한다.



행정복지센터에서 하는 행사는 낮 시간대 주민화합을 위함이고 선돌이나 나무에서 지내는 행사는 해가지는 저녁 시간에 행사가 진행된다. 이번 행사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곳은 부수동에서 진행된 느티나무제와 비룡동 장승제다. 비포장 산길 속 대청호 끝부분 마을과 사람들이 살지 아니한 곳에 옛 주민들이 모여 지내는 곳과 비룡동에서 열리는 '비룡동 장승제'는 다른 곳에서 모든 행사가 종료되지만 이곳은 밤12시에 시작하여 무박 2일간 하기 때문에 대부분 관람이나 취재는 못하지만, 우리 부부는 매년 함께하는 영광이 있다.

만약 대전 정월대보름 축제를 추천한다면 이곳 두 곳을 꼭 추천하고 싶다. 올해는 동구와 대덕구를 중점적으로 답사한 결과 대를 이어가는 곳이 점점 줄어들고 행사 내용을 잘 이해 못하고 하는 곳이 있어서 매우 아쉬움이 있지만, 모든 곳이 매우 열정적으로 하고 있다. 일 년에 단 한번 밖에 볼 수 있는 대전에서 진행되는 정월대보름 축제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소개와 기록을 남기고 싶고 이글을 읽어보시는 독자 여러분께 이것이 어느 종교가 아니고, 조상들이 대대로 내려오는 민속 유산이니 우리가 계승하면서 '우리 문화재를 사랑합시다'라고 전하고 싶다.
이광섭 대전문화유산답사기 저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