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이름에 이르길

  • 오피니언
  • 사외칼럼

[기고] 이름에 이르길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DYAF 컨설턴트

  • 승인 2023-06-26 08:44
  • 수정 2023-06-27 17:00
  • 신문게재 2023-06-27 18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기고문 사진(우리원)
우리원 학예사
"나는 그림 그릴 때마다 이 그림이 딴 사람들 맘에 들었으면 하고 생각한다. 그러면서도 요즘 세상에 가만히 벽에 붙은 그림이 뭘 할 수 있을까 하며 자꾸 한심해 한다"

박이소, 무제, 1986



개념미술가이자 설치미술가 박이소(1957~2004)는 태어나 받은 이름 철호(哲浩)를 시작으로 '아무개'를 뜻하는 필명 박모(某)를 거쳐 낯설고 소박하다는 뜻의 박이소(異素)로 살았다. 그의 이름은 곧 그의 예술이며 그가 지향하는 예술적 세계였다. 한없이 낯설고 불안한 현실 속에서 치열하게 지켜야만 하는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자 선언이었다.

매해 수천 명의 미술대학 졸업생이 배출되고, 그중에서 작가로 살 결심을 한 이들에게는 작가로 살아남기 위해 무엇을 세상에 내보여야 하는가가 중대한 문제다. 원하는 것을 하고자 선택한 그 길에서 참으로 아이러니하게도 내가 아닌 타인의 마음에 드는 것을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쓰다 던져버린 수건조차 예술이 될 수 있는 시대에 새로운 형식의 창안이든 심오한 철학이나 진리든 뉴 노멀(New Normal)의 감각에 부합하는 가치, 신성할 만한 무언가를 내놓아야 하는 것이다.



미술에 있어 다원주의는 작품들이 제각기 다양한 목표를 가지며 그것들 간에 우열을 정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절대적인 미적 가치나 기준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성공한 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 대중 혹은 컬렉터들이 좋아하는 작업을 해야 할까? 손기술을 완벽하게 발휘한 작품을 만들어내야 할까?

반 메헤렌(Han van Meegeren)*이 화가가 아닌 위조범으로 기록된 이유는 결코 작품의 완성도가 떨어지거나 인기 있는 그림을 그리지 못해서가 아니다. 그의 예술은 목표 자체가 부적절했으며 그저 타인의 이름으로 불리는 껍데기였기 때문이다. 즉 오늘날의 미술이 미술답기 위해서는 분명한 목표와 그것을 성취하기 위한 독자적인 표현, 그리고 그 작품이 동시대적 가치를 수용하고 새로운 세계를 여는 데 기해야 한다.

*네덜란드의 전설적인 명화 위조범, 그의 위작 중 최고가는 55억에 보이만스 미술관에 팔리기도 했다.

대전문화재단의 대전청년작가장터가 ‘DYAF’(Daejeon Youth Art Fair)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출발한다. 총 2회로 진행되며 1차는 6월 23일부터 7월 2일까지 대전신세계갤러리 이어 2023 미술주간(2023. 9. 1~ 9. 11)에 ‘아트센터 쿠’에서 만나 볼 수 있다.

대전 유일의 공식 청년아트페어, 지역 미술시장 판로개척이라는 것 외에도 DYAF가 함양하는 바는 크다. DYAF는 작가로 살아가기 위한 실효성 있는 지원을 고민하고 제시한다. 작가들은 실제 전시 시스템을 경험하고 전문가와의 멘토링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작품에 대한 큐레이션과 실질적인 조언을 얻을 수 있다. 5회라는 길지 않은 역사이지만 미술 시장에 대한 인식개선과 진입장벽 해소를 통한 유통의 확장과 성장이 괄목할 만하다.

DYAF에서 소개하는 이들은 모두 무명(無名)이다. 그러나 즉각적인 반응과 휘발돼버리는 결과로 점철되는 오늘날 사회 구조 속에서 무명의 작가들이 '미술'의 이름으로 하는 모든 시도가 효용 가능한 언어가 되기를 희망한다. 그리고 그 언어로 견고한 세계를 구축하며 이름을 찾아가는 여정에 DYAF가 든든한 조력자가 되어 줄 것을 기대한다.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DYAF 컨설턴트
KakaoTalk_20230627_130613134
올해 대전청년작가장터 모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